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에 지친 시니어들의 일상에 활기를 불어넣어 주고, 손주에게도 도움을 주는 방법이 ‘영상 통화’라는 의견이 나왔다.
코로나19는 시니어들의 일상에 다방면으로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나이가 많은 시니어일수록 치사율이 높아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사람을 만나거나 외부 활동을 크게 자제하고 있다. 이 같은 사회적 거리 두기로 집에서 주로 생활하다 보니 고립감에 우울해지는 시니어도 많아지고 있다.
실제로 코로나19로 시니어가 가장 의지하는 가족, 특히 자녀와 손주들과 왕래하거나 연락하는 비율이 점점 줄고 있어 정서적으로 외로움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0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시니어가 자녀와 왕래하는 비율은 2008년 44.0%, 2017년 38.0%, 2020년 16.9%로 12년 사이에 절반 이후로 줄었다. 자녀와 연락하는 비율은 2008년 77.3%, 2017년 81.0%, 2020년 63.5%로 2017년까지 늘어나다가 지난해에는 3년 전보다 4분의 1가량이 줄었다.
게다가 코로나19 확산을 막고자 착용하는 마스크도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었다. 58세 직장인 A씨는 “오래 알던 사람은 걸음걸이나 신체 조건으로 그나마 파악이 가능하지만, 새로 알게 된 사람은 마스크를 낀 모습이 더 익숙하다 보니 돌아서면 다른 사람 같기도 하다”며 “마스크 탓에 목소리가 잘 안 들리기도 하고, 기분이나 감정이 어떤지 몰라 의사소통하기가 힘들 때도 있다”고 말했다.
권준수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사람은 얼굴을 눈, 코, 귀 등을 각각 인식하기보다 눈 사이 거리, 눈과 코 관계, 입과 코 거리 등 전체를 ‘패턴’으로 인식한다. 그런데 마스크를 쓰고 있으면 눈 모양만으로 타인을 인식해야 해 어려움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시니어들이 코로나19로 인해 겪는 부작용을 해결할 방법이 있다. 바로 ‘영상통화’다. 영상 통화는 시니어들이 겪고 있는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할 수 있고, 손자와 손녀에게는 비언어적 표현을 배우며 사회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다.
사람은 언어를 사용해 대화하기도 하지만 표정이나 몸짓 등 비언어적 표현으로도 서로 의사소통을 한다. 그러나 코로나19 시대에 태어난 아이들은 부모를 제외하고는 마스크를 쓴 사람 모습에 더 익숙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 마스크 때문에 사람을 만나고 보면서 얼굴 표정으로 배우고 익힐 수 있는 다양한 비언어적 소통 기회를 박탈당하고 있는 셈이다.
오은영 원장(소아청소년클리닉)은 “이제 막 언어를 배우고 정서 발달을 시작하는 아이들은 할아버지나 할머니와 영상통화를 자주 하면 많은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즉, 아이들이 학습할 기회가 생기는 것은 물론, 일상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를 나누며 교감하는 과정에서 시니어들도 우울감을 회복하며 손자에 대한 사랑을 표현할 수 있다.
영상통화는 음성통화보다 서로 얼굴을 보며 말을 하고 듣는다. 덕분에 아이들이 감각을 더 발달시킬 수 있고, 얼굴을 보며 이야기하기 때문에 시니어와 손주 간 친밀감도 더 높일 수 있다.
덧붙여 오은영 원장은 “할머니나 할아버지와 하는 영상통화는 아이가 다양한 표정을 배울 수 있다”며 “특히 용건만 간단히 하기보다 각자에게 어떤 일이 있었는지 일상에 대해서 자세하게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서로에게 좋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