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만강 푸른 물에

기사입력 2018-07-30 11:54 기사수정 2018-07-30 11:54

[同年기자] 백두산 여행기

백두산 탐방 일정에 윤동주 생가 방문이 있었다. 강신영 동년기자, 이경숙 동년기자와 함께 한 이번 여행에 동행한 신광철 시인의 시평(詩評)이 이동하는 버스에서 이어졌다.


윤동주, 참담한 이름이다. 눈물을 통해서 바라보아야 이해되어지는 맑은 시인이다. 시를 한 편도 발표하지 못한 시인. 시집을 한 번도 내지 못하고 간 시인. 스물아홉이란 나이에 싸늘한 감옥에서 죽음을 맞이한 시인이다. 첫 시집이 유고(遺稿) 시집이 되었다. 윤동주 시인 자신은 받아보지도 못한 시집이 되었다. 그의 이름에는 성장하지 못한 소년이 들어 있다. 아니 청년이겠지? 스물아홉, 가장 빛나는 시절을 막 넘기려는 나이다. 스물아홉에 죽음을 맞이한 윤동주 시인은 순결의식에 안타까워 쩔쩔매게 하는 빛나는 슬픔을 느끼게 한다. 그래서 그의 죽음을 정지용 시인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시집 서문에 이렇게 썼다.

“무시무시한 고독 속에서 죽었구나! 29세가 되도록 시도 발표하여 본 적도 없이!”

자신이 쓴 시를 이 세상에 한 작품도 발표한 적이 없었다. 그렇게 미완의 한 시인은 죽었다. “시와 시인은 원래 이러한 것이다”라는 정지용 시인의 글에서 또 한 번 숙연해진다. 윤동주 시인을 떠올리면 미완성이라는 단어가 그의 곁에 서성이고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성숙보다는 어린아이 같은 순수와 파릇파릇한 양심에 기댄 인생관이 보인다. 막 봄을 만난 나무가 추위에 겨우 견디고 있는 모습이 그려진다.

- 신광철 시인의 산문 中

▲윤동주 생가(김종억 동년기자)
▲윤동주 생가(김종억 동년기자)

숙연한 마음으로 생가를 들어섰다. 대문 앞에 있는 돌비석에는 ‘중국 조선족 애국시인 윤동주 생가’라는 글과 함께 한문이 새겨져 있었다. 1945년, 해방을 6개월 앞두고 29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한 윤동주는 간도 이주민 3세로 1917년 북간도 명동촌(明東村)에서 태어났다. 윤동주의 성장기는 부러울 것이 없었다. 10칸짜리 생가 옆에는 교회가 있고, 소학교도 얼마 안 된 거리에 이웃해 있었다. 소년 윤동주에게는 교육자요, 기독교 목사인 큰 외숙 김약연(金躍淵, 1868~1942)의 영향이 매우 컸다. 규암(圭巖) 김약연은 명동소학교를 창립하고, 교장을 지낸 우국 교육자다. 그러나 윤동주는 1945년 2월 16일 오전 3시 36분에 일본 후쿠오카 감옥에서 작고했다. 당시 그의 나이 29세였지만 실제로는 만 27년 1개월 17일을 살고 갔다.

관리인의 안내로 이곳저곳을 둘러보았다. 푸르디푸른 스물아홉의 나이에 현해탄 건너 일본 감옥에서 생체실험을 당하면서 쓸쓸하게 죽어간 시인의 아픔이 절절이 다가왔다. 동행한 이경숙 동년기자가 시비(詩碑) 앞에서 윤동주의 서시(序詩)를 낭송했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윤동주 생가에 하루 500여 명의 한국인들이 다녀간다고 하니 그나마 아쉬움을 달랠 수 있었다.

▲압록강(김종억 동년기자)
▲압록강(김종억 동년기자)

머지않아 불어올 훈풍

이튿날, 우리는 도문을 향해 출발했다. 명동촌 입구에서 중국 공안이 버스를 세우고 차에 오른다. 공안의 표정이 일순간 섬뜩해보였다. 이곳이 중조(中朝, 중국과 조선) 변경에서 가까운 도시라 검문이 철저하다고 했다. 탈북자들을 감시한다는 명목 하에 한 사람 한 사람 여권 사진을 대조하면서 검문을 했다.

얼마 후 고대하던 두만강에 드디어 도착했다. 압록강 강변에서 보았던 북한의 풍경이 더욱 가까이 눈에 들어왔다. 무심한 강물만이 유유히 흐르고 있었다. 내 마음을 대신하듯 빗방울이 간간이 뿌려댔고 하늘도 잔뜩 찌푸려 있었다. 이곳 강물에 손 한 번 담가보는 것이 소원이었다. 친구와 함께 ‘눈물 젖은 두만강’도 불러보고 싶었다. 철조망 너머로 손에 잡힐 듯 보이는 북한 땅은 고요하기만 했다. 두만강 철교는 러시아와 중국, 북한의 접경 지역으로 민간인 출입이 쉽지 않다고 한다.

4월 27일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북미회담까지 이루어졌으니 앞으로 이곳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어올 것이다. 머지않아 훈풍이 불어오기를 기대해본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곳 분위기는 정중동이라고 할까? 어쩌면 훈훈한 바람은 머나먼 남의 얘기가 될 수도 있다.

강을 가로질러 물보라를 일으키며 배를 타는 사람들도 있었다. 아마도 중국인들이겠지? 친구와 나는 그저 마음으로만 ‘눈물 젖은 두만강’을 부르면서 아쉬움을 뒤로 한 채 자리를 떴다.

하지만 언젠가는 유라시아 대륙 철도를 타고 자유롭게 두만강 철교를 건너게 될 날도 오지 않을까 희망을 가져본다.

4박 5일의 모든 일정이 두만강에서 끝났다. 과연 나는 무엇을 보고 무엇을 느낀 걸까? 출발하기 직전의 설렘은 광개토대왕릉을 탐방하면서 아쉬움으로 다가왔다. 마치 현란한 마술쇼를 보여주듯, 안개 장막을 걷어내고 고운 속살을 보여주던 백두산 천지의 모습은 오랜 감동과 전율로 남았다.

압록강과 두만강에서 희망의 싹을 보았으니 더 이상 무엇을 바랄까? 그저 감사할 뿐이다. 언젠가 또다시 이곳을 찾는다면 기쁨에 겨워 목청을 돋워보리라.

▲강신영, 이경숙, 김종억 동년기자(김종억 동년기자)
▲강신영, 이경숙, 김종억 동년기자(김종억 동년기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남한강변 여주의 늦가을 산책… “왕의 숲길에서 책을 만나다”
    남한강변 여주의 늦가을 산책… “왕의 숲길에서 책을 만나다”
  • 가을길을 걷고 또 걷다 보니… 한없이 편안한 예천
    가을길을 걷고 또 걷다 보니… 한없이 편안한 예천
  • 전통과 예술의 고요한 어울림, 풍류 흐르는 안동의 여행지들
    전통과 예술의 고요한 어울림, 풍류 흐르는 안동의 여행지들
  • 활짝 핀 수국 가득한, 태평하고 안락한 태안의 여름
    활짝 핀 수국 가득한, 태평하고 안락한 태안의 여름
  • 하루 여행으로 딱 좋은 당진의 깊은 맛
    하루 여행으로 딱 좋은 당진의 깊은 맛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