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아래 처음 열린 길

기사입력 2020-01-02 08:25 기사수정 2020-01-02 08:25

[더불어 숲] 충주 하늘재 옛길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유서 깊은 옛길과 불교 유산을 함께 답사할 수 있는 명품 코스다.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에 있는 미륵대원지를 탐승 기점으로 삼는다. 하늘재 정상까지는 약 2km. 정상에선 다시 원점으로 회귀한다. 재 너머 반대쪽 길이 끊겼기에.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옛날 이름은 계립령, 요즘은 하늘재로 부른다. 옛길 중에서도 옛길이다.

한반도에서 가장 오랜 옛길이다. 고증할 수 있는 역사로 볼 적에 그렇다. ‘삼국사기’는 적시하고 있다. 신라 초, 156년에 이 길을 열었다고. 근 2000여 년 전에 생긴 길이니 아득하다.

두 발 달린 사람이 살았던 시대와 장소마다 의미심장한 산길이 열렸겠지. 하늘재보다 더 오랜 길이 왜 없으랴. 역사가 채록하지 않은 고갯길들이 그 얼마나 많으랴.

그러나 인간은 시간 저편을 보는 눈이 없어 역사를 빌려 사라진 과거 한 줌을 움켜쥔다. 없는 게 시간을 보는 눈뿐이랴. 삶을 보는 눈이 없어 편견에 기대어 내가 아는 것만 우기며 산다. 사랑을 보는 눈이 없어 편린으로 남은 추억을 쥐어짜 아픔을 아로새긴다.

하늘재 옛길로 접어든다.

겨울 숲의 알싸한 냉기가 코끝으로 스며든다.

완만한 흙길이라서 걷기에 좋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물소리에 고개를 돌리자 작은 계류에 서린 물빛이 투명하다. 거기에 무엇이 있나? 들여다보니 송사리 떼가 물살을 거슬러 오른다. 무슨 열정으로, 무슨 정념으로 온몸을 휘저어 흐름을 거스르는가. 그러나 거스름이란, 거역이란, 살아 있는 증빙이기에 순연(純然)이다.

삶의 고역스러움은 거역해야 할 때 거역하지 못한 응징으로도 주어지는 게 아닐지. 우리는 얼마나 자주 타성에 젖어 생활에 순종해왔던가. 얼마나 자주 본연을 잃은 굴종으로 ‘쌩쇼’를 일삼았던가.

송사리들의 용을 쓰는 역행엔 남세스러운 게 하나 없다.

잠깐의 걸음만으로도 숲의 안통에 닿는다. 숲이 깊어 나무들과 가까워진다.

헐벗은 저 나무들. 헐거운 저 표정들. 초록 이파리를 무성히 달아야만 생동하랴. 얻어 걸친 것 없이 태연한 겨울나무들도 알고 보면 씨억씨억 거센 숨을 토한다. 숲 그늘 새로 비집어 든 햇빛 한 조각이면 거뜬하다. 햇빛과 물과 공기만으로도 평생을 말짱히 사는 나무들의 청빈한 삶이라니….

그에 비해 인간의 삶은 얼마나 비경제적인가. 나무가 남이 아니라지만, 남이 아니기 이전에 어쩌면 고등한 선생님이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길은 굽이굽이 연신 휘어진다.

경사도가 낮아 숨찰 게 없다.

새소리마저 그쳐 그지없이 고요한 오후다.

쥐죽은 듯 조용한 숲길이다.

음미할 만한 적막이다.

욕조에 몸을 담그듯이 고요에 마음을 담근다. 그러자 새삼스럽게 귀가 열린다. 두 귀를 마냥 열어두는 건 산 아래 저자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지금 이 순간엔 들을 수 없는 것들마저 듣는 기분이다.

일테면 메마른 낙엽들의 밀어를. 나무가 나무를 어루만져 내는 첼로의 저음을. 또는 하늘재 길 공사를 하는 신라인들의 두런거림을. 귀에 고이는 상상의 독주(獨奏), 들을 수 없는 걸 듣는 청각의 뻥에 나는 기꺼이 속는다. 만상의 비밀을 품은 고요가 주는 선물이라 믿기에.

하늘에 닿을 지경으로 높고 가파른 잿마루라 하늘재? 그렇지 않다. 해발 525m로 그다지 높지도 않고 험하지도 않다. 경탄할 만한 산경을 펼쳐보이지도 않는다. 아마도 하늘 아래 처음 열린 길이라는 뜻으로 지어 붙인 이름이리라.

신라의 드높은 이상을 유비(類比)한 지명으로도 손색이 없겠지. 신라가 이 길을 개설한 게 민생의 편익만을 위해서였겠는가. 영토 확장의 욕망과 군사적 요충 확보라는 계산까지 실린 길이지 않겠는가.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하늘재의 쓰임새는 실로 다양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오늘날의 고속도로에 맞먹을 핵심 도로 인프라였으며, 불교문화의 유통 교차로였고, 툭하면 창검이 각축하는 전장(戰場)이었다.

그러나 여기에서 멀지 않은 문경 새재에 열린 새로운 고갯길이 각광받으면서 하늘재의 이용 빈도가 낮아졌다. 종단엔 잊히기에 이르렀다.

하늘재 마루에 올라서자 전망이 탁 트인다. 백두대간 첩첩준령들이 출렁거린다.

마의태자도 저 헌걸찬 산 물결을 바라봤을까. 신라 패망의 한에 겨워 명멸하는 세사의 덧없음을 한탄했을까. 고증할 방법이 없으니 전설일 뿐이지만, 마의는 하늘재를 거쳐 금강산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하늘재 들머리에 있는 미륵대원지의 미륵리석불입상도 마의가 세웠다 하고.

하늘재에서 펼쳐진 인간사의 영욕과 부침의 드라마는 이미 연기처럼 사라졌다. 시간의 파괴력 앞에서 그 무엇인들 지속할 수 있으랴.

자연은 인간사와 달라 고요처럼 의연하다. 그저 유유자적으로 영속한다. 따져놓고 보면 놀랄 만한 대비이지 않은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고령자 돌봄, 향후 ○년에 달렸다
    [카드뉴스] 고령자 돌봄, 향후 ○년에 달렸다
  • 2025년 새해, 노후의 초석 마련할 ‘비움’ 습관 세 가지
    2025년 새해, 노후의 초석 마련할 ‘비움’ 습관 세 가지
  • 지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시니어 지갑 잠기지 않아”
    지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시니어 지갑 잠기지 않아”
  • 중장년층 소득, 연평균 4259만 원… 2030 청년층의 1.4배
    중장년층 소득, 연평균 4259만 원… 2030 청년층의 1.4배
  • [카드뉴스] 1월 중장년 문화 달력
    [카드뉴스] 1월 중장년 문화 달력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