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에는 인생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공수래 공수거(空手來空手去)’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인생이 덧없다는 것을 뜻한다. 그것을 깨닫고 자신이 가진 것을 남과 나누는 사람이 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이 빈손으로 가는 삶일까? 다른 사람을 위해 돈을 남기지 않은 사람들. 이들은 결국 온 누리에 이름을 남긴다. <편집자 주>
◇ 백선행 진정한 의미의 행복한 돈 쓰기
조선 말기 평양에 16세에 과부가 된 여인이 있었다. 결혼한 지 2년 만에 남편이 죽자, ‘남편 잡아먹는 년’이라고 친정으로 쫓겨나는 설움 속에 ‘백과부’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그녀의 나이 7세에 아버지를, 16세에 남편이 세상을 떠나 결국 ‘쌍과부’ 상태로 어머니와 지내게 됐지만, 26세 되던 해 어머니마저 세상을 등지게 된다.
그녀의 어머니는 홀로 남은 딸이 걱정돼 현금 1000여 냥과 150냥짜리 집을 남겨놨는데, 그마저도 사촌오빠에게 빼앗겼다. 빈털터리가 된 백과부는 주위 이웃들에게 닥치는 대로 일감을 달라며 돈을 모으기 시작했다. 삯바느질에 길쌈은 물론이고 남들이 먹다 버린 복숭아씨를 파는 일까지 그야말로 돈이 되는 일이라면 뭐든지 했다. 이러니 사람들이 ‘악바리 백과부, 지독한 백과부’라 부를 만 했다.
그러나 사람들은 항상 열심히 일하고, 남의 궂은일까지 먼저 달려가 일손을 돕는 백과부를 좋아했다. 그녀가 하는 일은 모두 도와줄 정도. 한 번은 그녀가 꽤나 재산을 모았다는 소문을 들은 탐관오리 평양부윤이 재산을 바칠 것을 요구한 적이 있는데, 사람들이 몰려와 상소를 올려 감옥에서 풀려난 적도 있다.
그렇게 그녀는 모은 돈으로 땅을 사고 그 땅을 소작농에게 대여해 소작료를 받아 다른 땅을 사들이는 것을 반복하면서 재산을 크게 늘렸다.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도 뛰어나 석회석으로 이루어진 돌산을 헐값에 사들여 일본인 시멘트 업자에게 100배가 넘는 가격에 되팔기도 했다. 이는 당시 32만원으로, 현재 320억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그렇게 부자가 된 백과부는 돈을 사회에 환원하는 데 쓰기 시작했다. 환갑을 맞아 고향인 대동군 고평면에 커다란 다리를 놓자 마을 사람들이 그녀를 크게 칭송했다. 아버지가 아들을 기대했는데 딸을 낳자 실망하여 이름조차 없었던 ‘백과부’는 그때부터 ‘백선행(白善行)’이라 불렸다.
이후 백선행은 ‘선행’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었다. 사재를 털어 교회를 짓고, 어머니와 자신의 한풀이를 위해 학교를 세우고 장학재단을 설립했다. 당시 평양에 있는 모든 학교가 그녀의 기부금으로 운영될 정도였다.
1933년 5월, 그녀가 86세로 세상을 떠났을 때에는 평양이 울었다 할 정도로 많은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백선행의 마지막을 배웅했다. 300개가 넘는 화환과 만장 등이 늘어선 장례행렬은 2km나 이어졌고, 장례식에는 1만여 인파가 운집해 애도했다.
과부라는 외로운 삶과 사회의 편견 속에서도,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회에 기부한 여인 백선행은 진정한 의미의 행복한 돈 쓰기를 실천한 여인이었다.
◇ 이종순(94)씨 사랑과 이름을 남긴 10억
지난 5월, 구순을 넘긴 여인이 휠체어를 타고 서울 노원구의 삼육대학교 교정에 들어선다. 장학금을 기부하기 위해서다. 액수는 무려 9억원. 2012년 1억원을 기부한 것까지 더하면 합이 10억원이다. 아름다운 은빛 머리카락의 이종순씨였다. 평생 안 해본 일이 없을 정도로 고생하며 벌어온 돈을 선뜻 내놓는 90대 여인의 목소리는 환희로 가득찼다.
“평생 꿈꿨던 소원을 이제야 이뤘습니다. 이 나라를 발전시킬 인재를 위해 써 주세요.”
그녀는 굳은 땅에 물이 고인다는 생각으로 아끼고 아껴 재산을 모았다. 6·25 중에도 화장품, 군복 장사 등 안 해 본 장사가 없을 정도였다. 평생 고생하며 모은 돈으로 사들였던 오피스텔을 처분해 기부한 것이라 더욱 의미가 있다.
삼육대는 그녀의 뜻을 기려 기존의 보건복지교육관을 ‘이종순기념홀’로 명명했다.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인생에 ‘이종순’이라는 이름을 묘비 아닌 다른 곳에 남긴 셈이다.
