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덕사는 오래된 사찰이지만 종교와 상관없이 친숙함이 느껴진다. 낯선 느낌이 없다. 덕숭산 수덕사(德崇山 修德寺)라는 편액을 걸고 있는 일주문 주변을 둘러싼 고목들도 그저 오래 보아온 듯 덤덤하고 듬직하다. 경내가 시작되는 일주문을 넘어 유서 깊은 고찰의 기운을 받으며 고요히 걷는 맛 또한 편안하다. 이처럼 수덕사는 오래전 마을에 들어서는 듯한 기분이다.
어릴 적 가족들과 수덕사에 갔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아무리 떠올려봐도 내 기억 속의 수덕사는 지금처럼 큰 절은 아니었다. 어찌된 일인지 산속의 조그만 절로만 떠올려진다. 당시 절 마당에 들어서니 무슨 영화 촬영을 하고 있었고, 마침 내가 아는 배우도 있었다. 유난히 까만 눈과 얼굴이 어쩌면 저리도 하얗고 작은지 신기했다. 구경하다가 지나가는데 갑자기 영화 관계자인 듯한 분이 내게 와서 하는 말, 교복 입은 옆모습이 영화 속에 찍혔다는 것이었다. 왜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막 중학생이었던 나는 수덕사에 교복을 입고 갔다. 그리고 정작 영화 제목도 모른 채 거길 나왔지만, 수덕사는 내게 늘 그날의 풍경으로 기억되고 있다. 괜히 떠올렸나 보다. 열서너 살의 쪼끄만 아이, 와락 그립다.
수덕사는 백제 침류왕 2년에 창건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렇듯 경내에서 백제 시대의 유물들이 발견되기도 했고, 학계에서도 백제 후기에 창건되었으리라 추정한다. 또한 관세음보살의 화신인 덕숭 낭자와 수덕 도령의 설화도 전해온다. 그리하여 수덕 도령의 이름을 따서 수덕사라 하고, 낭자의 이름을 따 덕숭산이라 했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수덕사의 주불전인 대웅전은 멀리서 봐도 목조 건축의 숨결이 느껴진다. 수덕사의 역사를 엿볼 수 있는 건물이다. 1937년 전면적으로 해체 수리할 때 발견된 기록으로 고려 후기 1308년에 건축되었음이 밝혀졌다. 정확한 이 기록은 우리나라 목조 건축물의 연대를 측정하는 기준이라고 한다. 수백 년을 그 자리에서 버틴 꿋꿋함을 한 번쯤 쓰다듬어본다.
전각이 중심인 법당 대웅전은 무엇보다 형태미가 뛰어나다고 평가받고 있다. 고려 시대 목조 건축의 전형이라는 평이다. 특히 단청이나 전체적인 색감을 보수하지 않은 모습이 세월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군더더기를 배제한 수더분하고 단정해 보이는 겉모습이다. 거대한 세월 속에서도 나뭇결과 창호지의 숨결이 전해지는 듯하다. 특히 눈길을 끈 것은 정면의 창문이 미닫이거나 여닫이가 아닌 들려 있는 듯한 모습으로 독특하고 멋스럽다. 국보 제49호다.
수덕사와 세 여성 이야기
대웅전 옆으로는 관음전이 있고, 일엽 스님이 입적한 환희대가 다보탑을 앞세우고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일엽 스님을 기리고자 세운 원통보전이 보인다. 1896년 평안남도에서 목사의 딸로 태어나 이화여전 졸업 후 일본 유학을 다녀온 일엽 스님은 당시 여성운동을 주도했던 인물로 언론인, 시인, 수필가, 승려로서 삶의 흔적을 남겼다. 이토록 당차고 자유분방한 삶을 살다가 1928년 입산하여 1933년 만공선사를 스승으로 모시고 출가하여 세간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일엽 스님이 수덕사의 견성암과 환희대에서 수도했던 사실은 지금껏 뭇사람들의 관심사이기도 하다. 또 한 여성은 나혜석. 사랑에 용감했고, 여성의 사회적 활동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던 당대 최고의 화가 다. 수덕사 입구에 있는 수덕여관에 머물며 작품 활동을 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한때 시인 묵객들이 드나들던 사랑방과 같았던 여관이다. 수덕여관은 고암 이응로 화백의 고택으로, 지금은 임시 휴관 중이다.
