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위원회, 신중년 퇴직 전문인력 활용안 의결

입력 2020-05-18 10:07

(셔터스톡)
(셔터스톡)

정부가 5060대 퇴직 인력을 인적자원으로 활용하는 정책을 마련한다.

고용노동부는 최근 열린 제15차 일자리위원회에서 각 부처별로 운영됐던 퇴직 전문인력 활용사업을 종합한 ‘신중년 퇴직 전문인력 활용방안’을 상정·발표했다. 신중년은 고령자·노년층 등의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새롭게 5060대를 일컫는 단어다.

이번 발표는 신중년 퇴직이 잇따르고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구조조정 위기 등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정부는 이들을 활용해 중소기업의 만성적 숙련·전문인력 부족을 해소하고, 포스트 코로나의 경제·사회적 여건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이번 대책은 △산업 분야별 특화된 퇴직 인력 활용 활성화 △차세대 양성을 위한 지원체계 △사회활동지원 내실화 △퇴직 전문인력 활용인프라 구축 등으로 나눠 추진할 계획이다.

이재갑 장관은 “초고령사회의 도래까지 불과 5년 남짓 남은 상황에서 고령 인력을 복지 제공의 대상으로만 바라보는 것은 경제·사회적으로 큰 손실”이라며 “이번 대책으로 신중년 퇴직 전문인력을 중소기업 등 수요분야에 매칭해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뒷받침하는 원동력을 만들어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더위 잡으려다 지갑 털린다…삼계탕 재료비 5년 새 35%↑
    더위 잡으려다 지갑 털린다…삼계탕 재료비 5년 새 35%↑
  • “수퍼시니어가 온다”, 日 산업계가 주목하는 ‘새로운 노인상’
    “수퍼시니어가 온다”, 日 산업계가 주목하는 ‘새로운 노인상’
  • ‘시니어폰’ 없는 스마트폰 강국 한국… “홈버튼 살려야”
    ‘시니어폰’ 없는 스마트폰 강국 한국… “홈버튼 살려야”
  • “청년 10명 중 4명, 내 집 마련 계획”… 가장 큰 걸림돌은 ‘경제적 부담’
    “청년 10명 중 4명, 내 집 마련 계획”… 가장 큰 걸림돌은 ‘경제적 부담’
  • 생활연구소 연현주 대표, ‘2025 여성기업유공자 포상’ 국무총리상 수상
    생활연구소 연현주 대표, ‘2025 여성기업유공자 포상’ 국무총리상 수상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