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의 전성시대다. 남녀노소를 구분하지 않는다. 취미로 사진을 하는 것도 좋지만 더 전문적인 작가로의 인정을 받는 것도 여가 생활이나 은퇴 후의 시간을 보다 보람 있고 재미있게 끌어갈 수 있는 자기계발의 하나다. 사진작가가 된다는 것은 새로운 도약 점이 될 수 있고 사진을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는 기본적 소양과 지식을 갖추는 단계로 볼 수 있다. 또한, 사진작가가 됨으로써 사진 촬영DMF 신중하게 된다. 더 많은 공부를 하게 된다. 자신의 또 다른 경력이 되고 그 경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일에 도전할 수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사진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그 경험과 기술을 전수하는 가르침의 기회도 얻을 수 있고 재능기부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정성 들여 만든 작품은 자기의 분신이 되어 세상에 남겨질 수도 있고 작품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기도 한다.
사진작가가 되는 길은 여러 가지일 것이다. 사진작품을 만드는 사람은 다 사진작가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소설을 쓰고 시를 지으면 소설가나 시인이라고 부르지만, 특정의 절차에 따른 문단의 등단으로 작가의 이름을 얻는다. 사진작가도 일정의 절차가 있다. 여러 가지 길이 있다. 그중에 하나가 (사)한국사진작가협회의 회원이 됨으로써 사진작가의 이름을 얻는 방법이다. 소정의 입회 자격 요건을 갖추어 이 협회에 등록을 신청하면 일정의 심의를 거쳐 입회를 허락하고 사진작가 이름을 붙여준다. 협회가 인정하는 사진강좌 3회 수료가 필수이고 공모전(촬영대회 3회 이상 필수)에 출품하여 입선(1회 2점)이나 입상을 하여 얻은 점수나 기타 공모전이나 개인 사진전시회 개최 등으로 인정하는 점수가 제시하는 점수에 다다르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사)한국사진작가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사한 기관으로 한국디지털사진가협회도 있고 이곳에서도 사진가 명함을 달 수 있는 길이 있다. 취미 생활에서 그런 제도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어도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했듯이 남과 차별화하거나 전문가 자격을 갖추는 일은 곧 자기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는 일이다. 요즘은 자격과 인증의 시대다. 자격증과 인증서를 갖는 것도 자신의 경력을 쌓는 중요한 일이고 자기의 쓰임새를 키우는 일이다. 사람은 누구나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기를 원한다. 카메라 장비도 예전과 달리 싸면서도 편리하게 만들어져 사용하기가 편해졌다. 사진작가 도전이 어렵지 않다. 사진을 배울 수 있는 곳도 주변에 많다. 후반생의 새로운 여가활동으로 한번 도전해 봄도 좋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