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년 여성 빈곤율 1위… 2명 중 1명은 1800만원 이하로 생활

입력 2014-03-11 08:00

한국 노년 여성 빈곤율

(사진=뉴시스)
한국 노년 여성의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리안츠 그룹이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노년 여성들의 빈곤 위험’을 조사해 10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노년여성(65세 이상) 빈곤율은 47.2%로 OECD 30개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았다. 빈곤율은 중위 가계소득 미만의 수입으로 생활하고 있는 인구의 비율을 말한다.

즉 한국 여성 2명 중 1명(47.2%)은 중위 가계 소득 미만의 수입으로 살고 있다는 얘기다.

지난해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 등이 공동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한국의 중위소득(모든 근로자를 소득에 따라 줄을 세웠을 때 한가운데에 있는 사람의 소득)은 3600만원이다.

한국 노년 여성 빈곤율에 이어 아일랜드(35.3%), 호주(28.9%), 멕시코(28.5%), 미국(26.8%), 일본(24.7%) 등이 뒤를 이었고, 뉴질랜드는 0.9%)로 가장 낮았다.

노년기 여성들이 빈곤을 일으키는 요소는 결혼 감소, 이혼 증가, 평균수명 연장 등이 꼽혔다.

알리안츠 그룹은 이번 연구를 통해 결혼 감소와 이혼 증가, 평균수명 연장 등이 노년기 여성들의 빈곤을 가져오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노년기 여성이 이혼에 더욱 취약한데 유급 노동을 하지 않았거나 직업 훈련을 받은 적이 없으며, 자녀를 양육하거나 가족·친지를 돌보는데 평생을 보내온 여성들이 빈곤 상태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알리안츠 그룹의 연금 전문가 브리기테 믹사(Brigitte Miksa)는 "자신의 경제상황에 대해 스스로 관심을 가지고 준비해야만 이 같은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시니어 맞춤 서비스 '일·돈·안전' 금융권이 풀세팅
    시니어 맞춤 서비스 '일·돈·안전' 금융권이 풀세팅
  • 고령자복지주택 공급…
    고령자복지주택 공급…"누가 어떻게 들어가나"
  • [카드뉴스] 9월 시행 ‘예금자보호’, 시니어를 위한 3가지 핵심 팁
    [카드뉴스] 9월 시행 ‘예금자보호’, 시니어를 위한 3가지 핵심 팁
  • 65세 정년연장에 산업현장 시끌시끌 “고령자ㆍ청년 동시에 고려해야”
    65세 정년연장에 산업현장 시끌시끌 “고령자ㆍ청년 동시에 고려해야”
  • [세제개편] 중장년층 맞춤형 '감세’…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은?
    [세제개편] 중장년층 맞춤형 '감세’…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