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세 할머니·63세 교수, 대구보건대서 인생 2막
▲14일 열린 대구보건대 졸업식에서 학사모를 쓴 김복례(75) 할머니와 김종철(63) 교수.
지난 14일 열린 대구보건대 졸업식. 젊은 학생들 가운데 유난히 눈에 띄는 두 학생이 있다. 주인공은 이 대학 사회복지과를 졸업한 김복례(75) 할머니와 물리치료과를 졸업한 김종철(63) 교수.
김 할머니는 어려운 형편 때문에 놓친 배움의 기회를 늦게서야 이은 뒤 이날 대학을 졸업했다. 그는 미국 유학을 준비 중이다. 김 할머니는 길거리에서 국수를 팔아 딸 5명을 대학 공부까지 시키고 난 다음에야 공부를 다시 시작했다. 70세가 다 돼 중학교 공부를 시작, 6년 만에 사각모를 썼다. 대학에서 손자뻘 되는 동기들의 아침식사를 위해 빵과 비타민을 챙겨주기도 해 동기생들의 인기를 독차지했다. 특히 시험기간에는 새벽 4시까지 공부하는 투혼을 발휘했다. 김 할머니는 이제 미국 유학을 위해 매일 영어 공부에 힘을 쏟고 있다.
또 부산의 한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다가 은퇴 후 같은 대학 초빙교수로 근무 중인 김종철 교수는 고교 시절 장애인 친구를 도운 경험으로 물리치료사의 꿈을 가졌다. 김 교수는 대학 근무 중에도 꾸준히 장애인 봉사활동을 펼쳐왔다.
은퇴 후 물리치료사가 돼 좀더 확실하게 장애인을 돕겠다는 생각에 김 교수는 2011년 대구보건대에 다시 입학했다. 3년 동안 낮에는 부산에서 강의를, 저녁에는 대구에서의 학업을 거의 매일 반복했다. 김 교수는 물리치료사가 돼 요양병원에서 근무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뉴스
-
- 정은경 장관 “통합돌봄 예산, 모든 시·군·구 지원 적절…717억 증액 필요”
-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10일 내년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예산과 관련해 “추계 결과 전국 시군구에 다 지원하고 노인·장애인 서비스 확충하려면 한 717억 원 정도의 증액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회 심의 과정에서 협의하고 기획재정부하고도 계속 협의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통합돌봄 예산과 관련해 “통합돌봄 사업이 내년 처음 도입되는 것이어서 제도 안착이 중요하다”며 “모든 시군구에 (예산) 지원하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한다”고 했다. 통합돌봄 사업은
-
- 이형훈 복지부 제2차관 등 정부 대표단, 日·中 만나 ‘건강한 노화’ 논의
- 이형훈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이끄는 정부 대표단이 일본, 중국 대표단을 만나 건강한 노화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보건복지부는 7일 남아프리카공화국 폴로콰네에서 열린 G20 보건장관회의 및 재무보건합동 장관회의에 이형훈 제2차관을 수석대표로 우리나라 정부대표단이 참석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올해 의장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 주최로 개최돼 G20 회원국 및 초청국, 세계보건기구(WHO) 등 보건의료 분야 주요 국제기구 고위급 관계자가 참석했다. 특히 이번 일정 중에 대표단은 일본, 중국 대표단을 만나 다음달 서울에서 열릴
-
- [AI 브리핑] 정년 1년 늦추면 고령자 5만 명 은퇴 유예 外
- 바쁜 일상 속 알짜 뉴스만 골랐습니다. 정책·복지·건강·기술까지, 꼭 필요한 시니어 관련 정보를 AI가 정리하고 편집국 기자가 검수해 전해드립니다. ◆정년 1년 늦추면 고령자 5만 명 은퇴 미뤄진다 정년을 60세에서 61세로 1년 연장할 경우 정규직 고령 근로자 약 5만 명(5만 5천명)이 은퇴를 미루게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어 기업의 인건비 부담 증가로 청년 일자리가 연간 약 5만 개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 같은 결과는 국가데이터처의 연령별 상용근로자 분석과 한국은행의 ‘초고령사회와 고령층 계속근로 방
-
- [중장년 필독 정보통] 미식투어 '오래가게 위크 2025' 개최 外
- 바쁜 일상, 풍요로운 노후생활을 위해 중장년이 꼭 챙겨야할 각종 무료 교육, 일자리 정보, 지자체 혜택 등을 모아 전달 드립니다. 서울을 가장 진하게 경험하는 여행 서울시는 일상 속에서 특별한 여행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오래가게 위크 2025’를 11월 21일까지 개최한다. ‘오래가게’는 ‘오래된, 그리고 오래가길 바라는 가게’라는 뜻으로, 세월의 흐름 속에서도 여전히 자리를 지키며 서울의 역사와 정취를 전하는 공간이다. 서울시는 2017년부터 생활문화, 전통공예, 음식 분야에서 이러한 가게를 발굴해왔으며, 올해는 미식 관광
-
- 日 65세 이상 퇴직자 35% “지금 삶에 보람 못 느껴”
- 일본의 고령자 상당수가 ‘100세 시대’ 속에서도 삶의 보람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쿄 신주쿠에 본사를 둔 기업 ‘종활의 창구’는 지난 6일 자사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는 65세 이상 퇴직 남녀 3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생 100세 시대의 행복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종활(終活)은 일본 고령자들이 죽음 앞두고 진행하는 생전 정리 등의 활동을 뜻한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67.9%가 현재 자신의 생활에 대해 ‘대체로 만족한다’고 답했으나, ‘보람을 느끼지 못한다’고 답한 비율이 35.2%에 달했다. 또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