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즈(jazz)라 발성하면, 뭔가를 예리하게 찢는 한 줄기 섬광이 연상된다. 어감부터가 고압전류를 뿜는다. 재즈의 선율은 비를 느끼게 한다. 비처럼 축축하고 감미롭고 애절하지 않던가. 어떤 정점에서는 복받쳐 흐느낀다. 서러워 휘청거리며 홍수처럼 범람한다. 희로애락의 음표로 엮어지는 인생을 닮았다. 재즈 뮤지션은 인생을 노래하되 고감도의 직관으로 자유롭게 선율을 빚어내는 예인이다.
신관웅은 정작 ‘대부’니 ‘레전드’니, 화려한 수식에 불편하다. 내가 감히? 달갑지 않아 손사래를 친다. 재즈에 쏟은 게 많아 이룬 것 또한 많겠지만 아직은 멀었단다. 혹시나 사탕발림 췌사는 아닐까, 공연히 목에 힘줄 일 아니다, 조심조심 운신하며 내 길 가면 그만! 그런 투의 신중 모드로 풍문을 후루룩 귓전으로 넘긴다.
“재즈 불모지였던 국내의 기반을 열심히 닦은 성과는 좀 있겠지. 그러나 그게 무슨 대수인가.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는 것,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는 것. 예술가는 이걸 유념하는 게 좋다는 생각이다. 남들의 덧없는 평판에 휘둘리는 일처럼 우스운 게 다시 있겠나. 게다가 난 여전히 부족하다.”
무엇이 부족한가?
“좋은 재즈 뮤지션은 마음먹은 대로 자유자재하게 표현할 수 있는 고도의 기량으로 연주한다. 자기만의 고유한 색깔을 가차 없이 드러낸다. 보통은 이게 정말 힘들다. 찰리 파커(Charlie Parker)나 존 콜트레인(John Coltrane) 같은 천재들은 연주 초년부터 독특한 자기 사운드를 노출했다. 그들의 경지를 무슨 수로 따라잡을까. 난 내가 다소 실망스럽다. 내 컬러를 확고하게 지니지 못한 핸디캡에.”
오르면 오를수록 태산? 이는 어쩌면 아티스트의 숙명이 아닐까?
“적절한 비유가 아닐 수 있지만, 한계를 절감할 때면 가끔 신앙인의 기도를 생각한다. 신에게 가까이 가려는 열망에도 불구하고 거듭 미끄러지는 게 신앙이다. 그럼에도 한 발짝이나마 더 다가가려 노력하는 게 신앙이지. 재즈가 이와 닮았다. 이 점에서 온전히 투신할 만한 가치를 지닌 게 재즈의 세계라고 나는 믿는다.”
가장 강렬한 기억으로 남은 콘서트를 말해 달라.
“2015년에 있었던 ‘신관웅 재즈 50주년 헌정 콘서트’를 잊을 수 없다. 재즈 뮤지션 100여 명이 참여했는데 내가 모든 과정을 연출했다. 흥분과 전율을 느낀 무대였지. 객석을 가득 채운 청중들의 반응도 뜨거웠다. 게스트로 무대에 오른 도올 김용옥 선생은 헌정시를 통해 ‘재즈를 모르는 인간에겐 새로운 것이 없다’고 읊더라.”
공연 예술인들은 거의 공통적으로 무대 공포증을 느낀다고 들었다. ‘이 순간 차라리 공연장이 무너져 내렸으면 좋겠어!’ 그런 가망성 없는 도피 충동에 사로잡힐 지경으로.
“긴장감을 피할 수는 없지. 그러나 연주가 시작되면 곧바로 몰입된다. 가장 중요한 건 청중의 반응이지. 공연 성패의 근 50%는 청중의 열광 여부에 달려 있다. 환호가 터지면 신명이 올라 다이내믹한 음색을 내게 되거든. 그러나 재즈 공연을 보러 오는 사람들이 드물다. 요즘은 코로나19로 공연 기회 자체가 주어지지 않지만, 이전에도 늘 관객이 적었다. 소수의 마니아들만 재즈를 즐길 뿐이거든. 이거 아나? ‘재즈 1세대’로 일컬어지는 내 또래 뮤지션들은 지독히도 배를 곯으며 연주활동을 했다는 거. 도무지 밥벌이가 되질 않더라고. 오죽하면 ‘재즈 악사는 악에 바친 사람들’이라는 우스개까지 나돌았겠는가.”
재즈의 요람, 클럽 ‘문 글로우’
100여 년의 역사를 가진 재즈의 연원은 뚜렷하지 않다. 대체로 아프리카 흑인 음악을 원류로 변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초창기엔 미국의 홍등가나 술집에서 흐느적거리며 즐긴 섹시하고도 저속한 음악으로 치부되기도 했으나, 루이 암스트롱 같은 걸출한 뮤지션들이 등장하면서 시대정신과 자유혼을 담은 깊고 서정적인 장르로 승화됐다. 직관에 의한 즉흥 연주, 영감과 열정의 분출, 도발과 절규, 관능미의 표현 등을 속성으로 지니는 재즈의 포용력은 놀랍다. 어떤 음악 장르나 경향을 만나더라도 거침없이 흡입, 다종다양한 가지를 쳐나갔다. 스윙재즈, 비밥재즈, 쿨재즈, 핫재즈, 록재즈, 프리재즈, 퓨전재즈 등등이 파생했던 것. 재즈의 근본정신은 물론, 포식처럼 거대한 융합작용까지 특이하고 복잡한 걸 알 수 있다. 그러니 대중의 접근이 쉬우랴. 쉽고 편하게 재즈를 소화할 내장기관을 가진 사람들이 드문 건 요즘도 마찬가지. 신관웅은 얼마 전 요상하게도 겨우 대여섯 명의 관객을 앞에 둔 야외공연까지 경험했다. 재즈의 불황이 이렇게 만성적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풍금을 장난감처럼 늘 끼고 놀았단다. 심각한 몰입이었다고 하니 순진한 어린 혼의 음악적 빙의? 대학에선 경영학을 배웠으나 시늉뿐, 젊은 그는 엑스트라 악사로 용산 미8군 무대에서 건반을 연주하며 주체하기 힘든 청춘의 열기를 다독였다. 그러다가 재즈를 만나 ‘가슴이 무너지는 듯한’ 충격과 매혹을 느껴 재즈 피아니스트로 비상했다. 비상? 즐겁고 기꺼워 재고 따질 것 없는 재즈에의 투신이었으니 허공으로 첫 날갯짓을 하는 어린 새의 두려움 없는 비상과 닮았다. 그러나 삶이라는 허공의 기류는 차고 사나워 날갯죽지 부러지기 십상이다.
“재즈라는 신천지를 발견하고 기뻤다. 하지만 밥을 버는 일이 난감했지. 재즈 밴드를 만들어 미8군 무대에서 활동했으나 그것만으로는 가족을 부양하기 힘들었거든. 나이트클럽 같은 일반 무대에서도 팝송이나 대중가요를 연주할 수밖에 없었던 거다. 그러나 번번이 쫓겨났다. ‘하이고, 아저씨들의 연주 리듬으로는 도저히 춤을 맞춰 출 수가 없어요!’ 클럽 댄서들이 그렇게 따지며 대들었거든.(웃음)”
<2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