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트가 되려면 회원 가입을 해야 한다. 절차는 어렵지 않다. 페이스북이나 구글 이메일 계정이 있으면 쉽게 가입할 수 있다. 로그인을 하면 방을 만들기 위한 몇 가지 작성을 해야 한다. 방 이름과 진행시간, 참석자 수, 비디오와 오디오 기능, 녹화와 대기 룸을 사용할 것인지 등을 순서에 따라 입력하면 초대 링크가 생성된다. 1대 1 이용은 시간 구애 없이 무료이지만 3인 이상이 이용할 때는 기본 40분이 무료이고 이후는 호스트가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초대 링크로 들어온 참여자도 미리 자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입장 후 흔히 사용하는 기능은 비디오와 오디오 끄기다. 내 모습을 보이기 난처한 상태일 때, 시끄러운 장소일 때 등등 필요에 따라 비디오와 오디오 설정이 가능하다. 오디오는 주로 호스트가 강의를 진행할 때 잡음을 막기 위해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비디오는 입장할 때 미리보기로 확인 가능하고 방에 들어간 뒤 활성화되었어도 수업 중 잠시 자리를 뜨거나 할 때 비디오 끄기를 체크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수업을 듣다가 영상 저장이나 화상 공유도 가능한데 영상 저장은 호스트의 수락이 필요하다. 이밖에 자신의 프로필을 이미지로 띄워놓는 설정 등 다양한 기능이 있다.
줌은 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업무, 온라인 수업이 늘어나면서 세계적인 인지도가 올라갔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3월 이후 대학 강의를 비롯해 많은 교육 프로그램에서 이용하고 있다.
부작용도 많다. 일명 ‘줌 폭격’(ZoomBombing)인데 불특정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부적합한 영상을 공유해 회의를 방해하는 것이다.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도 크다. 줌의 창업자이자 CEO는 중국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주한 미국 국적자인 '에릭 위안'인데 암호 키 서버 5곳을 중국에 두었고 실제로 미국에서 열린 테스트 결과, 암호 키가 베이징으로 전송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일부 개인정보가 중국에 유출됐다는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다. 에릭 위안은 보안상 취약한 줌의 허점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하며 해킹 등의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했지만 이미 세계 각국에서는 온라인 수업에서 줌을 배제하는 추세다.
편리함을 선택할 것인지 부작용을 고민할 것이지는 결국 이용자에게 달려 있다. 줌과 유사한 프로그램으로 구글의 행아웃(hangouts)과 마이크로소프트의 팀스(Teams)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