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 내 집처럼 생활”…서울시 ‘치매전담실 디자인’ 개발

기사입력 2021-09-16 10:58 기사수정 2021-09-16 11:00

▲서울형 치매전담실 간호스테이션 및 복도 (서울시)
▲서울형 치매전담실 간호스테이션 및 복도 (서울시)

서울시가 오는 21일 ‘치매극복의 날’을 맞아 치매어르신들을 위한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을 전국 최초로 개발했다. 시는 공공요양시설을 중심으로 이를 적용하고, 디자인 가이드북을 오픈소스로 공개해 민간 영역으로 확산을 유도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어르신들이 노인요양시설 내 ‘치매전담실’에서 집 같은 편안함을 느끼면서 생활할 수 있도록 치매 노인의 신체‧정신‧사회적 특성을 맞춤형으로 고려한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을 전국 최초로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고령화가 가속화하면서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를 앓고 있다. 노인들은 치매를 암보다 더 무서운 질병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에 지난 2017년 ‘치매국가책임제’가 시행된 이후 노인요양시설에 ‘치매전담실’이 설치되고 있다. 치매전담실은 기존 요양시설보다 더 넓은 1인 생활공간과 공동거실을 갖추고, 전문 요양인력이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치매어르신들을 위한 전용 생활공간이다.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 사진 (서울시)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 사진 (서울시)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은 공용공간(공동거실 등), 개인공간(생활실), 옥외공간 등 치매전담실 내 모든 공간을 최대한 ‘집’과 비슷한 환경으로 조성한 것이 핵심이다. 반면 병원이나 시설 같은 느낌을 최소화했다. 어르신들이 서로 즐겁고 친밀한 관계를 만들 수 있게 공용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동시에, 개인공간을 보장해 자존감을 향상시키고자 했다.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 개발에는 치매 어르신을 가장 가까이에 돌보는 노인요양센터 종사자와 보호자, 치매 관련 의료계·학계 전문가, 유니버설디자인 전문가 같은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했다.

서울시는 이렇게 개발한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을 시립동부노인요양센터와 시립서부노인요양센터 2곳에 처음 적용했다. 설치공사를 완료하고 지난 달 중순 운영에 들어갔다. 시는 향후 건립 예정인 시립실버케어센터와 기존 노인요양시설을 치매전담형으로 개·보수하는 경우에도 서울형 디자인을 적용할 계획이다.

또 서울시는 이번에 개발한 디자인을 ‘서울형 치매전담실 가이드북’으로도 제작해 오픈소스로 무상 개방한다. 민간 요양시설 내 치매전담실을 개·보수하거나 신설할 때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 원칙 (서울시)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 원칙 (서울시)

시는 어르신들이 집을 떠나 요양시설로 이전하는 것만으로도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만큼, 일반 어르신에 비해 인지건강이 약화된 치매 어르신들에게는 최대한 자신이 살던 가정집과 비슷한 환경으로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주용태 문화본부장은 “치매극복의 날을 맞아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을 적용해 공공요양 분야에서 선도적 사례를 만들어나가고, 민간 확산도 유도하겠다”며 “시설 종사자를 비롯한 다양한 현장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해 치매전담실 디자인을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나의 치매 발생 위험은? 여기서 확인하세요
    나의 치매 발생 위험은? 여기서 확인하세요
  • 읽고 쓰고 게임하는 노인, 치매 발생 5년 늦어
    읽고 쓰고 게임하는 노인, 치매 발생 5년 늦어
  • 말동무 두고 올해 연도 기억하면 치매 예방 OK
    말동무 두고 올해 연도 기억하면 치매 예방 OK
  • 란달유디케어스, 돌봄 종사자 위한 특별 초청 세미나 개최
    란달유디케어스, 돌봄 종사자 위한 특별 초청 세미나 개최
  • 한은 “현금 없는 사회, ‘디지털 소외’ 고령층 불편 집중”
    한은 “현금 없는 사회, ‘디지털 소외’ 고령층 불편 집중”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