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망증은 ‘새는 술잔’이라네

기사입력 2020-07-01 09:16 기사수정 2020-07-02 10:12

[임철순의 즐거운 세상]

임철순 언론인ㆍ전 이투데이 주필

-세차를 하는 날, 세차장이 바로 집 옆이어서 차 몰고 가는 건 좀 뭐하다고 생각해 걸어갔다.

-강아지 털 밀기로 예약한 시간이 10분밖에 남지 않아 막 뛰어갔는데, 강아지를 안 데리고 왔더라.

최근 인터넷에서 읽은 건망증 사례다. 쯧쯧. 젊은 사람들인 걸로 보이는데, 벌써부터 그러니 참 안됐다.

다음은 교수의 건망증에 관한 유머. 기차를 기다리던 교수 세 명이 각자 딴생각을 하고 있다가 기차가 저만큼 떠나자 쫓아가 올라탔다. 동작이 굼뜬 교수는 타지 못했다. 지켜보던 사람이 “그래도 셋 중 둘이나 탔네”라고 놀리자 낙오된 교수가 “저 사람들은 날 배웅하러 왔던 거 같은데…”라고 했다.

교수들은 왜 잘 잊어버릴까. 교수유머는 수도 없이 많다. 독일 대학에서 교수자격을 취득한 분은 축하하는 사람들에게 “본인은 이제부터 시간을 못 지키더라도 용서와 이해를 받는 특권을 부여받았습니다”라고 해 다들 한바탕 웃었다고 한다.

▲빨래처럼 걸어놓은 마스크 여러 장.(사진 임철순)
▲빨래처럼 걸어놓은 마스크 여러 장.(사진 임철순)

근데 나는 교수도 아니면서 왜 자꾸 뭘 잊어버리는 거지? 차로 출퇴근하던 시절, 지하철 타고 몇 정거장 갔다가 회사 주차장으로 되돌아옴. 흐린 날, 검은 우산과 검은 쓰레기봉투를 양손에 하나씩 들고 집을 나와 우산을 쓰레기통에 버리고 지하철까지 감. 사람들이 자꾸 이상하게 쳐다봐 유턴, 쓰레기통 뒤져서 우산을 찾음.

최근에 자주 잊어버리는 건 마스크다. 난 마스크 버리기가 아까워 몇 개를 빨랫줄에 걸어놓고 나름대로 햇볕에 ‘소독’한 다음 번갈아 쓰고 있다. “마스크는 내 친구”(남양주시의 포스터)라는데, 외출할 때 집을 나섰다가 다시 들어가지 않은 날이 거의 없다. 들어갔다 나와 보니 이번엔 휴대폰이 없어 또 들어가고…. 며칠 전 밥 먹으면서 이런 이야기를 했는데, 나랑 비슷한 사람들이 꽤 있더라.

그날 화제는 건망증(健忘症)이었다. 우선, 건망증에 왜 健(건강할 건) 자가 들어갈까. 잊어야 건강해진다는 뜻일까. 너무 많은 걸 기억하고 하나도 안 잊어버리면 정신건강상 오히려 해로우니 적당히 잊어야 한다는 뜻에서 만든 말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파우스트도 1부에서 저지른 악행과 잘못을 완전 망각한 뒤에야 2부에서 사람이 된다. 그럴듯했다. 어감상 일본인들이 만든 말 같다는 의심도 제기됐다.

궁금해 찾아보니 당 시인 백거이(白居易, 772~846)의 시가 나왔다. 그의 ‘偶作寄郞之’(우작기낭지, 우연히 지어 낭지에게 주다)라는 작품의 맨 끝에 “老來多健忘(노래다건망, 나이 먹으니 더 잊기를 잘하나) 唯不忘相思(유불망상사, 오직 그리움만은 잊히지 않는다)는 말이 있었다. 이 경우의 健은 ‘매우, 몹시, 잘, ~에 뛰어남’이라는 뜻이다. 건송(健訟, 하찮은 일에 송사 걸기를 좋아함), 건설(健舌, 뛰어난 말재주), 건필(健筆, 글씨를 잘 씀), 이런 말이 같은 용법이다.

한자가 재미있고도 어려운 것은 한 글자가 다양하고도 상반된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전국시대의 굴원(屈原, BC 343?~BC 278?)이 남긴 ‘離騷經’(이소경)의 경우, 離는 떼어놓다, 가르다, 벗어나다, 피하다라는 뜻 외에 걸리다, 당하다, 만나다라는 뜻이 있다. 심지어 결혼하다라는 뜻도 있으니 오늘날의 이혼(離婚)과는 정반대인 셈이다. 그러니까 離騷는 근심에서 벗어나는 게 아니라 걱정거리를 만났다, 우환(憂患)에 걸렸다는 뜻이다.

