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자의 경우는 아내가 퇴직하고 대학생 자녀가 두명있는데 딸은 이제 졸업하고 아들은 대학에 들어간 상황이다. 내년이면 딸이 대학을 졸업해 딸에게 들어갔던 교육비가 아들쪽으로 들어가게 되지만 결혼에 대비한 자금도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현재의 포트폴리오를 보면 나이에 비해 공격적이 성향이라고 보여진다.
그만큼 많은 경험과 노하우가 있다라고 한다면 시장이 과열된 시점이 아니기 때문에 주식형 비중은 어느 정도 유지하고 그 안에서 포트를 조금 조정하면 될 것 같다.
주식형상품으 경우는 예전에는 10% 정도의 수익을 생각했다면 지금은 목표수익을 내려서 짧게 보고 수익을 챙겨 간다는 개념으로 움직여야 할 것 같다.
대신 주식형 펀드 중 일부 자금은 장기성을 보고 꾸준히 성과가 나는 펀드를 길게 갖고 가도 되는 펀드를 하나쯤은 넣어도 좋을 듯 싶다.
예금의 경우는 이자가 낮기 때문에 예금이나 MMF 자금을 줄여 박스권 장세를 활용해 선취형 펀드나 ETF쪽으로 활용 하고, ELS도 활용하면 좋다. 다만 ELS의 경우 대부분 만기가 3년으로 조기상환이 되면 좋지만 안되는 경우도 생각을 해야 하기 때문에 월지급식 ELS쪽으로 활용하는것도 생각해볼 만 하다.
주식의 경우는 시장상황에 따라 상시 운용할수 있는 자금이 1억정도라면 요즘 장세에는 개인투자자가 수익을 내기는 괭장히 어려운 장이라서 그동안 관심있게 보아왔던 주식이 있다면 모를까 개인이 매매하는 것 보다는 투자자문사쪽으로 일임하는것도 괜찮을 듯 보여진다.
투자자문사의 경우는 대부분 계약기간이 1년이고 연 10% 이상의 수익이 나야 성과수수료를 내기 때문에 자문사 포트폴리오나 성과를 꼼꼼히 살피면 자신이 찾는 수익을 낼 수 있는 자문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랩의 경우도 한번 가입하고 만기까지 두는 이 아니라 시장이 약할때는 시장의 흐름을 타서 이익실현을 하고 성과가 좋은 랩으로 다시 갈아타 적극적으로 리밸런싱을 하는게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고 본다.
세계 경제가 미국을 시작으로 조금씩 경기가 나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해외펀드도 관심을 갖고 유심히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당분간은 이머징시장 보다 선진국시장이 더 유망할 것으로 보기 때문에 단기보다는 중장기로 생각을 하는게 좋을거 같다. 또한 해외펀드는 현재 비과세가 아니라는 점도 유념해야한다.
자산관리에 정답은 없다. 자신의 투자성향을 고려해서 자산포트폴리오를 짜면 좋겠다.
매달 지출이 있다고 한다면 적극 월지급식 상품을 활용하도록 하고 매달 받은 이자를 다시 적립식펀드로 가입해㎝ 복리 효과를 누르면 더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