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8월 어느날 이틀간 우리은행 PB센터를 통해 선정된 자산가 5명과 전화 인터뷰를 했다. 자산, 상속, 증여세, 자손, 부의 대물림, 부의 복지 등 민감한 내용에 관한 대화여서 모두가 익명을 요구했다. 이들 중에서 이인용 회장(가명)의 상속에 관한 철학과 통찰력을 들여다보는 블라인드 토크(Blind Talk)로 담았다.
이인용 회장은 1950년 생으로 올해 65세. 여전히 활발하게 활동 중인 현역 기업인이다. 연매출 2000억 원가량의 식품 가공과 무역업을 하고 있는 그는 기업의 자녀 승계 문제에 대하여 단호하게 선을 긋는다.
빌 게이츠, 워런 버핏 등 저명인사들이 재산의 사회적 환원을 말하고 있지만, 재산을 자녀에게 물려주지 않는 것을 의아해하고 반감을 갖는 사람들이 많은 게 현실이다.
그러나 이 회장이 생각하는 ‘환원으로서의 재산’은 확고한 경험과 철학 위에 서 있었다. 이인용 회장은 딸 둘과 막내인 아들을 모두 출가시켜 손주 다섯 명을 둔 자식 부자다. 그는 자식들의 기업 승계에 대하여, “본인들 중에서 취미가 있고 능력이 있다면 하는 것이고, 아니면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기업을 운영하려면 그에 걸맞은 능력과 흥미가 있어야 해요. 기업체는 유기체적인 것이기에 경영이 잘 안 되면 연관된 모든 식구들에게 피해가 가니까요.”
이 회장은 맨주먹으로 사업을 일군 자수성가형 기업가다. 혼자서 모든 것을 일으켰다는 보람과 자부심이 재산 철학의 근저를 이루고 있었다.
“내가 아버지에게서 받은 만큼은 자식들에게 주겠지만, 그 이상은 자식들의 힘이 아니고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의 힘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그들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자식들에게는 재산보다는 낚시하는 방법을 알려줘야죠. 그게 큰 유산이에요. 그것조차 못 받는 사람들도 얼마나 많은데요.”
이 회장은 자신의 친구들 중 부모의 유산을 물려받아 그걸 잘 유지하는 경우가 한 3%나 될까 싶다고 말한다.
“숫자로 보면 부모의 재산을 제대로 유지하는 사람이 30명 중 한 명이에요. 대부분 50대 중반이 되면 부모의 유산을 다 탕진해요. 그걸 봐도 준비나 교육 없이 능력이 안 되는 자녀에게 가업승계를 한다거나 유산을 물려주는 건 그리 현명한 생각은 아닌 것 같아요. 특히 돈이 좀 있는 집안의 자식들은 아무래도 어려움을 겪지 않았으니 없는 사람들 형편을 몰라요. 자신이 가진 돈을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하죠. 그 생각 자체가 잘못된 거예요.”
돈이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게 해야
이 회장의 돈에 관한 흔들리지 않는 철학은 젊은 시절과 지금, 돈을 벌게 되면서부터 바뀐 것이지 않을까 궁금해졌다. 그래서 젊은 시절의 돈의 의미와 지금의 돈의 의미가 달라졌는지를 물어봤다. 그러나 그의 대답은 돈에 관한 신념이 수집이나 탐욕과는 거리가 멀다는 걸 알게 해줬다.
“저는 어렵고 악착스럽게 돈을 버는 것보다는 일하는 것 자체가 좋았어요. 일을 하다 보니 돈이 따라왔습니다. 제 자식들에게도 네가 좋아해서 열심히 일하면 돈은 알아서 따라온다고 가르칩니다.”
그의 돈에 대한 엄격함의 근거는 돈이 아닌 일 자체의 가치에 삶을 두고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일하느라 바빠서 자식들에게 좋은 아버지가 되지 못했다고 술회했다. 그래도 자식들에게 흐트러진 모습을 보인 적은 없었고, 자식들 또한 그런 아버지를 존중하고 지금도 아버지의 말씀을 잘 받아들이고 있는 건 이 회장의 삶이 그릇되지 않았다는 걸 알려준다.
현금보다는 재산 낚는 방법을 알려줘야
“자식들에게 아쉬운 점? 많죠(웃음). 제가 좀 더 시간을 할애해서 세상 사는 노하우를 가르쳐줬으면 지금보다 더 잘 살지 않았을까 싶어요.”
그는 단순히 돈을 주는 것보다 ‘노하우’를 전수하는 편이다. ‘물고기’ 대신 ‘낚시하는 법’을 가르쳐 부모 세대가 물려준 부를 효과적으로 늘리고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내심 남아 있는 아쉬움을 줄이기 위해 그가 자식들에게 항상 강조하는 말이 있다고 한다.
“국가 재정과 가계는 다르다고 곧잘 말합니다. 국가 재정은 예산을 세워놓고 세금을 모아서 운영하는 것이죠. 반면 가정은 자신이 일을 해서 버는 수입에 의해 운영해야 합니다. 그 차이를 생각하지 않으면 가계는 마이너스가 돼요.”
세금이란 이미 준비되고 존재하는 것으로부터 돈을 받는 것이다. 반면 가정은 본인의 역량으로 끊임없이 노력하고 도전해야 유지할 수 있는 것에 가깝다. 이 회장이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이 느껴지는 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