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을 앞두고 환전 수수료와 해외 결제 수단을 고민하고 있다면 ‘트래블 카드’에 주목할 만하다. 앱 하나로 외화를 충전하고 해외에서 손쉽게 결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부 카드는 포인트 적립이나 공항 라운지 이용 같은 추가 혜택까지 제공된다. 자동환전 기능이나 재환전 수수료 면제처럼 실질적인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부터, 교통카드 기능처럼 현지 편의를 높여주는 기능까지 트래블 카드는 각기 다른 강점을 갖추고 있다. 어떤 카드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여행 중 체감하는 편의성과 실속이 달라질 수 있으니, 출국 전 자신에게 맞는 트래블 카드를 비교해보는 것이 좋다.
시니어는 물론 모두가 좋아할 여행 카드
한승희 기자의 주요 뉴스
관련 뉴스
-
- “60대 고객 상위 20% 평균 잔액 1000만 원…상위 5%는 3800만 원”
- KB골든라이프, 데이터로 알아보는 시니어 금융정보 ”60대 고객 중 상위 50% 평균 잔액 200만 원 “ ”60대 1인당 평균 잔액 599만 원…연령대 중 가장 많아“ KB국민은행을 거래하는 60대 고객 중 상위 20%의 평균 잔액은 1000만 원으로 집계됐다. 22일 KB골든라이프의 ‘데이터로 알아보는 시니어 금융정보’에 따르면 평균 잔액이 가장 많은 60대 고객 중 상위 50%의 평균잔액은 200만 원으로 나타났다. 상위 20%의 평균 잔액은 1000만 원, 상위 5%는 3800만 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KB골든라이프는 ”KB
-
- “국민연금 보험료율 2040년까지 15% 인상…가장 효율적 시나리오”
- 윤병욱 국민연금연구원 부연구위원, 국민연금 가입연령 상향의 거시경제 효과 분석 “‘가입연령 상한 유지·2040년까지 보험료율 15% 인상’ 시나리오 가장 효율적” “보험료율 2%p 추가 인상, 노동공급에 거의 영향 미치지 않아”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2040년까지 15%로 올리는 게 연금재정, 경제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0일 국민연금연구원에 따르면 윤병욱 부연구위원은 ‘국민연금연구원 30주년 기념호’에 ‘국민연금 가입연령 상향의 거시경제 효과 분석’ 보고서를 게재하며 “보험료율을 15%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방
-
- [Trend&Bravo] 올해 주식 투자 누가 잘했나? 세대별 승부 Top6
- 올해 한국 증시는 반도체와 AI 열풍으로 뜨겁게 달아올랐다. 하지만 시장의 상승세만큼 관심을 모은 건 '어떤 세대가 가장 높은 수익을 냈을까'다. NH투자증권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올해 증시 상승장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거둔 투자자는 60대 이상 여성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단기 매매보다 꾸준한 수익을 중시하는 태도를 보였으며, 이런 투자 방식이 높은 수익률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이들 세대는 빠른 수익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고, 시장 정보를 꼼꼼히 살피며 프라이빗뱅커(PB) 등 전문가와 상담해 신중히 투자
-
- 日 고령층 “유언장 필요성 알지만 정작 쓰고 싶지 않아”
- 일본은 한국보다 훨씬 먼저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선배 국가’지만, 유언장의 필요성 인식이나 실제 작성률에서는 한국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평가된다. 여전히 유언장을 ‘부자만 쓰는 문서’로 여기는 인식이 남아 있기 때문. 그러나 최근 일본 내 소규모 자산가구에서도 상속 갈등이 잦아지면서 유언장을 둘러싼 사회적 논의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지난 17일 오센스 법률사무소가 발표한 ‘유언장 보고서 2025’ 역시 일본 고령층의 이러한 인식 변화를 잘 보여준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50세 이상 응답자의 63.3%가 유언장에 대
-
- [카드뉴스] 2026 연말정산 미리보기, 꼭 챙겨야 할 '절세 꿀팁' 9
- 2026년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서 직장인들의 관심이 다시 절세 전략으로 쏠리고 있다. 국세청이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개통하면서 올해부터 달라지는 공제 요건을 확인하고 남은 두 달간의 소비·저축 계획을 조정하려는 움직임도 빨라졌다. 특히 2025년 귀속분부터 적용되는 공제 제도는 자녀, 문화비, 청년·자영업자 지원 등 실생활과 맞닿은 항목들이 대폭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신용카드 공제 기준, 연금저축·IRP 세액공제 한도, 전통시장·대중교통 사용분 공제율 등 기본적인 절세 구조는 유지되지만, 공제 혜택이 넓어진 만큼 항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Trend&Bravo] 올해 주식 투자 누가 잘했나? 세대별 승부 Top6](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54946.jpg)

![[카드뉴스] 2026 연말정산 미리보기, 꼭 챙겨야 할 '절세 꿀팁' 9](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5493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