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제주도에서는 매년 4월이 되면 마을마다 ‘미역 채취의 날’이 있었다. 마을 어촌계에서 2~3일을 정해서 집중적으로 미역을 채취하는 날이다. 이날은 초등학교나 중학교에서 임시 휴교를 해 학생들은 집에서 아기를 보거나 아니면 바다에 가서 부모님을 도와야 했다.
바다에 나갈 때는 보리건빵을 얻어먹을 기대에 부풀었다. 어머니가 바다에서 채취한 생미역을 주최측에 갖다주면 보리건빵이나 붕어빵으로 교환해주곤 했다. 미역 5개 줄거리 정도를 갖다 주면 보리건빵 한 봉지를 줬다. 당시 제주 어린이들에겐 가장 큰 즐거움이었다.
몇 년 전부터 아내가 시골에서 ‘보리건빵 장사꾼’이 됐다. 매년 11월이 되면 제주에서는 감귤 수확을 하는데 처가의 감귤 수확을 도와주기 위하여 아내는 2개월 정도 고향에 머문다. 그런데 고향에 갈 때마다 보리건빵을 튀겨서 가지고 가는 것이다.
이 튀긴 보리건빵이 동네 주민들에게 인기다. 요즘은 이 보리건빵을 아이들보다 어른들이 더 좋아한다. 아내는 보리건빵을 주고 동네 사람들로부터 콩, 팥, 참깨, 옥돔 등을 선물로 받아온다. 나는 아내에게 보리건빵으로 크게 남는 장사를 한다고 농담한다.
올해도 보리건빵을 튀겨서 고향에 가지고 내려가려고 김포에 있는 대형마트에 갔다. 서울시내 마트에서는 건빵을 대량으로 파는 곳이 없다. 그래서 김포에 있는 대형마트에 간 것이다. 3kg이 담겨 있는 5개 마대를 사가지고 왔다. 며칠간 튀겼다. 설탕, 꿀, 올리브유, 올리고당, 참깨 등을 넣고 ‘보리건빵 튀김 작품’을 만든 것이다. 다 튀겨서 두 개의 박스에 나누어서 포장한 후 11월 8일 비행기를 타고 고향으로 간다.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 상동마을 동네 주민들은 이맘때면 내 아내가 오기를 기다린다. 보리건빵 향수를 맛보기 위해서다. 고향에 보리건빵을 가지고 가서 친족과 동네 주민들과 함께 이야기꽃을 피우는 것이 너무 행복하다. 매년 보리건빵으로 추억을 떠올리는 즐거움을 누린다. 나와 아내는 고향에서의 보리건빵 나눔을 큰 보람으로 여기며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