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살고있는 마을은 벼농사를 짓는 논으로 둘러싸여 있다. 모내기 철이면 농기계를 이용하여 논의 써레질과 모내기를 혼자서 손쉽게 마친다. 과거에 논을 고르는 일은 소를 이용했고 모내기는 사람 손으로 했다. 농사철이면 귀신도 일손을 돕는다고 했을 정도였다. 기계화에 따라 소나 사람의 역할은 크게 줄어들었다. 이러한 기계화에 이어지는 4차 산업혁명은 더욱더 사람의 노동력을 크게 줄여 한가한 시간, 즉 여가는 많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는 여가의 개념을 은퇴한 후의 분야로 생각했다. 여가 관리나 여가 설계는 노후 생활의 한 방편으로 취급하여 노후설계 강좌엔 필수 항목으로 들어간 이유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여가는 직장인이나 사업가, 정년퇴직한 사람에게 적용이 다를 수 없다. 사람이 하던 많은 부분을 인공지능 로봇이나 사물인터넷, 3D프린터 등으로 대체해 가고 있다. 당연히 그 시간이 여가로 전환될 수밖에 없다. 늘어나는 여가를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가장 큰 고민거리로 등장한다. 국내 어느 대학의 한 교수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류가 임금을 받는 노동에서 완전히 해방되지는 않더라도 최소한 일주일에 50~60시간 일하던 것을 10시간 내외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여가가 넘쳐나는 미래가 오고 있음이다. 이런 예측은 어제오늘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1930년쯤에 영국의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2030년이 되면 인류는 주 15시간 일할 것이고 무한한 여가를 보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 했다. 4차 산업혁명으로 그동안 인간이 하던 모든 작업을 대신하게 되고 그 시간을 사람들은 예술과 드라마, 춤, 상상이 만들어낸 삶에 몰입함으로써 여가를 풍부하게 즐길 기회가 많이 늘어날 것이다. 그야말로 여가 혁명 시대가 오고 있다.
단순한 시간 보내기가 아닌 인간의 궁극적 목적인 행복 추구를 위하여 접근해야 한다. 개인이나 회사, 기관이나 정부 차원에서도 여가 혁명 시대를 슬기롭게 대응해 나갈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 언론 매체에도 구체 대안을 끌어내고 방향을 제시해야 하지 않을까? 그 시기는 상상 이상으로 빨리 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