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령자가 주의해야 할 겨울 질환은?
- 겨울은 노인에게 특히 취약한 계절이다. 추운 날씨는 몸과 마음을 위축시키는데, 나이가 많을수록 신체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이 약해지고 기후 변동에 적응력과 면역력이 떨어져 질병에 대한 감수성이 더 높아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보험개발원이 계절에 따른 연령별·원인별 사망자 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연령일수록 겨울에, 저연령일수록 여름에 사망 비중이 높았다. 70
- 2021-12-07 10:41
-
- 벌초나 성묘할 때 쓰쓰가무시·유행성출혈열 조심해야
- 추석을 앞두고 벌초와 성묘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9월 가을에 야외에서 활동하면 진드기나 쥐를 통해 쓰쓰가무시병과 유행성출혈열 같은 가을 전염병에 감염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김시현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9~11월 야외에서 진드기나 쥐를 통한 감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면서 “벌초나 등산을
- 2021-09-11 16:09
-
- 코로나19보다 사망자 25배 많은 폐렴, 왜?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평범했던 일상을 잃은 지도 무려 20개월에 가까워지고 있다. 감염률과 치명률이 높다고 알려진 코로나19에 온갖 관심이 쏟아지면서 다른 이슈에는 무감각해지는 사회적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의료계에서 예외가 아니다. 질병에 대한 관심이 코로나19에 한정돼 타 질병에 대한 우려와 관심이 상대적으로 줄어
- 2021-07-13 16:19
-
- 코로나19 관심에 시니어 폐렴과 대상포진 백신 감소
- 7일 0시 기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 백신 누적 1차 접종자가 1540만 1361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30%를 넘어서면서 집단면역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달 말부터 50대 백신 접종이 본격화된다. 정부는 9월말까지 국민 70%인 3600만 명에 대한 1차 접종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런데 코로나19
- 2021-07-07 15:37
-
- 골다공증有 노년층, 재채기로도 압박골절 올 수 있어
- 올해 겨울은 유난히 춥고 눈도 많았다. 이처럼 춥고 궂은 날씨가 늘게 되면 그만큼 야외활동과 운동량이 줄고 관절이 경직된다. 낙상에 의한 골절 위험이 더 올라가는 셈이다. 이때 노년층이나 골다공증 환자가 주의해야 할 척추질환이 있다.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이다. 최두용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골다공증이 있는 60~70대 이상 노년층
- 2021-02-15 10:11
-
- 괴로웠던 딸꾹질 20시간
- 임철순 언론인ㆍ전 이투데이 주필 지난주 동네 의원에서 폐렴 2차 예방접종을 받았다. 작년에 이어 1년 만인데, 왜 그런지 이번엔 저녁때부터 접종 부위가 붓고 몹시 아팠다. 밤새 한잠도 못 자고 몸살을 끙끙 앓았다. 다음 날 의원에 다시 찾아가 엉덩이에 주사를 이쪽저쪽 두 방이나 맞았다. 엎드리지도 않고 선 채로 바지만 까 내리고 주사를 맞았는데,
- 2020-12-23 09:06
-
- 탈취방향제 '피톤케어 포레스트 샤워' 출시
- 코로나19로 외부 활동이 제한되는 시기, 실내를 숲속으로 만들어 줄 ‘숲프레이’(숲+스프레이)가 출시됐다. JW생활건강은 천연 피톤치드 탈취방향제 ‘피톤케어 포레스트 샤워’를 출시한다고 7일 밝혔다. ‘피톤케어’는 피톤치드를 주성분으로 한 JW생활건강의 탈취방향제 브랜드다. ‘피톤케어 포레스트 샤워’는 전라남도 장흥의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프리미엄
- 2020-12-07 10:39
-
- 아픈 세월이 길어지고 있다
- 우리 국민의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간 차이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프면서 오래 사는 수명의 증가 지난 6월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82.7년으로 10년 전(79.6년)보다 3.1년 증가했으며, 전년과는 동일한 수준을 보였다. 남자와 여자의 기대수명 차이는
- 2020-06-24 09:29
-
- 무료 폐렴구균 예방접종 민간 병·의원 확대
- 질병관리본부가 고령자의 무료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민간 병·의원까지 확대한다. 보건소를 통한 고령자 폐렴구균 접종률은 매년 70% 수준이었으나, 올해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해 4분의 1로 줄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65세 이상 고령자는 오는 2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주소지에 관계없이
- 2020-06-19 11:07
-
- 고령층 56%, 폐렴구균 백신 미접종 "코로나 합병증 우려"
- 65세 이상 고령자 2명 중 1명은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고령자는 폐렴구균감염증과 합병증으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중증환자가 될 위험이 높다. 보건복지부는 18일 ‘국가예방접종사업 미도입 및 고위험군 성인 백신의 접종률 조사 및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충남대학교 산학연구단
- 2020-06-18 1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