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짓날의 풍속을 즐기는 현장을 찾아서

기사입력 2019-12-24 09:54 기사수정 2019-12-24 09:54

▲제주민속촌을 방문한 가족이 동지팥죽 새알심을 만들고 있다(홍지영 동년기자)
▲제주민속촌을 방문한 가족이 동지팥죽 새알심을 만들고 있다(홍지영 동년기자)

올해 동지 시간은 양력 12월 22일 오후 1시 19분이었다. 동지는 1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어 음(陰)이 극에 이르지만, 이날을 기점으로 다시 낮이 길어지기 시작, 양(陽)의 기운이 싹트는 사실상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다. 선조들은 동지를 작은 설로 부르면서 설 다음가는 날로 대접하곤 했다.

동짓날에 동지팥죽을 먹는 이유는 팥은 붉은색으로 양기를 나타내기 때문에 음기를 쫓는 데 효과가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대문이나 문 근처 벽에 뿌려 악귀를 쫓았다. 팥죽은 동지 시간에 맞춰 뿌렸다. 동짓날 팥죽을 쑤어서 나눠 먹는 행사를 주관하는 단체나 기관이 많아졌다.

▲남산골 한옥마을 정문에서 동지날 개막공연을 하고 있다(홍지영 동년기자)
▲남산골 한옥마을 정문에서 동지날 개막공연을 하고 있다(홍지영 동년기자)
▲남산골 한옥마을 개막공연과 함께 소원을 비는 모습(홍지영 동년기자)
▲남산골 한옥마을 개막공연과 함께 소원을 비는 모습(홍지영 동년기자)
▲동짓날 차례상에 무사안녕 기원하는 절을 올리고 있다.(홍지영 동년기자)
▲동짓날 차례상에 무사안녕 기원하는 절을 올리고 있다.(홍지영 동년기자)

서울 남산골 한옥마을 행사 현장을 찾아봤다. 오전 11시에 행사를 시작했다. 외국인들도 많았다. 오전 11시 정각 한옥마을 현관에서 민속 걸궁놀이로 행사의 개막을 알리면서 공연이 시작됐다.

30여 명의 걸궁놀이팀과 시민이 함께 어울려 개막 공연을 하고 잡귀를 쫓기 위해 팥을 뿌렸다. 걸궁놀이팀이 개막 공연 후에는 바로 한옥마을 마당으로 이동을 해서 한판을 신나게 놀고 상을 차려놓고 제사를 지냈다. 많은 시민들도 나와서 무사안녕을 기원하는 절을 올렸다.

▲동짓날 시민들이 소원지에 소원을 쓰고 있다(홍지영 동년기자)
▲동짓날 시민들이 소원지에 소원을 쓰고 있다(홍지영 동년기자)
▲동짓날 새해 염원을 담은 소원지를 새끼줄에 묶고 있다(홍지영 동년기자)
▲동짓날 새해 염원을 담은 소원지를 새끼줄에 묶고 있다(홍지영 동년기자)
▲동짓날 윷점보기 안내판(홍지영 동년기자)
▲동짓날 윷점보기 안내판(홍지영 동년기자)
▲동짓날 시민들이 윷점으로 새해 운수를 보고 있다(홍지영 동년기자)
▲동짓날 시민들이 윷점으로 새해 운수를 보고 있다(홍지영 동년기자)

부대행사는 한옥마을 마당에서 진행되었다. 동지 부적을 붙여서 잡귀를 쫓았으며 소원지에 소원을 담아 붙이기도 했다. 한쪽에서는 윷으로 점을 보았다.

▲제주민속촌 동지팥죽 행사 포스터(홍지영 동년기자)
▲제주민속촌 동지팥죽 행사 포스터(홍지영 동년기자)
▲제주민속촌 약도(홍지영 동년기자)
▲제주민속촌 약도(홍지영 동년기자)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에 있는 제주민속촌에서도 동지팥죽 체험행사를 매년 개최한다,

제주민속촌에서 자료를 얻고 현장 사진을 부탁했다. 제주민속촌에서는 12월 21일과 22일 양일 동안 제주민속촌 내 산촌목공예방 행사장에서 동지팥죽 체험행사를 개최했다. 팸플릿 타이틀에 '동지팥죽 맛봥 갑써'는 “동지팥죽을 맛보고 가십시오”라는 뜻의 제주도 방언이다.

▲제주민속촌 동지팥죽을 쑤는 모습(홍지영 동년기자)
▲제주민속촌 동지팥죽을 쑤는 모습(홍지영 동년기자)
▲제주민속촌 동지팥죽 새알심 만드는 모습(홍지영 동년기자)
▲제주민속촌 동지팥죽 새알심 만드는 모습(홍지영 동년기자)
▲제주민속촌을 방문한 아이들이 방아 찍기 체험을 하고 있다(홍지영 동년기자)
▲제주민속촌을 방문한 아이들이 방아 찍기 체험을 하고 있다(홍지영 동년기자)
▲제주민속촌에서 동지팥죽을 솥에서 쑤고 있다(홍지영 동년기자)
▲제주민속촌에서 동지팥죽을 솥에서 쑤고 있다(홍지영 동년기자)

제주민속촌의 동짓날 팥죽 체험은 옛날 우리 조상들이 했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민속촌을 방문한 가족이 함께 새알심을 만들어 보고, 방아를 찧고, 장작불을 때서 팥죽을 쒀서 시식하는 것까지 직접해보게 했다. 팥죽을 쑤는 솥도 옛날 가마솥을 이용했다.

동짓날을 기점으로 액운은 다 날려 보내고 앞으로는 좋은 일만 있기를 기원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남한강변 여주의 늦가을 산책… “왕의 숲길에서 책을 만나다”
    남한강변 여주의 늦가을 산책… “왕의 숲길에서 책을 만나다”
  • 가을길을 걷고 또 걷다 보니… 한없이 편안한 예천
    가을길을 걷고 또 걷다 보니… 한없이 편안한 예천
  • 전통과 예술의 고요한 어울림, 풍류 흐르는 안동의 여행지들
    전통과 예술의 고요한 어울림, 풍류 흐르는 안동의 여행지들
  • 활짝 핀 수국 가득한, 태평하고 안락한 태안의 여름
    활짝 핀 수국 가득한, 태평하고 안락한 태안의 여름
  • 하루 여행으로 딱 좋은 당진의 깊은 맛
    하루 여행으로 딱 좋은 당진의 깊은 맛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