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 50만 명 넘어, 전년대비 사망자 증가도 최근 10년간 최대
일본의 인구감소 속도가 빨라지는 모양새다. 2021년 일본의 인구 자연감소 숫자가 5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인구 자연감소는 연간 출생인구 보다 사망인구가 많은 상태를 말한다.
일본 후생노동성 인구동태통계에 따르면 2021년 일본의 사망자수는 속보치 기준으로 전년 대비 4.9%(6만 7745명) 증가한 145만 228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사망자 증가 숫자가 6만 명을 넘어선 것은 2011년 동일본대지진 발생 이후 최대다.
2021년 사망자 수가 증가한 것은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도 있었다는 분석이다. 코로나로 인한 사망자 수는 약 1만 5000명이다.
반면 2021년 출생아 수는 84만 2897명으로 속보치 기준 전년 대비 3.4% 감소했다. 출생아 수는 6년 연속 최저치를 경신했다.
속보치를 기준으로 하면 2021년 일본의 인구 자연감소 숫자는 60만 9392명으로 60만 명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다만, 확정치가 나오면 조금 하락하는 경향이 있어 2021년 인구 자연감소 숫자는 50만 명 수준일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뉴스
-
- [시니어 투자사기 주의보④] 유명 코인 ‘사칭’ 가짜 확약서로 꾀어내
- 요즘 고령층은 더는 소일거리나 집안일만 돕는 ‘뒷방 늙은이’가 아니다. 경제활동이 활발했던 세대답게 은퇴 후에도 투자와 자산관리에 관한 관심이 많다. 산업화와 금융위기를 직접 겪으며 경제의 흥망성쇠를 몸소 경험한 만큼 새로운 투자에도 과감하게 뛰어드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그만큼 신종 금융사기에도 노출되기 쉬운 세대이기도 하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가상자산 연계 투자사기를 예방하고 피해 구제에 도움을 주기 위해 ‘가상자산 연계 투자사기 사례 7선’을 정리해 발표했다. 최근 캄보디아발 보이스피싱 사태로 신종 금융범죄에 대한 경각심이 다
-
- 사망보험금도 유동화제도 살펴보니…종신보험인데 신청할 수 없는 상품은?
- 30일부터 사망보험금을 생전 활용 가능한 자산으로 유동화 삼성·한화·교보생명, 신한라이프·KB라이프 5개사 1차 특약 출시 노후가 안심되는 삶을 지원할 수 있는 사망보험금 유동화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종신보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31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30일부터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성 특약을 활용해 사망보험금을 생전 소득으로 유동화할 수 있다. 1차적으로 관련 특약을 출시하는 5개 생명보험사는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신한라이프, KB라이프다. 사망보험금 유동화제도는 사후소득인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사용할
-
- [시니어 투자사기 주의보③] “지금 싸게 살 기회” 속였던 락업 코인 투자…결국 ‘가격 폭락’
- 요즘 고령층은 더는 소일거리나 집안일만 돕는 ‘뒷방 늙은이’가 아니다. 경제활동이 활발했던 세대답게 은퇴 후에도 투자와 자산관리에 관한 관심이 많다. 산업화와 금융위기를 직접 겪으며 경제의 흥망성쇠를 몸소 경험한 만큼 새로운 투자에도 과감하게 뛰어드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그만큼 신종 금융사기에도 노출되기 쉬운 세대이기도 하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가상자산 연계 투자사기를 예방하고 피해 구제에 도움을 주기 위해 ‘가상자산 연계 투자사기 사례 7선’을 정리해 발표했다. 최근 캄보디아발 보이스피싱 사태로 신종 금융범죄에 대한 경각심이 다
-
- 미국 고령층 3명 중 1명 ”초고속 인터넷 안 써”
- 미국 비영리기관 ‘오츠(OATS)’가 지난 6일(현지시간) ‘디지털포용주간’ 개막에 맞춰 고령층 디지털 포용에 관한 보고서 ‘연결된 노년(Aging Connected) 2025’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65세 이상 고령층의 디지털 접속 현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초고속망 보급률이 개선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심각한 격차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는 2020년 처음 발간된 보고서의 후속으로, 미 인구조사국이 매년 시행하는 ‘미국 지역사회조사(ACS)’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조사 결과, 2018년 기준 2200만 명(
-
- [시니어 투자사기 주의보②] “몇 번의 수익에 속아…끝내 원금까지 날렸다”
- 요즘 고령층은 더는 소일거리나 집안일만 돕는 ‘뒷방 늙은이’가 아니다. 경제활동이 활발했던 세대답게 은퇴 후에도 투자와 자산관리에 관한 관심이 많다. 산업화와 금융위기를 직접 겪으며 경제의 흥망성쇠를 몸소 경험한 만큼 새로운 투자에도 과감하게 뛰어드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그만큼 신종 금융사기에도 노출되기 쉬운 세대이기도 하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가상자산 연계 투자사기를 예방하고 피해 구제에 도움을 주기 위해 ‘가상자산 연계 투자사기 사례 7선’을 정리해 발표했다. 최근 캄보디아발 보이스피싱 사태로 신종 금융범죄에 대한 경각심이 다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