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직원 봉사단 참여… 전통장·홍삼 등 기증품 7종 제공
▲한화 임직원이 경로당 방문해 기증품을 전달하는 모습.(종로노인종합복지관 제공)
종로노인종합복지관(관장 정관스님)은 23일 ㈜한화 임직원 봉사단과 함께 종로구 소재 경로당을 방문해 추석맞이 선물세트와 화재안전 키트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지원은 종로구 내 14개 경로당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한화는 임직원 참여를 통해 지역사회에 ‘함께 멀리’ 가치를 확산했다.
선물세트는 종로&장금이가 직접 담근 전통장을 비롯해 홍삼, 유과, 과일 등 7개 품목으로 구성됐다. 더불어 자동소화 멀티탭과 화재예방 패치 등으로 이뤄진 화재안전 키트를 함께 제공해 명절맞이 풍성함과 일상 안전을 동시에 지원했다.
▲추석선물세트를 포장 중인 한화 임직원들.(종로노인종합복지관 제공)
이화경로당 강두석 회장은 “젊은 직원들이 직접 찾아와 주니 경로당이 한층 활기를 띤다”며 “전기 화재가 걱정이었는데 멀티탭 교체와 예방 패치 부착으로 마음이 든든하다”고 말했다. 한화 인사지원팀 이영찬 팀장은 “추석을 앞두고 주변의 이웃을 돌아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사회적 약자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정관스님은 “경로당을 많이 이용하는 어르신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따뜻한 관심을 전해준 한화에 감사한다”고 전했다.
관련 뉴스
-
- “웰다잉교육, 삶 의미 재발견·죽음불안 완화 효과 확인”
-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한노협)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으로 추진 중인 ‘2025년 웰다잉문화 확산을 위한 노년세대 웰다잉교육 체계화사업’의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10월 29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센터 그랜드볼룸에서 성과공유회를 열었다. 이 사업은 노년세대가 죽음을 자연스러운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존엄한 생의 마무리를 준비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추진됐다. 이번 행사는 오전과 오후 두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오전 ‘웰다잉 컨소시엄 사업 성과공유회’에는 각당복지재단, 대한웰다잉협회, 한국싸나톨로지협회, 한국애도심리상담협회 등
-
- 53개 돌봄단체 “777억 예산으론 통합돌봄 첫해 실패”
- '돌봄통합지원법'이 내년 3월 전면 시행을 앞둔 가운데, 전국 53개 돌봄 관련 단체가 정부의 내년도 통합돌봄 예산안을 강하게 비판하며 대폭 증액을 촉구했다. 이들은 지난 3일 ‘돌봄과 미래’ 재단 등 명의로 공동성명을 내고 “정부가 제시한 777억 원의 예산은 사실상 사업 포기를 선언한 것이나 다름없다”며 “총 2132억 원으로 증액해 통합돌봄이 제도 첫해부터 정상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체들은 성명에서 “현재 예산안은 재정자립도 상위 20%에 해당하는 46개 지자체를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고, 하위 8
-
- 美 뉴욕 노년층 절반, “기본 생활비 감당 못 해”
- 뉴욕의 노년층 절반 이상이 최소한의 생활비를 감당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사추세츠대학교 보스턴 캠퍼스 노년학연구소가 발표한 ‘2024 뉴욕주 노년층 경제안정성 지수(Elder Economic Security Index)’에 따르면, 뉴욕주 65세 이상 고령자 가운데 1인 여성가구의 59%, 1인 남성가구의 49%, 부부가구의 26%가 ‘엘더지수(Elder Index)’ 이하의 소득으로 살아가고 있다. 이는 연방빈곤선(FPL)을 웃도는 수준임에도 뉴욕주의 높은 물가로 인해 기본적 생활비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제적 불안’ 상태
-
- 日 고령층 구강관리 ‘양극화’… “치과 안 가” 26%
- 일본 고령층의 구강건강 상태가 뚜렷한 양극화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헬스케어 기업인 코스모헬스가 운영하는 시니어 전문 마케팅 플랫폼 ‘코스모라보’는 지난달 31일 50세 이상 5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치아 관리 및 구강 건강의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60%는 자신의 치아와 잇몸 상태를 ‘건강하다’고 평가했지만, 40%는 ‘문제가 있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노년기의 구강 건강이 단순한 ‘치아 관리’를 넘어 인지기능과 삶의 질에 직결된다는 최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됐다. 일본 국립장수의료연
-
- 이차전지 선진국인데… “휠체어는 여전히 납 배터리 시대”
-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이하 장총)은 10월 27일자 장애인정책리포트 ‘월간 한국장총’ 제460호를 발간하며, 리튬이온 배터리 시대에 여전히 납축전지 중심으로 설계된 전동휠체어 급여제도의 모순을 지적했다. 이번 호의 제목은 ‘리튬이온 배터리 시대, 선택권 없는 전동휠체어’다. 장총은 리포트를 통해 “기술 발전이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시대임에도, 구시대적 제도가 혁신 기술의 도입을 막고 있다”고 비판했다. 현행 보조기기 급여제도는 전동휠체어 품목 중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제품을 지원하지 않고 있어, 장애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