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전체가 독립의 외침으로 물들었던 3.1절이 3일 앞으로 다가왔다. 매년 3.1절에는 각종 지자체 및 공공기관에서 각종 기념행사를 열곤 했지만, 올해는 대부분 온라인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거리에서 만세 삼창을 하지 못하더라도 마음으로나마 기념하고 싶다면 영화를 통해 독립운동가들의 숭고한 시대적 정신을 돌이켜보는 것은 어떨까. 이번 주 브라보 안방극장에서는 3.1절에 볼 만한 가슴 벅찬 영화 세 편을 소개한다. 소개하는 작품들은 모두 넷플릭스에서 만나볼 수 있다.
1. 항거:유관순 이야기 (A Resistance, 2019)
‘3.1운동’ 하면 가장 먼저 어떤 인물들이 머릿속에 떠오르는가. 누구나 그러하듯 ‘유관순’이라는 이름 석 자는 빼놓고 논할 수 없다. 영화 ‘항거:유관순 이야기’는 1919년 3.1운동 이후 서대문 감옥 8호실에 갇힌 유관순 열사(고아성)와 여성 독립운동가의 1년간의 이야기를 다룬다. 30여 명 가까이 되는 여성 수감인의 투옥 생활은 처참하다. 세 평도 안 되는 좁은 방에서 다리가 부을까 다 같이 빙글빙글 돌며 고통스러운 시간을 감내하고, 모진 고문과 핍박도 이를 깨물고 견뎌낸다. 그럼에도 “하나뿐인 목숨 내가 바라는 것에 맘껏 쓰다 죽겠다”며 뜻을 굽히지 않는다. 영화는 유관순 열사의 삶과 함께 유관순 열사의 선배 ‘권애라’(김예은), 산모 ‘임명애’(김지성), 다방직원 ‘이옥이’(정하담), 기생 ‘김향화’(김새벽) 등 알려지지 않은 여성 독립운동가의 서사도 재조명한다. 극적인 연출, 혹은 흥행을 위해 3.1운동 당일의 내용을 담을 수도 있었지만, 영화는 그날의 뒷이야기만을 과장 없이 정직하고 묵직하게 담았다. 그래서 더욱 깊고 진한 울림을 남긴다.
2. 박열 (Anarchist from Colony, 2017)
건들건들한 걸음걸이에 정리되지 않은 머리, 무엇 하나 두려운 것 없다는 표정. 겉모습만 보면 패싸움을 하며 온갖 사고를 칠 것 같은 이 남자는 조직폭력배의 우두머리가 아닌 항일운동단체 ‘불령사’의 리더 박열이다. 진짜 건달은 아니지만, 사고를 치긴 한다. 오직 조국 독립을 위해서다. 영화 ‘박열’은 관동대지진 후 발생한 조선인 대학살에 정면으로 맞선 청년 박열(이제훈)과 그의 동지 겸 연인 가네코 후미코(최희서)의 이야기를 다룬다. 박열이 일제에 저항하는 방식은 거친 외양처럼 저돌적이다. 끔찍한 현실에서는 감옥이 더 안전할 거라며 제 발로 감옥에 들어가고, 일본의 만행을 알리기 위해 국왕 암살 계획을 자백하며 세간의 주목을 받는다. 자살폭탄 역할을 자처하면서도 한 치의 두려움이 없었던 그는 재판대에 서는 순간까지 한복을 입고 등장하며 독립에 대한 기개와 의지를 여과 없이 드러낸다. 성냥처럼 활활 타올랐던 박열의 삶은 시대를 막론하고 불의에 맞설 정의와 용기가 있는지 반문하게 만든다. 배우 이제훈의 밀도 높은 연기가 몰입도를 더한다.
3. 허스토리 (Herstory, 2017)
과거를 되새기고 기억하는 것만큼 현재를 더 나은 세상으로 만들어나가는 것 또한 모든 국민의 역사적 숙제이다. 영화 ‘허스토리’는 이 같은 메시지를 평범한 인물 ‘정숙’(김희애)의 시선으로 풀어나간다. 영화는 1992년부터 6년간 일본과 부산을 오가며 힘겨운 법적투쟁을 벌인 위안부 할머니와 승소를 위해 함께 싸운 정숙의 이야기를 다룬다. 부산에서 큰 여행사를 운영하는 정숙은 역사보다는 먹고사는 일, 혹은 눈앞의 현실에 더 관심이 많은 인물이다. 그러던 중 우연한 계기로 여행사 사무실에 위안부 피해 신고 전화를 설치하면서 사건의 심각성을 깨닫고, 정부의 안일한 태도에 분노하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돕기로 나선다. 자신밖에 몰랐던 그녀가 재산을 털어 할머니들의 조력자가 된 이유는 생각보다 단순하다. “혼자 잘 먹고 잘살았던 게 부끄러워서”다. 영화는 주변 인물의 대사와 행동을 통해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바라보는 왜곡된 시선을 바로잡고, 지워질 수 없는 아픔에 귀 기울이며 연대할 것을 호소한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유명한 말을 새삼스레, 계속해서 곱씹게 되는 영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