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의 큰 문제 중 하나가 소외감ㆍ고독감이잖아요.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관계를 이어나갈 수 있는 여가 활동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노인들에게 여가 생활이 꼭 필요한 거예요.
어울림이라는 측면에서 함께 활동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윤소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박사
(시니어 매거진 2024년 10월호 인터뷰 중)
에디터 조형애 취재 전혜정
50세 이후 운명은 스스로가 결정한다는 말이 있다.
노화 자체를 인정하고 긍정적인 시각으로 안정적인 일상을 산다면,
금연, 적절한 음주, 규칙적인 운동, 본인에게 맞는 체중 조절 등을 한다면,
삶의 질 높은 노년을 맞을 수 있다.
- 서민석,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시니어 매거진 칼럼 중)
에디터 조형애 글 서민석
퇴직 후 에너지와 영감을 얻으려면 새로운 자극이 필요합니다.
일상 공간을 바꿈으로써 가장 강력한 자극을 받을 수 있어요.
한달살기도 좋지만 퇴직 전이라면 매월 1박 2일이라도 갭타임을 가져보세요.
중년 이후 더 멀리 가려면, 지금 잠시 쉬어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남경아, 경기도 베이비부머기회과장
(시니어 매거진 2023년 6월호 인터
시니어 케어기업 티에이치케이컴퍼니(THKCompany, 대표 신종호)와 시니어 전문방송 시니어TV(대표 구본일)는 콘텐츠 강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시니어 세대의 필요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상호 협력할 것을 목적으로 출시 4개월 만에 20만 다운로드를 달성한 시니어 케어 앱 서비스 ’이로움돌봄’ 운
눈에 보이지 않는 신념과 가치에 따라 노후 생활의 질이 달라져요.
나에게 자산이 왜 중요한지, 돈이란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봐야 합니다.
재무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건 결국 ‘어떻게 살 것인가’하는 방향성입니다.
- 최문희, ELP컨설팅 대표
(시니어 매거진 2023년 9월호 인터뷰 중)
에디터 조형애 취재 이연지 디자인 유영현
우리나라 사람들은 나이 타령을 너무 많이 해요.
‘이 나이에’라는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 부디 호기심을 잃지 마세요.
다 안다고 생각하면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게 어려워요.
경험을 바탕으로 150세 시대를 계획해 보세요.
나이 먹는다는 건 진화한다는 뜻입니다.
- 김병숙, 한국직업상담협회 이사장
(시니어 매거진 2023년 4월호 인터뷰
힘들고 외롭고 헛헛한 시간을 보내는 중년이 많을 거라고 생각해요.
벌써 이렇게 살아왔나 싶고… 후회되는 순간도 많죠.
그런데 지금 그 자리가 최선이라고 말하고 싶어요.
지나간 날은 돌아오지 않아요. 중년 여러분, 늘 응원합니다!
- 조은숙, 배우
(시니어 매거진 2023년 9월호 인터뷰 중)
에디터 조형애 취재 손효정 디자인 이은숙
나이 먹는다는 건 정말 신나는 일이에요!
살아온 세월이 다 없어진 것 같지만 어떤 형태로든 쌓여 있거든요.
그게 내 삶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요.
저는 지난 70여 년의 시간이 정말 좋았어요.
80대에는 또 어떤 멋진 노래를 부를지 기대돼요.
- 최백호, 가수
(시니어 매거진 2022년 1월호 인터뷰 중)
에디터 조형애 취재 손효정 디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