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살것인가

기사입력 2017-08-30 16:00 기사수정 2017-08-30 16:00

서부 50플러스센터에서 건축사 손웅익 강사의 특강에 관심이 있어서 가 봤다. 현재 살아가는 데는 불편이 없지만, 주거의 형태가 나이가 들면서 바뀌어야 하기 때문에 미래의 주거 형태가 궁금했던 것이다. 90분 동안 이어진 강의를 듣고 무엇이 중요한가를 배웠다,

현재는 지금 살고 있는 집에서 살다가 죽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Aging in Place’라고 한다. 우선 동네 지리에 밝아 편하다. 내 집이므로 누가 간섭할 것도 없고 편하게 살면 된다. 그러나 건물도 수명이 있다. 영원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언젠가는 한 번 쯤은 또 이사를 가야 한다.

나이가 더 들어 신체 활동이 불편해지면 그때는 자기 집이라도 자기에 맞게 리모델링을 해야 한다. 마끌어지기 쉬운 욕탕 부근에는 손잡이라도 더 만들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자 살기 어렵다면 빈 방을 이용하여 젊은 세입자들을 받아 같이 생활하는 방법도 있다. 요즘 셋방 평균 가격이 월 50만 원 정도이므로 이보다 싼 가격으로 내놓으면 세입자 구하기는 어렵지 않을 것이다.

방은 별도로 쓰더라도 거실이나 취사시설, 세탁 시설 등은 여럿이 공유 공간을 갖는 방법도 있다. 이것도 물론 장단점이 있다. 혼자 야밤에 출출해서 라면이라도 간단히 끓여 먹고 싶은데 공유 공간에 여전히 여럿이 안 자고 있으면 혼자 먹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도심을 떠나 전원주택으로 가서 사는 것을 생각해 보는 사람도 많다. 요즘은 대중교통의 발달은 물론 서울 외곽순환도로 등 교통이 좋아져서 서울 도심에서 멀지 않은 곳도 많다. 펜션처럼 수익을 만들 수도 있다.

시니어 주거단지를 만들어 같이 들어가서 살 수도 있다. 마음 맞는 사람들끼리 같이 살면 재미도 있고 즐거울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마음 맞는 사람들로 구성하기는 경제적 수준도 맞아야 하고 마음도 맞아야 하니 쉽지 않다.

마지막으로 고려해볼 주거 형태가 시니어타운이다. 그러나 그동안 시니어타운은 많은 문제점을 노출했다. 분양에서부터 사기도 많고 운영에서도 실망스러운 부분이 많이 노출되어 세심한 사전 조사가 필요하다.

전체적으로 어떤 주거 형태가 좋을지는 답이 없다. 의향이 있다고 해도 경제적인 뒷받침이 없으면 그림의 떡일 뿐이다.

손웅익 강사는 그보다 더 중요한 점은 ‘관계’라고 정의했다. 지금 살고 있는 현재 주거형태에서는 부부간의 관계가 중요하고, 전원주택은 그에 더해서 현지인들과의 관계도 중요하다고 했다. 공동 주택도 서로 다른 사람들이 모여 사는 것이므로 관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음이 맞지 않는 사람들과의 동거는 스트레스이다. 그런 사람들이 있는 곳에서는 빨리 벗어나고 싶은 것이 사람의 심리이다, 관계를 원활히 하려면 자신의 성격도 누그려 뜨려야 하는데 나이 들어 성격을 고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사람을 피해가는 방법이 낫다. 좋은 관계의 사람들을 만나는 것도 행운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사회적 교류 활발한 50대 여성도…” 외로운 중장년은 우울하다
    “사회적 교류 활발한 50대 여성도…” 외로운 중장년은 우울하다
  • [카드뉴스] 안면 근육 ‘이렇게’ 풀어주세요
    [카드뉴스] 안면 근육 ‘이렇게’ 풀어주세요
  • 노인 인구 1천만 명 시대의 공략법 ‘시니어 파워 시대’
    노인 인구 1천만 명 시대의 공략법 ‘시니어 파워 시대’
  • 손녀딸의 치매 할머니 간병기, “증상 완화보다 ‘존중’이 먼저”
    손녀딸의 치매 할머니 간병기, “증상 완화보다 ‘존중’이 먼저”
  •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고위험군 의심되면 신속 치료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고위험군 의심되면 신속 치료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