일엽 스님과 나혜석 화가의 사연 말고도 수덕사는 또 다른 여성의 이야기가 있다. 수덕사를 떠올리게 하는 유명한 옛 노래, ‘수덕사의 여승’. 원로가수 송춘희는 이 노래를 1966년에 불렀다. 수덕사라는 절 이름이 들어간 노래가 요즘 말로 대박을 치고 가수의 인생이 달라진 것이다. 송춘희는 현재 불자 가수 백련화라는 법명으로 팔십이 넘은 지금도 음성포교사로 나눔을 실천하며 살아가고 있다고 한다.
인적 없는 수덕사에 밤은 깊은데/ 흐느끼는 여승의 외로운 그림자/ 속세에 두고 온 임 잊을 길 없어/ 법당에 촛불 켜고 홀로 울 적에/ 아 수덕사의 쇠북이 운다~♪
경내를 걷다 보면 곳곳에 경사가 있어서 간간이 오르내리게 된다. 수덕사는 산이나 땅의 언덕을 깎거나 다듬기보다 그 높이를 그대로 활용했다. 유난히 층층이 계단도 많아서 걷다가 때로 숨찰 때도 있지만, 주변의 산과 계곡물이 자연스럽고 사찰과 함께하는 이 모든 게 하나의 자연으로 다가온다.
입구의 일주문과 부도전을 지나면서 금강문과 사천왕문, 화려한 건물의 황하정류, 범종각과 범고각, 세월을 말해주는 소나무와 느티나무가 당당하다. 백현당 뒷길의 기도발이 잘 받는다는 관음바위에서 간절한 기도 한 번 하고, 대웅전 앞의 삼층석탑, 석등, 그 옆의 관음전, 환희대, 원통보전, 템플스테이, 1080 돌계단, 산 위로 올라가면 선객들이 줄을 잇는 정혜사 능인선원, 뚝 떨어진 견성암과 수많은 암자들… 일일이 다 말할 수 없이 많은 것들을 품은 제법 규모가 큰 사찰이다.
덕숭산의 정기를 이은 천년 고찰 수덕사, 내포 땅 가야산 남쪽의 덕숭산 중턱에 자리 잡고 무수한 이야기를 담은 절, 끊임없이 찾아드는 사람들에게 평화를 준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지금은 노래 가사처럼 인적이 드문 편이다. 차분하게 마음의 안식을 얻고 내려가다, 수덕사 주변의 산채나물과 더덕막걸리로 물씬한 계절의 내음을 느껴보는 것 또한 빠뜨릴 수 없다.
봄날 고택 나들이, 예산 추사고택
고택 툇마루에 앉아 봄볕을 쬐며 누리는 여유가 그리울 때다. 봄나들이를 고택으로 떠나는 것은 심신을 위한 선물이다. 어제의 시간 속에서 오늘의 내가 사색과 성찰을 얻을 수도 있다. 수덕사에서 조금만 달리면 조선 시대 대갓집 형태의 집이 나타난다. 선비의 고고함이 배어 있는 추사 김정희 선생 고택, 6칸 대청의 안채와 2칸의 안방과 건넌방, 부엌과 협문, 그리고 사랑채. 돌아보노라면 문설주와 기둥마다 추사의 글씨가 있고, 어디선가 묵향이 나고 추사의 기침 소리가 들릴 듯하다. 고택 왼쪽으로 천연기념물 백송과 함께 널찍한 잔디밭과 추사의 묘소가 시원하다. 그 옆에 자리한 추사기념관에서는 영상과 함께 추사의 업적과 정신을 엿볼 수 있다.
화려함이나 스피드를 내세우는 시대다. 아찔한 익스트림 체험이나 출렁다리를 건너는 짜릿함을 강조한다. 그런 가운데 하루쯤 숨 가쁘게 달려온 시간을 조절할 기회를 가져보면 어떨까. 슬로시티 예산 수덕사의 고적함에 이어 추사고택의 반질한 툇마루에 앉아 크게 호흡해본다.
예산 수덕사 & 추사 김정희 선생 고택
▶예산 수덕사
주소 충남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안길 79(사천리 20)
041-330-7700
서울(남부 T)→예산터미널(07:20~19:05,
하루 4회, 2시간 10분 소요)
KTX(용산역)→천안아산역(05:20~20:30,
하루 13회, 37분 소요)
자동차 서울→서해안고속도로→대전당진 간
고속도로→예산·수덕사 IC→예산→국도 45호→
지방도 622호→수덕사
▶추사 김정희 선생 고택
주소 충남 예산군 신암면 추사고택로 261
041-339-8242 / 매일 09:00~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