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재능기부의 역설

기사입력 2016-11-09 17:39 기사수정 2016-11-11 10:26

▲시니어 재능기부의 역설(박미령 동년기자)
▲시니어 재능기부의 역설(박미령 동년기자)
우리 사회가 평균수명이 늘어 100세 시대로 진입하면서 기나긴 은퇴 후의 시간관리가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사실 이런 사태가 인류 초유의 일인데다 미처 대비할 시간도 없이 들이닥쳐 대부분 허둥지둥 갈피를 잡지 못하고 살고 있다. 계속 일을 해야 하는지, 아니면 놀고먹어도 괜찮은 것인지 쉽게 판단이 안 선다.

우리보다 고령사회에 먼저 들어선 일본은 이미 적응기간을 거쳐 60~70대 노동 인구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한다. 일본의 사례를 보면 역시 계속 일을 하는 게 맞는 방향인 것 같은데 우리나라는 아직 고령사회에 대한 대책이 많이 부족한 느낌이다. 우선 일자리도 턱없이 부족하고 청년실업 문제 때문에 일자리 구하러 다니기도 왠지 눈치가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조기은퇴하고 아직 건강한 몸인 시니어들은 틈새 일거리인 재능기부를 많이 하고 있다. 필자가 취재하고 있는 서울시나 기타 지자체 혹은 복지 관련 단체들에 소속된 재능기부 모임은 한둘이 아니다. 이런 모임에 참여하는 시니어들은 대체로 즐거워하고 하는 일에 만족해한다. 그러나 문제는 재능기부는 ‘일거리’일 뿐이지 ‘일자리’가 아니라는 점이다. 물론 재능기부는 매우 아름다운 일이며 칭찬받을 일이지 비난받을 일은 아니라는 점 때문에 더욱 그렇다. 최근에 출간된 저널리스트 크레이그 램버트의 <그림자 노동의 역설>은 이와 유사한 ‘무보수 노동’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시니어들의 생존 문제와 결부되어 우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림자 노동’이란 오스트리아의 사회사상가 이반 일리치가 주장한 개념으로 현대인들이 ‘아무런 보수도 받지 않고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일’에 내몰리고 있는 상황을 표현한 말이다. 예컨대 ‘셀프’라는 미명하에 매장 곳곳에서 유행하는 노동을 이른다. IT의 발달로 이런 식의 노동 봉사는 갈수록 확대되는 추세다.

대형 레스토랑의 샐러드 바에서 직접 음식을 담고, 공항의 터치스크린 키오스크에서 셀프 탑승 수속을 밟고, 극장에선 티켓 자동발매기 앞에 줄을 선다. 이전에는 매장이나 창구 직원이 처리했던 일들을 소비자에게 떠넘기는 셈이다. 마치 생활이 더욱 편리해지고 소비자에게 자율을 선사하는 듯 포장하지만, 결국은 기업의 인건비 절감이 목표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햄버거 먹고 스스로 치우는 순간 일자리 하나가 날아간다는 뜻이다.

오늘날 일자리가 줄어들고 많은 젊은이가 실업으로 고통받는 이면에는 이런 보이지 않는 구조적 문제가 도사리고 있는 것이다. 물론 재능기부가 ‘그림자 노동’이라는 말은 아니다. 다만 아주 선한 마음으로 베푸는 행위가 비슷한 일로 생계를 이어가야 하는 어느 누군가의 일자리를 뺏을 수도 있다는 의미다.

그러고 보면 세상일이 그리 단순하지 않다. 뉴욕의 작은 나비 날갯짓이 북경의 태풍을 몰아오듯 모든 사회 현상은 촘촘한 인과관계로 얽혀 있다. 나이 들었다는 게 뭔가. 이런 세상사를 폭넓게 보는 지혜가 아닌가. 즐겁게 재능기부를 하면서도 주변을 둘러볼 수 있는 안목이 필요해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꼰대는 이제 그만, 시대에 맞는 ‘요즘 어른’되기 위한 도덕은?
    꼰대는 이제 그만, 시대에 맞는 ‘요즘 어른’되기 위한 도덕은?
  • 연금계좌 인출 순서를 활용한 연금소득 절세 전략
    연금계좌 인출 순서를 활용한 연금소득 절세 전략
  • 보건복지부, ‘2025년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 실시
    보건복지부, ‘2025년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 실시
  • [카드뉴스] 벽 앞에서 좌절하는 어른을 위한 책
    [카드뉴스] 벽 앞에서 좌절하는 어른을 위한 책
  • “차량에 운전수 없으면 불안” 자율주행 미래 키워드는 ‘사용자’
    “차량에 운전수 없으면 불안” 자율주행 미래 키워드는 ‘사용자’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