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보험 상품에 가입은 했지만 막상 병원에 다녀와도 그 혜택을 꼼꼼하게 누리기는 쉽지 않다. 콜센터에 등록하고 관련 서류와 영수증을 일일이 모아 팩스로 보내야 하는 등 과정이 번거롭기 때문이다. 이럴 땐, 실손보험 청구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앱 ‘실손보험 바로청구’를 이용해보자.
국내 계란 식품·산업·웰니스를 아우르는 대형 박람회 ‘에그테크코리아 2025(EggTech Korea 2025)’가 오는 12월 19일부터 21일까지 서울 양재 aT센터 제1전시장에서 열린다. ‘계란·미래·K-푸드·웰니스’를 핵심 키워드로 내세운 이번 행사는 60개 기업, 100부스 규모로 구성되는 B2C·B2B 융합형 페스티벌이다. 특히 1270만 구독자를 보유한 먹방 크리에이터 쯔양이 홍보대사로 참여하고, 140만 구독자의 의학 유튜브 채널 ‘닥터프렌즈’가 식품안전·건강 토크콘서트를 진행할 예정으로 개막 전부터 높은 관심을 모
보험설계사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현실을 고려해 보험 상품 설명, 준법 준수 영역에서 인공지능(AI)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생명보험 전속설계사 평균 연령은 2000년 남자 36.0세, 여자 40.6세에서 2024년 남자 48.7세, 여자 51.8세로 약 12세 이상 높아졌다. 고령층 중심 구조가 커지면서 불완전판매 위험 증가라는 구조적 문제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지난 23일 보험연구원이 발표한 '보험설계사 고령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생명보험 전속설계사 연령 분포에서 60세 이상이 남성 19
사단법인 미래포럼이 인공지능(AI)이 불러올 문명적 전환과 사회적 파장을 짚는 자리를 마련한다. 미래포럼은 오는 12월 5일 오후 3시 라이나전성기재단 라이나 홀에서 제3회 회원포럼 ‘AI 문명 시대의 도래와 사회적 파장’을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민주주의·다양성·돌봄·기술·지속가능성 다섯 가지 키워드로 구성된 회원포럼 시리즈 ‘다섯 가지 담대한 희망’의 세 번째로, ‘기술과 AI’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발제는 사회학자 김문조 고려대학교 명예교수가 맡는다. 김 교수는 최신 저서 ‘포스트소셜사회론’에서 AI가 주도하
시니어 케어 전문기업 케어링이 전국 직영점을 대상으로 진행한 첫 사내 공모전 ‘케어링 한마당’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11일 케어링은 어르신과 직원이 함께 참여한 프로그램 영상을 비롯해 돌봄 현장의 경험을 담은 수기 등 총 31개 작품이 접수되며 예상보다 높은 참여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구성원의 소속감과 결속력을 강화하고, 돌봄 현장에서 축적된 사례와 노하우를 지점 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간보호센터는 어르신들의 프로그램 활동을 담은 영상을, 방문요양센터는 돌봄 과정의 따뜻한 순간을 기록한 수기를 출품하는 방
요즘 아이들은 동전보다 디지털 머니를 먼저 접한다. 게임 아이템 결제, 온라인 쇼핑, 간편송금은 이미 익숙한 일상이다. 하지만 보이스피싱, 고수익 미끼투자, 사이버 도박 등 위험은 아이들의 생활 반경까지 스며들었다. 그럼에도 가정이나 학교에서 이뤄지는 금융교육은 여전히 구호 수준에 머물러 있다. 제도권 금융교육은 지역·학교별 편차가 크고, 특강 중심의 교육은 실생활과 멀다. 그 사이 아이들은 이미 디지털 금융 세계의 소비자이자 사용자로 뛰어들고 있다. 공적 체계가 완비되기만을 기다리기는 어렵다. 시니어 세대가 줄 수 있는 또 하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