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치매에 걸린다면…

기사입력 2017-10-19 10:47 기사수정 2017-10-19 10:47

[동년기자 페이지] 치매에 대한 회포

치매 전문 자원봉사 일을 하면서 치매환자를 자주 만난다. 중풍이 환자 자신을 비참하게 만드는 병이라면 치매는 가족을 죽이는 병이다.

초기 치매환자의 증세는 본인도 그렇지만 남들도 잘 알아차리지 못한다. 치매환자를 구박하거나 정신 차리라고 때리는 사람도 본다. 치매환자의 가정을 방문하면서 가족이 겪는 고통을 볼 때는 참으로 안타깝다.

점점 나빠지는 치매환자를 보면서 절망에 낙담하는 보호자를 보는 것도 고통이다. 치매는 예방약도 없고 치료약도 없다. 치매의 발병을 더디게 하거나 진행 속도를 늦추는 방법이 현재로서는 유일하다.

언제 치매가 발병할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치매는 노화가 주된 원인인 점은 틀림없으므로 나이가 들어가면 누구나 예외 없이 치매 발병을 더디게 하는 행동을 해야 한다.

치매의 초기 증세는 가까운 가족이 아니면 알아차리기 어렵다. 거스름돈을 잘못 계산한다거나 과거 잘해 오던 일에서 가끔씩 착오를 일으키는 잘못을 하면 치매를 의심해봐야 한다. 이런 사소하고도 경미한 잘못은 평생을 함께한 부부가 발견하기가 쉽다.

대한치매학회에서는 개인 일상생활 동작은 완벽하지만 경미한 건망증이 있는 치매 의심 대상자들에게 새로운 공부를 시작하라고 권고한다. 손을 이용하는 미술, 노래교실, 외국어공부, 수학공부가 좋은데 초등학교 3~4학년 수준부터 시작하는 것이 흥미를 돋우는 데 좋다고 한다. 치매는 혼자 있는 고독한 노인을 집중적으로 공격한다. 부부가 함께 격려하며 때로는 경쟁하며 새로운 공부를 시작한다면 치매의 발병을 늦추거나 진행을 더디게 할 수 있다.

누구나 나이 들면 치매에 대해 기초적이고 개략적인 지식은 알고 있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우리보다 고령사회를 먼저 경험한 일본에서는 치매환자 케어의 새로운 기법으로 치매환자가 하는 말을 빠짐없이 적는다고 한다. 치매환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를 알아서 케어의 실마리를 찾는다. 즉 자주 사용하는 단어가 있는 뇌 부분은 뇌세포가 아직 죽지 않고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잔디밭 이야기를 자주 하는 치매환자를 직접 잔디밭으로 모시고 갔더니 잡초도 뽑고 일에 열중했다. 땀도 흘리고 모처럼 얼굴에 웃음도 배어 나왔다고 한다. 심지어 이런 장면을 영상 촬영하는 엔지니어에게 “그렇게 서 있지만 말고 여기 와서 잡초를 뽑아요!”라는 말까지 했다고 한다.

한평생을 함께 살아온 부부라면 치매에 걸린 남편 또는 아내가 한두 마디 문장구성이 되지 않는 말을 한다고 해도 그 의미를 쉽게 알아챌 수 있다.

남들이 들으면 의미 없는 중얼거림이라 해도 수십 년을 함께 살아온 부부라면 말하는 의도를 빨리 이해한다. 부부의 건강한 한쪽이 아픈 한쪽을 케어해야 하는 것이 당연한데 치매는 특히 더하다. 결혼을 할 때 수많은 일가친척, 친지들을 모신 자리에서 기쁜 일이나 슬픈 일이 있더라도 늘 부부로서 함께 살겠다고 서약을 했다.

치매는 병이다. 병든 아내를 남의 손에 맡기고 나 몰라라 하는 행위는 결혼서약을 위반하는 것이다. 아내가 치매에 걸린다면 그날부터 아내를 케어하며 마지막 여생을 보내겠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고령자 돌봄, 향후 ○년에 달렸다
    [카드뉴스] 고령자 돌봄, 향후 ○년에 달렸다
  • 2025년 새해, 노후의 초석 마련할 ‘비움’ 습관 세 가지
    2025년 새해, 노후의 초석 마련할 ‘비움’ 습관 세 가지
  • 지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시니어 지갑 잠기지 않아”
    지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시니어 지갑 잠기지 않아”
  • 중장년층 소득, 연평균 4259만 원… 2030 청년층의 1.4배
    중장년층 소득, 연평균 4259만 원… 2030 청년층의 1.4배
  • [카드뉴스] 1월 중장년 문화 달력
    [카드뉴스] 1월 중장년 문화 달력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