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용씨 별세, 철훈(한화건설 상무)ㆍ기훈(사진작가) 부친상=12일 오전, 서울아산병원, 발인15일 오전, 02-3010-2293
관련 뉴스
-
- 생명연, 초고령화 사회 대응 노화연구소 신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연)은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고 국가적 난제인 노인성 질환 해결을 선도하고자 이달 29일 노화연구소를 신설한다고 26일 밝혔다. 노화연구소는 노화와 관련된 난치성 질환 연구 수요 급증, 건강수명 연장에 대한 사회적 요구 확대, 국제적 항노화 연구 경쟁 심화 등 변화된 환경 속에서 기초·원천연구 중심의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자 마련됐다. 우리나라는 작년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를 차지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의료비 지출과 사회·경제적 부담이 급증하고 있다. 고령자 진료비만 2023년 약 48조9000억
-
- 웰다잉을 선택한 사람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누적 등록 300만건 넘어"
- 사전에 연명의료의향서를 등록한 건수가 300만 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와 국가생명윤리정책원이 발간한 ‘2024 연명의료결정제도 연보’를 분석한 결과 2018년 제도 시행 이후 올해 8월까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자 누적 건수는 303만4831건으로 집계됐다. 2018년 첫 해에 10만529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연명의료중단 결정 이행 누적 건수는 올해 8월 기준 44만8868건으로 45만 건에 육박했다. 2018년에
-
- [챗GPT 브리핑] 40대 사망원인, 자살이 암 제치고 1위 外
- 바쁜 일상 속 알짜 뉴스만 골랐습니다. 정책·복지·건강·기술까지, 꼭 필요한 시니어 관련 정보를 챗GPT가 정리하고 편집국 기자가 검수해 전해드립니다. ◆경제 허리층 40대, 자살이 암 제치고 사망 원인 1위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24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 따르면 자살이 처음으로 40대 사망 원인 1위에 올랐다. 지난해 자살 사망자는 1만 4872명으로 13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으며, 자살률도 29.1명으로 2011년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특히 경제활동의 핵심 계층인 40대에서 자살이 암을 앞지르며 사회적 경각심을 불러
-
- [Trend&Bravo] 연금만으로 살아야 한다면? 가장 먼저 포기할 지출 '1위'
- 연금만으로 생활해야 한다면 가장 먼저 줄일 지출은 어디일까. 교보생명 퇴직연금컨설팅센터 설문조사(2025)에 따르면 시니어들은 외식·취미(42%)와 여행(36%) 같은 여가성 지출을 우선적으로 포기하겠다고 응답했다. 이는 생활의 만족도를 높이는 항목임에도 불구하고, 불확실한 재정 상황 앞에서는 가장 먼저 희생되는 소비라는 점을 보여준다. 흥미로운 점은 건강·주거비 등 필수 영역은 끝까지 지켜내려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것이다. 결국 은퇴 이후 지출의 우선순위는 ‘즐거움’보다 ‘생존’에 맞춰질 수밖에 없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
-
- 비밀이 없는 당산마을 이웃들
- 정말 신기한 일이다. 블루베리 농장이 있는 당산마을(세종시 연기면 연기리)에는 비밀이 없다. 아침나절 오다가다 한두 마디 나눈 이야기는 오후가 되면 온 동네 모르는 사람이 없다. 모두들 대문을 활짝 열어놓고 살아서 그런가 보다. 하기야, 코로나19 당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마실 다니던 발길이 끊기자 “6.25전쟁 때보다 지금이 더 무섭다”고 했던 분들이다. 당산마을에 내려오자마자 자주 들었던 이야기는 ‘돈’을 둘러싸고 전개된 극적인 사연이었다. 이곳 주민들은 원래 월산리에서 동족 부락을 이루며 살던 분들인데, 세종시 개발이 확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