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세상에 벚꽃이 만개했다. 우리 동네 가로수에도 벚꽃이 활짝 피었다. 조명이라도 밝혀 놓은 듯 세상이 환하다. 온 땅이 기지개를 켜듯 기운이 살아난다. 강원도 산불의 주범이었던 강풍에도 아직은 세상을 떠날 의사가 없는 듯 벚꽃들은 완강히 가지에 달라 붙어있다. 봄은 힘이 세다. 꽃의 생명력은 끈질기다.
그러나 봄은 곧 퇴장한다. 꽃들도 끈질긴 생명력을 때가 되면 미련없이 버린다. 가야 할 시간이 되면 봄바람에 흩날리며 장렬히 산화할 것이다. 그 모습은 결코 추하지 않다. 이형기 시인은 <낙화>를 이렇게 노래했다.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식물도 이렇게 있어야 할 때는 모진 외풍에도 의연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가 역할이 끝나면 미련 없이 물러나거늘.. . 그래서 그 모습은 비장하게 아름답거늘... . 어째서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들은 그리도 떠날 때를 모르고 미적거리다가 망신을 당하고야 마는지...
얼마 전 TV 토크쇼에서 배철수를 만났다. 젊은 시절에는 별로 좋아하지 않았던 송골매의 배철수가 화사한 은발과 맑은 얼굴을 하고 등장했다. 여기에 뜬금없이 배철수를 소환한 것은 본받을만한 그의 삶의 철학 때문이다. 그는 자신이 가진 것보다 넘치는 환호를 받으면 몹시 불편하단다. 가진 것보다 조금 못하게 평가받을 때 마음이 편하다고 말한다. 소박하지만, 요즘 세태에서 가슴에 와닿는 말이다.
최근 허세의 아이콘으로 세상을 주름잡던 한 청년이 이카로스처럼 한없이 몰락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세상 이치의 엄정함을 새삼 절감한다.
최인호의 소설 ‘상도’에 나오는 ‘계영배’도 떠오르는 요즘이다. 술잔의 구조가 70% 이상을 따르면 아래로 새 버리게 되어 있어 욕심을 버리라고 절제를 가르치는 술잔이다. 행복은 욕심으로 얻을 수 없다. 오히려 절제 속에 행복의 실마리가 보인다. 이형기는 그것을 이렇게 노래한다. ‘분분한 낙화/ 결별이 이룩하는 축복에 싸여/ 지금은 가야 할 때.’
그렇다. 가야 할 때 가는 것이 축복이다.
무너지고 있는 그 연예인 뿐만 아니라 떠나야 할 때를 모르고 구질구질하게 자리에 매달려 있는 ‘벼슬 높은 이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얘기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