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평균 대화 시간 "하루 30분도 대화 안해"

기사입력 2014-01-13 18:46 기사수정 2014-01-13 18:46

우리나라 부부 3쌍 중 1쌍은 하루 30분도 채 대화를 나누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연합뉴스)

인구보건복지협회가 전국 기혼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한 '5차 저출산인식 설문조사' 에서 부부 평균 대화 시간을 물었다.

부부의 하루 평균 대화 시간에 대해 32.9%가 '30분~1시간'이라고 답했다. '10~30분'과 '10분 미만'이 각각 29.8%, 8.6%로 결국 38.4%의 부부가 하루 30분도 대화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시간이상 이야기를 나누는 경우는 28.7%에 불과했다.

부인이 임신 중인 부부의 경우 1시간이상 대화하는 비율이 55.6%에 달했으나, 영·유아나 초등학생을 둔 부부에서는 각각 27.5%, 19.5%로 크게 떨어졌다.

그나마 대화는 주로 '밥 먹을 때(58.8%)' 이뤄졌다. 이어 '잠자기 전(21.5%)', '주말(14.0%)', '아침에 일어나서(5.7%)' 등의 순이었다. 대화를 방해하는 요소로는 '늦은 귀가ㆍ주말 근무'가 34%로 가장 많았고 'TVㆍ컴퓨터ㆍ스마트폰 사용'이 뒤를 이었다.

부부 평균 대화 시간에 대해 네티즌들은 "부부 평균 대화 시간 충격적이네", "정말 부부 맞어?", "앞으로 대화 좀 많이 해야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한국 노인 빈곤율 40% 육박… OECD 중 가장 높아
    한국 노인 빈곤율 40% 육박… OECD 중 가장 높아
  • 은퇴 교수의 전일제 농부 생활… “가지치는 지혜 배워”
    은퇴 교수의 전일제 농부 생활… “가지치는 지혜 배워”
  • 장수혁명 시대의 ‘뉴노멀 시니어’, 능동적 주체로 부상
    장수혁명 시대의 ‘뉴노멀 시니어’, 능동적 주체로 부상
  • 어르신 일상에 AI를 더하다… 서울시 ‘AI 동행버스’ 출발
    어르신 일상에 AI를 더하다… 서울시 ‘AI 동행버스’ 출발
  • 뉴노멀 시니어의 AI 패러다임 “의존이 아닌 활용과 창조”
    뉴노멀 시니어의 AI 패러다임 “의존이 아닌 활용과 창조”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