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춘순 관장의 올해 나이 76세. 하산을 준비할 때다. 그렇다는 건 흔히 그런 통념을 가져서 하는 얘기다. 그러나 나이와 열정의 크기가 반드시 비례할 리가. 해든뮤지움을 설립하고 운영해온 박 관장의 행장을 보면 열정은 나이를 초월한다. ‘해야만 해서 하는 일’이 아니라 ‘하고 싶어서 하는 일’에 승선한 이에겐 무릇 난항조차 버겁되 굴복하지 않는다. 그에겐 서울 압구정동에서 16년간 갤러리를 운영한 커리어가 있다.
“갤러리를 할 때 상업적 능력은 부족했다. 그러나 미술품 보는 눈은 좀 열렸던 것 같다. 이건 해든뮤지움을 끌고 갈 수 있는 동력이 돼주었다. 전시 기획과 작품 디스플레이를 비롯해 미술관 일의 거의 모든 걸 직접 처리한다. 조경도 손수 했다. 그게 보람차다. 운영난이라거나 뼈아픈 고통을 피할 길 없는 게 사립미술관이지만.”
절반 이상이 지하로 들어간 미술관 건물이 이채롭다. 어떤 의도가 있었나?
“원래 지형의 경사도가 상당히 심해 경관을 해치지 않으려면 지하로 들어가는 게 합리적이었다. 설계를 맡아준 배대용 건축가에게 몇 가지 부탁한 게 있다. 관람객이 내부에 갇혀 뱅글뱅글 도는 식의 갇힌 공간 구조는 배제하고, 햇빛과 바람과 새소리 등 자연을 끌어들일 수 있는 열린 공간을 만들면 좋겠다는 뜻을 밝혔다. 노출콘크리트 건물도 피하기로 했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기 어렵다고 봐서.”
건축에 예술성을 가미했으나 차후 기능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더라. 개관을 해놓고 예기치 못한 개보수 작업을 하는 미술관을 드물지 않게 봤다.
“다행히 별 문제 없었다. 배대용 선생은 미술관을 설계한 적이 없는 분이지만 나와 생각이 잘 통해 안심하고 의뢰했다. 그는 ‘역작을 만들겠다’고 했는데 결과적으로 의도대로 완결됐다.”
미러가든의 대형 거울 앞에 관람객 발길이 잦겠지? 생소해서 호기심을 느낄 테니까.
“많은 고심 끝에 거울 벽을 도입했다. 주변에 있는 산야를 거울로 끌어들이고 싶어서였다. 사람들의 반응은 매우 좋다. 미술관 내에서 가장 인기를 끄는 포토존이 됐다. 단점도 있다. 설치 비용이 많이 들었고, 관리도 힘들다. 거울이 변질되기도 하고, 혹한엔 깨지기도 한다.”
좋은 미술관이란 어떤 유형을 말하나?
“기획전의 내용에 달린 거 아닐까. 대중성을 추구하다 보면 자칫 이벤트 중심으로 흘러 기획전의 질에 소홀해질 수 있다. 그렇다고 무거운 콘셉트 기획만이 좋은 것도 아니다.”
미술품 감상을 즐기는 사람들이 여전히 적다고들 한다.
“예전보다 사람들의 욕구 충족 기대치가 크게 높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 같다. 미술관들이 대중의 다변화한 욕구를 충분히 채워주지 못하는 것이다. 운영자들이 끊임없이 노력하는 수밖에.”
예술이 사람의 삶에 미치는 선한 영향력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예술을 통해 감성을 일깨우고 지혜까지 얻을 수 있다. 희열과 행복감도. 다시 말해 삶을 좀 윤택하게 할 수 있겠지. 그러나 예술을 모른다고 삶이 피폐해질 리 없다. 예술보다 자연에서 숨 쉬는 사람이라면 이미 예술과 만나고 있는 것이고. 자연보다 훌륭한 예술이 있던가?”
박 관장의 음성은 나직하고 생각엔 겸양이 배어 있다. 정신엔 강철이 들어 있나? 그는 70세에 동양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