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21일 우주로 솟아오르는 누리호의 모습과 함께 잊을 수 없는 장면이 있다. 바로 누리호의 성공에 눈물짓는 항우연 연구원들의 모습이다. 그 속에 조기주 발사체추진기관체계팀장도 있었다. 그는 앞서 말한 대로 클러스터링 기술 개발에 앞장서 누리호 발사 성공을 이끈 주역이다.
클러스터링 기술은 여러 엔진을 한 다발로 묶어 운용하는 것으로, 누리호는 1단에 75톤급 엔진 4개를 묶었다. 도합 300톤급 추력(물체를 진행 방향으로 밀고 나아가는 반작용의 힘)으로 200톤짜리 누리호는 무사히 궤도에 안착했다.
조기주 팀장은 근황을 묻자 “누리호 개발 과정에서 쉴 새 없이 생겨났던 기술적 문제, 1차 발사 실패 원인 분석 및 보완 등의 중압감에서 잠시나마 벗어나 홀가분하게 지내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누리호 2차 발사에서 위성 궤도 투입의 목적은 완벽하게 달성했지만, 기술적으로 추가·보완할 부분이 있는지 비행 자료를 면밀히 분석하고 있다”면서 “향후 누리호 3차 발사에 대한 준비도 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에 발사할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항우연 연구원들은 12년 노력의 결실을 맺었다. 그들의 심경이 어떨지 감히 상상할 수도 없다. 조기주 팀장은 “너무나 기쁘고 스스로 자랑스러웠다“라고 당시를 회상하며 소감을 전했다. 그때의 감동과 열기가 남아 있는 모습이다.
“1차 발사 실패 원인으로 지목된 부분을 보완하고 검증시험을 통해 완벽히 해결했음을 확신했으나, 발사 당시에는 같은 문제가 또다시 반복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며 발사 운용을 했습니다. 이륙 순간부터 궤도 투입까지 모든 과정이 정상적으로 마무리됐을 때의 안도감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예요. 우리나라 독자적인 우주발사체를 확보하는 순간에 참여하고 있다는 데 대해 공학자로서 긍지를 느끼고 자랑스러웠습니다.”
조기주 팀장은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후 카이스트에서 열유체역학으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조 팀장은 “박사학위 이후 국내 산업체에서 근무하면서 원천기술 확보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그 시점에 항우연에서 액체 추진 과학 로켓 연구를 진행 중이고, 액체 추진 우주발사체 개발을 기획 중이라는 사실을 접했다. 우리나라 우주개발에 제 전공지식이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을 것으로 보여 지원했다”라고 항우연 연구원이 된 배경을 설명했다.
“2002년 나로호 사업을 시작으로 항공우주연구원이 되었고, 벌써 20년이 지났습니다. 나로호, 누리호 발사체 개발을 하면서 연구·개발하는 모든 것이 우리나라 우주 개척의 밑거름이 되는 것이라 생각했고, 그 자긍심으로 지금까지 버텨온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우주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조기주 팀장. 그는 앞으로의 목표에 대해 “누리호 개발 경험이 있는 연구원으로서 여건이 허락하는 순간까지 발사체 연구 현장에서 동료들과 함께 우리나라 발사체 개발에 미력이나마 기여하고 싶다. 또한 민간 기업으로의 기술 이전을 통한 우리나라 우주산업 활성화에도 참여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나로호, 누리호 발사체를 개발하느라 저의 청춘이 어느덧 흘러가 버렸습니다. 되돌아보면 제가 선택한 인생에 후회는 없지만 세월이 너무 빨리 지나갔음을 새삼 느낍니다. 요즘 우리 사회가 세대 간 갈등으로 많은 아픔을 겪고 있습니다. 각자 자리한 삶의 분야에서 후배 세대를 좀 더 이해하고 배려하고 설득하여 따뜻한 사회가 될 수 있도록 우리 시니어들이 잘 이끌어나가야겠습니다. 저도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