◇ 故 정석규 신양문화재단 명예 이사장 검소한 회장님이 남긴 450억
짜장면 한 그릇을 다 먹지 못해 남긴 남성이 플라스틱 통을 꺼낸다.
“주인양반, 짜장면 남긴 것 좀 싸가겠소.”
주변에서 음식을 먹던 사람들은 혀를 차며 안타깝게 쳐다본다. ‘형편이 어려운 사람’이나 ‘도와줘야 할 대상’으로 여겼을 게 뻔하다. 음식을 싸가는 남성도 한두 번 해 본 것이 아닌 듯 플라스틱 통에 담는 손길이 능숙하다.
그 남성은 ‘도와줘야 할 대상’도, ‘형편이 어려운 사람’도 아니다. 드라마에나 나올 법한 이야기지만 그는 ‘회장님’이다. 태성고무화학의 전 회장이자 신양문화재단의 명예 이사장 고 정석규의 이야기다. 그는 1967년 태성고무화학을 설립해 회사를 업계 최고로 키운 거부임에도 평소 검소한 생활로 주위에 귀감이 돼 왔다.
지난 5월 21일 향년 86세로 별세한 정석규 명예이사장은 생전에 모교인 서울대에 450억원을 기부했다. 1987년에 시작한 그의 기부활동으로 장학금 혜택을 받은 서울대 학생만 해도 820명. 그 액수도 25억 6200만원이나 된다. 여기에 인문대와 사회대, 공대 등 3곳에 그의 아호인 ‘신양’을 딴 신양학술정보관도 지어져 후배들이 마음 놓고 공부할 수 있는 터전을 만들었다.
정 이사장의 기부활동에 대해 그의 일상생활이다. 이우일 서울대 연구부총장은 이렇게 말했다. “돈은 분뇨와 같아서 한곳에 모아두면 악취가 나지만, 밭에 풍성하게 뿌리면 고루 수확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을 평생 신조로 사신 분입니다.”
서울대 학생들은 그를 다 낡아 떨어진 구두를 신고 다니는 이사장으로 알고 있을 정도니 그가 얼마나 검소한 생활을 해왔는지 알 수 있다. 그의 별세 소식이 전해졌을 때 서울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추모와 감사가 계속됐다. ‘당신께서 만들어주신 계단 덕분에 현재 꿈과 가까운 곳에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사장님의 삶처럼 베풀 줄 아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등의 내용이다. 정 명예 이사장이 베푼 것은 돈이지만, 남은 것은 그의 삶의 철학과 품격이었다.
◇ 故 김경수씨 못 배운 한, 한풀이 1억원을 남기다
지난 1월, 그 추웠던 겨울의 한가운데, 꽁꽁 언 마음까지 녹이는 훈훈한 이야기가 제주대학교에서 들렸다.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의 고 김경수(81·여)씨가 평생 농사일을 하며 모은 1억 원을 불우 학생들을 위해 장학금으로 기탁한 것이다.
김씨는 어린 시절 제주 4·3 사건으로 어머니를 잃었다. 슬픔을 이기지 못한 아버지마저 어머니 따라 떠난 뒤 그는 어린 여동생과 힘겹게 살았다. 불우한 환경은 그녀에게 배움을 허락하지 않았다. 배우지 못한 한은 평생 그녀를 괴롭게 했다.
배움에 대한 한을 그녀는 봉사를 통해 풀 수 있었다. 자신과 같이 불우한 환경에서도 공부의 끈을 놓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평생 모은 돈을 기탁하기로 결심한 것이다. 이런 선행이 특별한 이유는 따로 있다.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아 주변 정리를 하는 가운데 자녀들에게 하는 마지막 부탁이었던 것. 결국 그녀는 대학발전기금 기탁식 11일 후인 1월 16일 세상을 떠나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
“평생을 6남매 뒷바라지해오면서 언젠가는 당신께서 겪으신 인생의 한과 설움을 사회봉사로 풀어보려는 생각을 가지시고 아무에게도 내색하지 않고 오랫동안 준비해오셨습니다. 이 돈은 평생 한여름 뙤약볕에서 물 한 모금 제대로 마시지 못하면서 몸이 죽어가는 줄 모르고 일해 모은 쌈짓돈입니다. 의연하신 의지로 단호한 결정을 내려주신 어머니께 당신의 자식으로 태어난 것이 너무 행복하고 자랑스럽다고 말씀드립니다.”
그녀의 자녀들이 대학발전기금을 기탁하면서 낭독한 ‘장학금 기부자 자녀들이 드리는 글’은 참석자들을 숙연하게 했다. 격동의 세월을 살며 제대로 교육 받지 못한 것이 한이었지만, 그녀는 돈과 함께 희망을 남겼다. 한은 스스로 거두어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