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3월 1일 일어난 3·1운동은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여 한국의 독립을 선언한 사건으로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졌다. 특히 올해는 3·1운동 발발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해다. 현재의 우리나라를 있게 한 커다란 밑거름이 되었던 3·1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장소를 소개한다.
탑골공원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2가 38-1
우리나라 최초의 도심 공원인 탑골공원은 1919년 3·1운동이 일어났던 곳이다. 3·1운동 당시 시민들과 학생들이 모여 만세를 외쳤으며 학생 대표가 독립선언문을 낭독했던 팔각정이 남아 있다. 3·1운동 기념탑, 3·1운동을 기록한 부조, 의암 손병희 선생의 동상과 한용운 시비 등을 둘러볼 수 있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
위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251
서대문형무소는 1908년 10월 21일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이라는 이름으로 개소되어 1945년 해방까지 한국의 국권을 되찾기 위해 싸운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되었다. 현재는 과거의 아픔과 역사를 교훈으로 삼고자 1998년 서대문형무소역사관으로 개관하여 교육의 현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3·1운동 직후 유관순 열사가 투옥되어 숨을 거둔 지하 옥사와 감시탑, 고문실, 사형장, 옥사 7개동, 역사전시관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안중근 의사 기념관
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가 471-2 소월로91
1909년 중국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독립운동가 안중근 의사를 기리는 기념관이다. 전시관 안에는 안중근 의사의 동상과 혈서로 직접 써낸 ‘大韓獨立(대한독립)’이라 쓰여진 대형 태극기가 걸려있다. 이외에도 단지동맹 엽서 만들기, 안중근 의사에게 편지 쓰기 등의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독립기념관
위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 95
민족의 자주와 독립을 위해 헌신한 조상들이 남긴 자취와 자료를 수집, 전시했다. 독립기념관의 상징적 건축물인 ‘겨레의 집’을 지나면 3·1문화마당이 나온다. 제4전시관에선 독립운동의 정신, 실천, 과제, 계승이라는 4가지 주제를 통해 독립운동의 의미와 가치를 전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