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돌봄이 필요한 시민이 한 번만 신청하면 필요한 돌봄지원을 끊김없이 받을 수 있는 ‘서울형 통합돌봄서비스’를 시작한다.
이번 사업은 신청대상자에 대한 방문진료‧병원동행, 식사배달‧방문 간호 등 긴급 지원부터 신체‧마음건강 관리 등 장기적인 일상 지원까지 대상자별 맞춤형 계획을 수립‧지원하는 약자동행 패키지형 지원이다. 이와 함께 장기요양등급 신청 등 행정적 지원과 주거환경 개선, 주택지원까지도 연계해 말 그대로 ‘서울형 원스톱 돌봄체계’를 완성하는 것이 목표다.
통상적으로 돌봄서비스는 대상에 대한 복합적인 지원이 필요하나 그동안은 서비스별 신청‧접수기관이 상이하고 신청절차가 복잡한 데다 어떤 서비스가 제공되는지 알 수 없어 제때 지원을 받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오는 3월부터 본격 추진되는 ‘서울형 통합돌봄’은 돌봄이 필요한 본인 또는 보호자가 가까운 동주민센터에 지원을 신청하면 대상자와 심층상담을 통해 통합돌봄계획서를 수립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원스톱으로 돌봄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통합돌봄서비스의 빈틈없는 추진을 위해 서울시-자치구-동주민센터도 더욱 밀접하게 협력할 방침이다. 우선 서울시는 ‘서울형 통합돌봄지원 모형 개발’과 확산을 통해 시민 체감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분야별 전문가 와 유관기관, 현장관계자로 구성된 ‘서울시 통합지원협의체’를 운영해 탄탄한 사업추진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자치구는 돌봄이 필요한 시민을 위한 ‘통합돌봄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해 지역 내 보건소, 건강보험공단지사, 의료기관, 복지관 등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연계가능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또한 민간 돌봄서비스기관의 품질관리를 통한 질 높은 돌봄환경을 조성하고 보건의료, 사회복지 분야 전문가와 기관이 참여하는 통합돌봄회의운영도 준비 중이다.
시민 최일선에 있는 ‘동주민센터’는 통합돌봄서비스 신청‧접수는 물론 현장방문 등을 통해 돌봄 대상자를 선정하고 보건소‧요양기관‧복지시설 등에 서비스를 직접 의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서울시는 내년 본격적인 통합돌봄서비스 시행에 앞서 올해 우선 4개 자치구에 ‘통합돌봄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하고 개선사항 등을 발굴 후 하반기에 관련 조례를 제정한다는 계획이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서울도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현실에서 향후 노인을 비롯한 모든 연령층의 돌봄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통합돌봄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하고 가동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시민이 살던 곳에서 건강하게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