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층 가구 35%는 낡고 오래된 주택 거주"

입력 2020-06-02 10:00

(셔터스톡)
(셔터스톡)

만 65세 이상 노년층 가구의 약 35%가 30년이 넘는 노후 주택에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6월부터 전국 6만1170가구를 대상으로 ‘2019년 주거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30년 초과 노후 주택 거주 노년층 비중이 35.1%로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조사결과는 일반가구 16.8% 대비 약 2배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고령자가 오래되고 낡은 주택에 사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반지하 등 최저주거 미달가구 비중은 3.9%인 노년층 가구보다 5.3%인 일반 가구가 높게 나타났다.

노년층 가구의 76.9%는 자기가 소유한 집에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노년층의 자가점유율은 2018년 75.7%보다 개선된 수치다. 본인이 살지 않더라도 주택을 보유한 가구까지 포함한 ‘자가보유율’ 역시 2018년 77.5%에서 지난해 78.8%로 늘었다. 노년층 가구의 전월세 가구 비중은 18.1%로 일반 가구 38.1% 대비 낮았다.

노년층 가구는 소득활동이 많지 않아 일반가구보다 소득 대비 주거비 부담이 높았다.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를 나타내는 PIR(자가가구 기준)은 노년층 가구가 8.4배로 일반 가구 5.4배 대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국민연금 ‘실버론’ 개선…의료비 항목도 모바일 신청 추진
    국민연금 ‘실버론’ 개선…의료비 항목도 모바일 신청 추진
  • 국민연금 고갈 대안 ‘정부 예산 0.5%·자산세·재정 투입’ 논의…새로운 해법될까
    국민연금 고갈 대안 ‘정부 예산 0.5%·자산세·재정 투입’ 논의…새로운 해법될까
  • 양도소득세를 결정하는 ‘거주기간’ ‘보유기간’
    양도소득세를 결정하는 ‘거주기간’ ‘보유기간’
  • '관심 폭발' 사망보험금 유동화 시행 일주일째 560건 접수
    '관심 폭발' 사망보험금 유동화 시행 일주일째 560건 접수
  • 치매 환자 대상 금융사기 피해 확대…“치매케어 금융 필요”
    치매 환자 대상 금융사기 피해 확대…“치매케어 금융 필요”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