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신정 관장은 ‘젊은달 와이파크’ 이전에 강릉 ‘하슬라아트월드’를 만들었다. 남편 최옥영 작가와 함께. 처음엔 ‘하슬라아트월드’를 놓고 말들이 많았다. 사립미술관에 따개비처럼 들러붙는 게 운영난이라서 하지 말라는 고언이 난무했던 것. ‘젊은달 와이파크’를 추진할 때도 마찬가지였단다. 그러나 박 관장 부부는 과감하게 밀고 나갔다. 어떤 신념이 박 관장을 추동했을까?
“예술가로서 새로운 것을 만들고 싶다는 욕망이 컸다. 작품에만 주력하는 작가들과 좀 다른 길이지만, 미술관을 통해 대중에게 현대미술을 보여주고, 돌아오는 반응과 소통하고 싶다는 건 오래된 꿈이기도 했다.”
그렇더라도 후미진 시골 동네에 미술관을 열 용기를 내다니.
“미술이란 아름다운 세계가 아닌가? 내가 아름답다고 느낀다면 남들 역시 아름답게 느낄 거라고 생각했다. 계산이 아닌 확신, 좋아하는 일에 대한 믿음으로 미술관을 설립했다.”
‘젊은달 와이파크’의 관람 포인트를 얘기한다면?
“미술관에 산재하는 모든 구조물을 하나의 작품으로 즐기면 좋겠다. 최옥영 작가는 이곳의 8000여 평 부지를 통째 오브제로 삼아 대지미술을 구현했다. 특별하기론 ‘레드 파빌리온’이다. 어디에도 없는 구조물이니까. 주변의 자연을 아름답게 바라볼 수 있는 프레임이고.”
술샘박물관의 구색이 고루해 아쉽더라.
“영월군이 만든 박물관이라 손댈 수 없다. 첨단 디자인으로 바꾸고 싶지만.”
미술을 즐기는 국내 애호가들은 과거보다 많이 늘었다고 보나?
“애호까지는 아니더라도, 그저 좋아하는 정도의 사람이라도 많다면 얼마나 좋을까?(웃음) 그러나 좋아하는 사람이 몇이나 되겠나? 심지어 미술작품을 그저 아이들 장난감처럼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게 현실이지.”
미술을 좋아하는 이가 드물어 사립미술관들이 난항을 겪는 현실. 이를 해소할 방법은 무엇일까?
“미술관 운영자들의 강인한 자립 의지로 헤쳐나갈 수밖에 없다. 미술관 두 곳을 운영하는 내겐 원칙이 있다. 외부 환경을 탓할 것 없이 자립하겠다는 게 바로 그렇다. 정말 수익이 없어 벼랑에 몰린다면 문을 닫는 게 순리라는 각오도 다졌다. 예술이 돈이 안 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가난에서 영감을 얻겠다는 듯이 돈벌이에 무심한 작가들도 많다.
“마치 머리를 싸매고 공부하는 수험생처럼 열심히 작업에 몰두한다면 왜 가난하겠나? 모든 삶과 마찬가지로, 예술도 진정 땀을 쏟아야 성취할 수 있다.”
박 관장은 일곱 차례 개인전을 치른 화가다. 주로 작가적 개성과 고집을 가지고 까다로운 작업을 이어왔다. ‘젊은달 와이파크’에 있는 설치작품 ‘시간의 거울-신사임당이 걷던 길’은 다르다. 작풍이 변했다. 한결 쉬워졌다.
“신사임당이 과연 행복하기만 했을까? 시대를 초월해서 세상의 모든 어머니들이 아름다운 건 상처의 반영이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담은 작품이다.”
모성(母性)의 빛과 그늘에 봉헌한 작품이라는 뜻으로 들린다. 그는 삼척에 세 번째 미술관을 열 준비를 하고 있다. 올 연말이면 부분 개관을 한다. 무적함대에 가까운 항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