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오로지 한길만을 걸으며 위대한 족적을 남긴 이들의 모습은 언제 봐도 멋있다. 여전히 젊음을 잃지 않은 목소리로 무대에 오르고,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는 연출력과 필력을 뽐내는 네 명의 연극 원로가 제2회 늘푸른 연극제에서 만났다. 바로 대한민국 연극을 대표하는 배우 오현경과 이호재, 연출가 김도훈과 극작가 노경식이 올해 주인공들이다. ‘원로연극제’라는 이름으로 시작해 ‘늘푸른연극제’로 문패를 바꿔 달은 이 연극제는 원로들의 노고를 격려하고 응원하는 따뜻한 예술가들의 잔치였다. 8월 한 달, 평균 연령 79세 젊은 오빠(?)들의 무대로 대학로 극장가가 뜨거운 박수로 넘쳐났다.
범접할 수 없는 화술의 대가, 배우 오현경
연극계 후배들은 오현경을 ‘학 같은 배우’라 부른다. 여든이 넘은 나이에도 후배를 꾸짖는 목소리는 카랑카랑하고 곧다. 화술의 대가, 그의 연기를 말할 때 빠지지 않는 표현이다. 국내에서 가장 정확한 한국어를 구사하는 배우로 통하는 오현경은 사비를 털어 ‘송백당’을 열고 후학을 위해 화술을 가르치기도 했다. 이번 연극제의 개막작이자 오현경의 출연하는 연극 <봄날>은 1984년 초연 때부터 오현경이 아버지 역을 맡아왔던 작품이다. 젊음을 향한 늙은 아버지의 주책스런 욕망을 해학과 능청스러움으로 표현해 초연 때부터 관객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 이번 무대에서도 또한 강단 있고 깊은 대사와 호흡으로 나이를 잊은 열연을 보여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
사실주의극에 시적 분위기를 불어넣는 연출가 김도훈
혹자는 연출가 김도훈을 일컬어 ‘돈과 억세게 거리가 먼 연극인’이라고 부른다. 관객의 입맛에 맞는 연극은커녕 자신만의 연출 스타일을 끈질기게 고집하고 남녀의 애증과 갈등, 인간의 본질 파악에만 집중한다. 이 때문에 그의 작품은 진지하고 무거우며 당연히 관객이 많이 들지 않는다. 대중과 타협하지 않고 자신만의 스타일을 고집하는 연출가 김도훈. 1976년 극단 뿌리 창단 이후 40년 동안 100여 편이 넘는 작품을 선보였다. 그러나 역시 그의 대표작은 <유리동물원>이다. 남루한 집을 배경으로 한 가족이 붕괴되고 해체되는 과정을 그린 테네시 윌리엄스의 <유리동물원>은 1976년 첫 연출 후, 그가 가장 자주 무대에 올렸던 레퍼토리다. 이번 공연에는 국회의원을 지낸 배우 최종원이 주인공 톰으로 출연했다.
역사를 통해 현실을 환기시키는 참여적 극작가 노경식
“작가로서는 이런 자리는 처음인 것 같습니다. 한평생 처음으로 포스터에 나온 작가가 아닌가 싶습니다. 연극 잘 만들어서 후배나 선배들에게 부끄러움 없었으면 합니다.” 극작가 노경식
극작가 노경식은 1965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희곡 <철새>로 등단했다. 지난해 <두 영웅>까지 50여 년 동안, 약 40여 편의 희곡을 발표했다. 그가 작품을 통해 들려주고자 했던 것은 우리 한국인의 이야기였다. 늘푸른연극제의 작품으로 무대에 오른 <반민특위>는 일제강점기 일본에 협조했던 친일 부역자를 처벌하기 위해 설치했던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가 부패권력에 의해 해체되는 과정을 그린 작품. 2005년 극단 미학(정일성 연출)에 의해 초연된 바 있다. 작가 특유의 역사적 안목으로 완성된 기록극이다. <반민특위>의 총연출은 극단 동양레퍼토리의 상임연출가 김성노와 협력연출 이우천이 공동으로 맡았다. 권병길, 정상철, 이인철, 김종구, 유정기 등 노련한 60대와 40~50대의 중장년 및 젊은 배우들 등 총 30여 명의 연기자들이 종횡무진 새롭게 무대를 석권하는 대형 파노라마로 꾸며졌다.
첫사랑을 찾아가는 노년을 연기하다, 배우 이호재
이호재는 1964년 <마의태자>를 시작으로 그동안 출연한 작품만 200여 편이 넘는다. 연극평론가 구히서는 그의 연기에 ‘연기의 교과서, 대사의 달인’이라는 별칭을 만들어주기도 했다. ‘무대 위에서의 유연성과 순발력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배우’라고 극찬하기도 했다. <언덕을 넘어서 가자>는 2007년에 초연된 작품으로 극작가 이만희가 이호재에게 헌정한 작품이다. 50년 만에 만난 동창이 첫사랑이었음을 뒤늦게 깨닫고 고백하는 동창생들의 이야기다. 젊은이들이 주는 풋풋함이 아닌 시니어의 우정과 사랑의 감정을 잘 녹였다. 얼마 남지 않은 생의 끝에서 따질 것 없이 던지는 그들의 모습이 귀여우면서도 애잔하게 그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