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를 바닷가나 계곡으로만 가는 것은 아니다. 가치 있는 일을 해도 좋다. 그중 ‘댄스 여름 캠프’라는 것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한 번도 열린 적 없지만, 외국에서는 해마다 열리며 해가 갈수록 성황이다.
이탈리아의 댄스 여름 캠프는 베니스에서 열린다. 세계 각국에서 왕년의 챔피언, 선수들이 모인다. 캠프 기간 동안 스케줄이 잘 짜여 있다. 한국에서 가려면 비행기 값이 비싸서 그렇지 캠프 참가비용은 숙소를 포함해 그리 비싸지 않다. 이 캠프에서 댄스를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서로 얼굴을 익혀놓는 게 큰 도움이 된다.
몇 해 전 호주에서도 댄스 캠프가 열려 참여 계획을 한 적이 있다. 그러나 호주의 댄스 강사 수준이 그리 매력을 끌지 못했는지, 또 며칠씩 자리를 비울 수 없는 직장인들도 있었고 경비도 꽤 드는 편이라 부담이 됐는지 성사되지 못했다.
이런 행사는 그야말로 부가가치가 높은 문화 사업이고, 관광 사업이기도 하다. 영국은 댄스스포츠를 체계화해 지금도 수많은 관계자들을 먹여 살린다. 국가적으로도 도움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댄스 캠프를 기획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국가대표 선수들의 단체 합숙 훈련은 있지만, 그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댄스스포츠 10종목을 전문 선수나 강사들이 가르치고 그 외에 아르헨티나 탱고, 살사, 지터버그, 블루스까지 포함해 그야말로 댄스로 날을 지새우도록 하는 것이다.
동호인들은 누구나 이런 꿈을 꿔봤을 것이다. 댄스 캠프를 열려면 좋은 지도자들이 많이 호응해줘야 한다. 그러나 문제는 이런 기획을 할 수 있는 댄스 단체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학원별로 보유한 선수 몇 명만으로는 프로그램이 빈약할 수밖에 없다. 큰 단체가 기획해 추진하든지 작은 단체끼리 연합해서 추진하는 방법도 있다. 여건도 만만치 않다. 평소 유대 관계 및 일정 인원의 회원들을 동원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초창기에 댄스스포츠를 보급한 공로가 있는 동아문화센터나 중앙문화센터 같은 언론기관, 그리고 참신한 기획력이 있는 잡지사 등이 나서는 방법도 있겠다.
장소도 만만치 않다. 우선 춤출 수 있는 마루가 깔린 큰 방이 있어야 한다. 여러 사람이 한꺼번에 움직여야 하므로 숙소 문제, 식사 문제 등도 잘 기획되어야 한다. 콘도가 좋기는 한데 성수기에는 방 구하기가 어렵다. 마을회관이나 지방 공공건물, 문화센터, 방학한 학교나 폐교된 학교를 빌리는 방법도 생각해봄직하다.
이런 행사가 우리나라에서도 열리면 동호인들에게는 평생의 추억이 될 것이고, 지도자로 참여한 사람들에게는 새로운 회원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