시중은행, 은퇴 세대 위한 특화 공간 확보에 ‘총력’

기사입력 2025-02-13 09:06 기사수정 2025-02-13 09:06

노후 설계를 위한 상담인력 배치하고, 다양한 문화 활동도 지원

금융 정보나 디지털 기기와 친숙하지 않은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점포가 생긴 지도 몇 년이 흘렀다. 이제는 거기에 더해 은퇴 세대를 위한 심화 서비스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신한 학이재 경기’에서는 다양한 체험존과 강좌를 경험할 수 있다.(문혜진 기자)
▲‘신한 학이재 경기’에서는 다양한 체험존과 강좌를 경험할 수 있다.(문혜진 기자)

국민연금연구원은 노후 최소 생활비에 대해 개인 월 124만 3000원, 부부 월 198만 7000원으로 추정한다. 노후 적정 생활비는 개인 177만 3000원, 부부 277만 원이다. 그러나 실제 연금 수령액은 100만 원이 채 되지 않는다. 통계청의 ‘2024년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준 55~79세의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82만 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래를 조금이라도 윤택하게 보내려면, 총체적인 현금흐름을 어떻게 유지하는지가 관건일 테다.

든든한 내일 위한 대비

은퇴 후 소득 공백이 걱정되지만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막막할 때 시중은행이 선보인 고객 맞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하나금융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하나은행을 중심으로 하나증권과 하나생명보험 등이 뭉쳐 ‘하나 더 넥스트’라는 시니어 특화 브랜드를 출범했다. 시니어 외에도 은퇴를 앞두고 있거나 은퇴 이후 삶을 준비하는 데 관심 있는 뉴 시니어까지 대상을 확장했다. 전문 서비스 채널 ‘하나 더 넥스트 라운지’도 열었다. 서울 을지로 1호점을 시작으로 선릉역, 마포, 영등포 등 주요 거점 지역으로 확대해나가고 있다.

▲‘하나 더 넥스트 라운지’에서는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노후자금 솔루션을 얻을 수 있다.(문혜진 기자)
▲‘하나 더 넥스트 라운지’에서는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노후자금 솔루션을 얻을 수 있다.(문혜진 기자)

‘하나 더 넥스트 라운지’는 전문 상담 인력이 투자상품 안내, 은퇴 필요 자금 분석, 유언대용신탁 활용 자산 이전 준비, 연금 특화 포트폴리오 설계 등 개인의 상황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는 곳이다. 라운지 한켠에는 추억을 불러일으킬 만한 LP 음반과 각종 도서가 비치돼 있어 다양한 콘텐츠도 즐길 수 있다.

‘하나 더 넥스트’ 모바일 웹페이지, 하나은행 앱 ‘하나원큐’에서 상담 예약 후 이용할 수 있으며, 하나원큐에 마련된 간단한 설문을 통해 솔루션을 사전에 받아볼 수 있다. 하나은행 거래가 없던 고객도 ARS 예약전용 번호를 통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하나 더 넥스트 라운지’에 마련된 책과 돋보기.(문혜진 기자)
▲‘하나 더 넥스트 라운지’에 마련된 책과 돋보기.(문혜진 기자)

김정은 하나 더 넥스트 선릉역 매니저는 “소득 공백을 만회할 현금흐름을 만들려면 어떤 방법이 필요한지 대안을 세우고자 찾아오는 경우가 늘었다”며 “상담 외에도 여러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관련 세미나나 행사로 고객을 맞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한은행은 연금라운지를 전국 5개 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다. 은퇴 전후 고객을 대상으로 자금관리에 대한 1대1 맞춤형 상담 등을 제공하며, 보유 자산 및 현금흐름 진단, 평생 소득 설계 및 관리 등 금융 서비스를 지원한다. 원데이 클래스나 세미나도 주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지역별 공식 전화 또는 가까운 신한은행 영업점을 방문해 예약 가능하다.

▲‘신한 학이재 경기’에서 세미나를 듣고 있는 시니어들.(신한은행)
▲‘신한 학이재 경기’에서 세미나를 듣고 있는 시니어들.(신한은행)

조은미 신한 연금라운지 수원 팀장은 “고객마다 알고 있는 정보의 종류와 수준이 다르고 처한 상황 역시 차이가 있어, 시간에 제약을 두지 않고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며 “신한은행과 거래하지 않던 고객이라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니, 노후 자금의 테두리를 그리고자 한다면 누구나 부담 없이 찾는 공간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50대, 은퇴 준비 마지막 골든타임” 은퇴 전후 50·60 재테크 전략
    “50대, 은퇴 준비 마지막 골든타임” 은퇴 전후 50·60 재테크 전략
  • 은퇴 전 40·50의 노후 자산 마련, 미래 준비 해법은?
    은퇴 전 40·50의 노후 자산 마련, 미래 준비 해법은?
  • ‘위기를 기회로’ 생활비 아끼는 중년 맞춤 짠테크 솔루션은?
    ‘위기를 기회로’ 생활비 아끼는 중년 맞춤 짠테크 솔루션은?
  • ‘전기’처럼 일상에 녹아들 금융AI, 미래는 어떻게 바뀔까?
    ‘전기’처럼 일상에 녹아들 금융AI, 미래는 어떻게 바뀔까?
  •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 2년 연속 악화… 10명 중 4명 빈곤층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 2년 연속 악화… 10명 중 4명 빈곤층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