이 경우의 離는 나중에 罹(병, 근심, 재앙 따위에 걸릴 이)로 바꿔 쓰게 됐다. 이환(罹患) 이재민(罹災民)이 그런 경우인데, 국회 부의장까지 했던 어떤 국회의원이 정부의 수재대책을 따지면서 이재민을 나재민으로 읽어 망신을 한 일이 있다. ‘罹’(걸릴 이)를 ‘羅’(벌릴 나)로 본 탓이다. 息(식)도 참 묘한 글자다. 생존하다, 번식하다, 살다라는 뜻과 상반되게 그치다, 그만두다, 망하다라는 뜻이 있다. 이거 참, 어디 가서 남들 앞에 아는 체하기가 조심스러워진다.

자료를 좀 더 찾아보니 건망증을 알기 쉽게 ‘새는 술잔’에 비유한 사람들이 있었다. 서거정(徐居正, 1420∼1488)의 시에 “온갖 근심 한데 모여 속이 오글오글 타고[百憂幷集似焦釜] 만사는 잘도 잊어버려 새는 술잔 같네[萬事健忘如漏巵]”라는 표현이 있다.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의 시에도 “가난하여 배부름 꾀한 것 때때로 우스워라[貧謀一飽時還笑] 세상 인정 잘 잊는 건 새는 술잔 같다오[世態健忘如漏巵]”라고 한 대목이 있다. 누가 누구 표현을 베낀 걸까. 아니면 그냥 그 시대의 일반적인 표현이었나? 동시대의 인물인 두 분은 그리 살갑지 않아 서로의 문장을 별로 인정하지 않았던 거 같은데. 김종직에게 넘겨주지 않으려고 서거정이 대제학 자리에서 물러나지 않았다는 말도 있더라.

▲남양주시는 “마스크는 내 친구”라고 주장하는데, 꼭 이렇게 영어로 써야 직성이 풀리나.(사진 임철순)
▲남양주시는 “마스크는 내 친구”라고 주장하는데, 꼭 이렇게 영어로 써야 직성이 풀리나.(사진 임철순)

새는 술잔, 즉 누치(漏巵)는 ‘회남자’(淮南子) 범론훈(氾論訓)에서 나온 말이라고 한다. “지금 낙숫물 방울도 충분히 항아리를 채워 넘치게 할 수 있지만, 강하의 큰물도 새는 술잔은 채울 수 없나니, 사람의 마음도 이와 같은 것이다[今夫霤水足以溢壺榼 而江河不能實漏巵 故人心猶是也].” 원래 뜻은 이렇게 주량이 많은 것, 절약하지 않고 헤피 쓰는 걸 경계하는 말이었는데, 후대에 내려와 건망증으로 연결된 것 같다. 술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새는 술잔’은 정말 치명적인 걱정거리가 아닐 수 없을 거다.

그런데, 이렇게 전고를 찾고 문자 공부를 한다고 해서 건망증이 치유되거나 해소될까. 오히려 잊어버려야 할 것만 더 쌓아두는 게 아닐까. 전에 읽었던 책을 간혹 뒤지다 보면 내가 같은 걸 여기저기에 써둔 메모가 발견된다. 잊어버리고 또 적어두고, 잊어버리고 또 적어놓은 탓이다. 건망(健忘)은 결국 다망(多忘)이다. 그러니 오늘은 여기서 그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초고령사회 앞둔 한국을 향한 경고
    [카드뉴스] 초고령사회 앞둔 한국을 향한 경고
  • 80세 할머니들과 40대 창업가의 성공 신화 ‘우키하의 보물’
    80세 할머니들과 40대 창업가의 성공 신화 ‘우키하의 보물’
  • [카드뉴스] 골다공증 ‘이렇게’ 예방하세요
    [카드뉴스] 골다공증 ‘이렇게’ 예방하세요
  • 괴테 소설 원작 뮤지컬 ‘베르테르’, 페어 포스터 공개
    괴테 소설 원작 뮤지컬 ‘베르테르’, 페어 포스터 공개
  • 종신보험의 새로운 활용법, 보험금청구권신탁이란?
    종신보험의 새로운 활용법, 보험금청구권신탁이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