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 뉴스
-
- 곶감 말고도 할 이야기가 많아, 상주의 가을
- 소도시 여행은 마음을 가다듬어준다. 호젓하고 고즈넉한 풍경과 옛 전통문화를 걸으면서 만나고 스치면서 느낀다. 곶감을 먼저 떠올리는 상주다. 압도적이진 않아도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며 은은한 존재감을 지닌 상주의 가을을 만났다. 경상북도 상주는 소소한 맛이 물씬한 도시다. 경상도라는 지명이 경주와 상주의 첫 글자를 따서 붙였듯이, 오래전부터 경상도를 대표하는 도시였다. 그 옛날 경상도 지역을 아우르는 도청인 경상감영도 상주에 있었을 정도로 영남지방의 주요 중심지였다. 영남은 경상의 다른 말로 조령과 죽령의 남쪽이라는 이름이다. 조용하고
-
- 가을 정원은 쉴 만한 은신처이고 쓸쓸한 사색의 출항지다
- 경북 칠곡군 가산수피아 정원은 학이 무리 지어 놀던 산이라는 유학산(游鶴山) 기슭에 있다. 터 한번 잘 잡았다. 산의 야생적 아우라가 흘러내려, 성형을 한 인공정원의 미끈한 얼굴에 생기를 더해준다. 정원 규모는 커 민간정원 가운데 최대 수준이다. 조경도 쌈박하다. 터진 실밥 없이 누비는 바느질처럼 뛰어난 솜씨로 싱싱한 맵시를 구현했다. 자연과 인위를 본때 있게 조율해 풍경의 미감과 권위를 끌어냈다. 조경의 문법에 어둔한 눈으로 보기에도 공력을 다해 잘 꾸민 정원이라는 생각이 든다. 원래 이곳엔 대형 양돈장이 있었다. 사업가인 정원
-
- 꽃바다 앞에서 돌아보는 인생은 초라하지 않다
- 전남 담양에 있는 죽화경(竹花景) 정원엔 수국이 아주 많다. 흔전만전한 수국의 개체수로 개성을 돋워 독보적인 정원이라는 평판을 얻었다. 매년 한여름엔 ‘유럽수국축제’가 열린다. 올해는 ‘여름 눈꽃정원 플라워 쇼’란 부제를 붙이고 제전을 펼쳐 성황을 이루었다. 하얀 꽃송이들 소담스레 만개하면서 최고조에 달한 꽃 군무로 정원이 통째 환했으리라. 이제 계절은 어느덧 가을 입구. 수국이 누린 절정의 한때는 저물었다. 그러나 유럽수국은 오래가는 꽃이다. 꽃도 잎도 아직은 싱그러운 편이라 반갑다. 정원으로 들어설 때면 좀 들뜬다. 마치 오랜
-
- 아트페어는 부자들만의 잔치가 아니다
- 지난 9월 서울 코엑스는 미술을 향한 열기로 가득했다. 프리즈 서울과 키아프 서울 아트페어가 동시에 열리며, 프리즈에 약 7만 명, 키아프에는 8만 2000여 명이 방문해 서울이 아시아 미술시장의 중심지임을 입증했다. 아트페어(Art Fair)는 미술 장터이자 박람회로, 1970년 스위스 바젤에서 시작된 아트바젤이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프리즈(Frieze)는 영국 런던에서 시작된 현대미술 중심의 아트페어로, 2022년 서울이 아시아 최초 개최지로 선정되며 큰 화제를 모았다. ‘프리즈 서울’은 한국화랑협회가 주최하는 대한민국
-
- 꽃밭에 누워 흰 구름 따라 흐르며 무아지경에 풍덩!
- 조붓한 농로 끝자락에 이르자 이제 산길이다. 숲으로 이어지는 오솔길이다. 목인동(木人洞) 민간정원이 시작되는 흙길이다. 이 정원은 짙푸른 야생의 숲속에 자리 잡았다. 폭염이 여전한 날이지만 숲을, 또는 정원을 이룬 초록 나무들의 아우성에 맥을 잃고 식은 양 수굿하다. 시나브로 땀이 가신다. 이 정원의 동선을 이룬 오솔길은 뭐랄까, 내 생각엔 길 중의 길이다. 길다운 길이다. 대리석을 깔아 으리으리한 길보다 단수가 높다. 색에 비유하면 순백처럼 순수하다. 길의 절반은 황토빛 스민 곱살한 흙이다. 나머지 절반은 융단처럼 폭신한 풀밭이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튜브] 진심으로 사는 남자, 아조씨 추성훈](https://img.etoday.co.kr/crop/85/60/224512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