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머리카락 이야기를 꺼낸 것은 나이 들면서 부쩍 머리카락이 빠지는 느낌이 들어서다. 나이가 들면 머리카락뿐 아니라 온몸 곳곳에 빠지고 부실해지는 게 수두룩한데 굳이 머리카락에만 민감할 이유는 없겠지만, 머리는 외모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반영되는 터라 더 신경이 쓰인다. 하긴 옛날에 어머니도 노년에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셨던 터라 그러려니 각오하고 받아들인다.
남편도 대학생 때는 베토벤이라 불릴 정도로 머리털이 풍성했었는데 세월의 풍상에 시달려 지금은 마치 황성 옛터처럼 황량한 모습이다. 그런대로 아직은 주변머리가 있어 소갈머리를 어느 정도 가려주고 있으니 버틸 만하지만, 언제 맨땅이 드러날지 알 수 없다. 그런 모습이 때론 측은하기도 한데 남편은 머리털 빠지는데 전혀 개의치 않는 눈치다.
하긴 머리카락이 우리 인생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것도 아닌데 거기까지 신경 쓰며 살아야 하는가 싶기도 하다. 머리 모양이 아무러면 어떤가. 옛날에는 상투를 틀고도 살았는데. 게다가 요즘은 머리를 박박 밀고 다니는 남자들이 늘어나고 있으니 머리털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바뀌고 있는지 모른다. 자주 보아서 그런지 유명인들의 삭발 머리가 어느새 자연스럽게 보인다.
얼마 전 국내 모 신문에 칼럼을 연재하는 한국 거주 영국인 팀 알퍼의 글을 읽고 한참 웃었던 적이 있다. 그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탈모에 대한 관념과 전혀 다른 서양 사람들의 사고를 흥미 있게 묘사했다. 대부분의 영국 남자들은 머리카락이 빠지기를 고대한단다. 왜냐하면, 머리털이 빠지기 시작하면 머리를 밀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무슨 황당한 이야긴가 하겠지만, 우리나라와 서양의 대머리에 대한 관념이 전혀 다르다는 뜻이다. 서양인들은 우리처럼 대머리를 부끄러워하는 법이 없다. 영어의 대머리를 뜻하는 ‘egghead'는 ’지성인‘ ’지식인‘으로 해석된단다. 심리학자 프랭크 무스카렐라 미국 배리대학 교수는 소크라테스, 다윈, 처칠 등 ’대머리 지식인‘을 언급하며 “대머리는 유전적으로 우성(優性)이며 사회적 지위가 높고, 정직하다는 인상을 준다.”고 말한다.
그러니 할리우드 영화에 대머리가 그렇게 많이 등장했던 것이다. 자꾸 봐서 그런지 처음엔 이상했던 브루스 윌리스도 어느새 대머리가 매력 있게 보인다. 젊었을 때부터 멋있었던 숀 코너리는 대머리가 된 후 더 중후하게 보인다. M자형 대머리가 되어가는 주드 로는 또 얼마나 매력 있는가. 도대체 서양 대머리는 좋게 보면서 우리 대머리는 얕잡아보는 까닭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성인 남성 대부분이 ‘탈모포비아(phobia, 공포증)’에 시달린다는 보도가 있다. ‘탈모가 염려된 적이 있느냐’라는 질문에 99%가 ‘그렇다’고 답했다. 생각해 보면 외모지상주의에 물든 우리의 아픈 현실이 눈에 밟힌다. 그러나 어쩌랴. 머리가 빠지면 루저로 전락하는 이 나라의 형편에서 오늘도 애들 몰래 가발을 고르고 머리에 흑채를 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