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보 일본 통신] 65세 이상, 1년 이상 거래 없으면 제한
*편집자 주: 국민의 30% 가까이가 65세 이상인 나라, 일본. 세계에서 고령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인 일본의 소식을 발 빠르게 전합니다.전국에서 잇따르는 특수사기 피해를 막기 위해 일본 정부가 ‘고령자 ATM(현금 입출금기) 이용 제한안’까지 만지작거리고 있습니다.
지난 26일 일본 교도통신은 “정부 내에서 고령자의 ATM 이용 제한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명의자가 65세 이상이고, 거래가 1년 이상 없는 계좌에 한해 ATM을 이용할 수 없게 하는 방안입니다.
최근 일본에서는 고령자를 상대로 한 특수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그중엔 ATM에서 송금하게 하거나 현금 인출을 유도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고령자 ATM 이용 제한안은 사태의 심각성을 파악한 경찰청이 은행 업계에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통과까지는 적지 않은 난관이 예상됩니다. 교도통신은 현금 이용이 잦은 고령자에게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올 것이라 내다봤습니다. 은행에서도 고객의 시스템 이용 제한이나 시스템 수리에 부담을 표하는 의견이 있다고 합니다.
일부 은행에서 고령자의 ATM 이용을 제한하는 사례가 이미 있는 일본이지만, 정부 차원의 방안은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 뉴스
-
- 강남대 박영란 교수, 치매극복의 날 국무총리 표창 수상
- 강남대학교는 박영란 시니어비즈니스학과 교수가 최근 보건복지부 주관으로 열린 ‘제18회 치매 극복의 날’ 기념식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고 23일 밝혔다. 박영란 교수는 약 30년간 노인복지 분야 연구·교육에 매진하며 대한민국 치매극복 정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박 교수의 주요 연구 성과로는 △지역사회 기반 치매 예방 통합서비스 지원망 구축에 관한 연구 △치매 노인을 위한 실버 빌리지 기획연구 △한국에자이 치매 예방 에코시스템 구축 로드맵 연구 등 체계적인 치매 예방 서비스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KB국민건강총명학교
-
- 국립재활원, 초고령사회 스마트 재활 정책 핵심은?
-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는 23일 서울 용산구에 있는 백범김구기념관에서 ‘2025 재활연구 국제심포지엄’를 개최했다. 올해로 17회를 맞은 이번 심포지엄은 ‘초고령사회를 위한 스마트 재활’을 주제로 열렸다. 초고령사회를 대비한 재활 정책과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해법을 모색하고자 마련했다. 행사는 강윤규 국립재활원장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3개 분과에서 △초고령사회에서의 장애인 건강 △초고령사회를 위한 스마트 재활 기술 △데이터 기반 임상 재활을 각각 주제로 다뤘다. 세션에서는 미국의 장애·고령 정책 사례를 토대로 한 재활·돌봄 정
-
- 내 몸을 살리는 ‘산림건강’ 무료 강좌
- 숲에서 건강한 일상을 되찾을 수 있는 무료 강좌가 서울 시민을 맞이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서울시민대학과 협력해 시민의 건강 회복을 돕는 특별 교육 프로그램 ‘산림건강과정’을 마련했다고 22일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 조사에 따르면 국내 성인 50.9%가 ‘숲을 통한 건강관리’를 산림 관련 평생교육 참여 목적 1순위로 꼽았다. 이러한 수요를 반영해 이번 강좌는 숲의 치유 가치를 생활 속에서 체험·실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강의는 숲의 건강 기능과 오감 치유, 호흡·명상법을 배우는 이론 수업으로 시작한다
-
- “노인복지관, 노인 1000명 당 1개도 안돼…고령화 속도 못 따라가”
- 노인여가복지시설이 고령층을 수용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노인여가복지시설 현황 자료에 따르면 노인복지관은 2021년 357개에서 2024년 454개로 늘었지만, 노인 1000명당 개소 수는 0.04~0.05개에 머물렀다. 노인여가복지시설(노인복지관·경로당·노인교실)은 개소 수가 늘었지만 노인 인구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약 994만 명이며, 이 중 1인 가구는 약 220만 명으로
-
- [챗GPT 브리핑] 간병비 개인 부담 30% 준다 外
- 바쁜 일상 속 알짜 뉴스만 골랐습니다. 정책·복지·건강·기술까지, 꼭 필요한 시니어 관련 정보를 챗GPT가 정리하고 편집국 기자가 검수해 전해드립니다. ◆내년부터 간병비 건보 적용…중증환자 본인부담 30%로 보건복지부는 22일 ‘의료중심 요양병원 혁신 및 간병 급여화 추진방향’ 공청회를 열고 내년 하반기부터 요양병원 간병비에 건강보험을 적용해 본인부담률을 30% 수준으로 낮춘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의료필요도가 높은 중증환자가 많은 ‘의료중심 요양병원’을 2030년까지 500곳 지정해 8만~10만 명을 지원한다. 서비스 질 개선을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