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시청자와 만나고 있는 신세경·남주혁 주연의 tvN 드라마 <하백의 신부>, 하정우·이정재·차태현·마동석 등 스타 초호화 캐스팅으로 관심을 폭발시키며 기대를 모으고 있는 12월 개봉 예정 영화 <신과함께>, 2007년 초연 이후 버전을 달리하며 뮤지컬 무대에 오르고 있는 <위대한 갯츠비>, 노년의 사랑을 담백하고 현실감 있게 그려 감동을 준 연극 <그대를 사랑합니다>, 젊은 층에서 선풍적 인기를 얻은 웹드라마 <연애세포>, 20년 넘게 인기를 얻고 있는 엔씨소프트의 온라인 게임 ‘리니지’…. 이 작품들의 공통점은 뭘까. 바로 만화와 웹툰이 원작이라는 점이다.
1919년 6월 2일 ‘대한민보’ 창간호에 게재된 이도영의 ‘삽화’로 한국 만화의 역사를 연 이후 만화는 진화를 거듭했고 ‘인터넷 만화’를 지칭하는 웹툰의 등장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했다.
근래 들어 형식과 내용, 소재에서 스펙트럼을 확장하고 있는 만화와 웹툰이 영화, 드라마, 뮤지컬, 연극, 게임의 원작으로 주목받으며 대중문화의 젖줄로 부상하고 있다. 대중문화 초창기부터 오랫동안 영화, 드라마, 연극의 원작으로 자주 활용되던 소설을 밀치고 이제는 만화와 웹툰이 그 자리를 차지하며 대중문화 원작의 제왕으로 등극했다.
이현세의 만화 <공포의 외인구단>이 1986년 영화로 만들어지고, 허영만의 만화 <퇴역전선>이 1987년 드라마로 제작되는 등 드라마와 영화 등 영상물 제작이 급증한 1980년대부터 만화가 본격적으로 영상화됐다. 1990년대부터 최근까지 허영만의 <비트>, <미스터 Q>, <아스팔트 사나이>,
<식객>, <타짜>, <각시탈> 등 만화가 영화, 드라마, 연극으로 만들어진 것을 비롯해 원수연의 <풀 하우스>, 방학기의 <다모>, 강희의 <불량주부>, 김혜란의 <비천무>, 박소희의 <궁>, 박인권의 <쩐의 전쟁>, <대물>, <야왕>, 윤미경의 <하백의 신부> 등 수많은 만화가 영상물과 공연물로 재탄생했다. 근래 들어 드라마 <꽃보다 남자>, 영화 <올드보이>, <설국열차>, 뮤지컬 <데스노트>처럼 외국 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작품도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 IMF로 출판만화 시장이 침체하고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출판만화를 스캔해 올리는 형태로 출발한 웹툰(Webtoon)은 인터넷을 뜻하는 ‘웹(Web)’과 만화를 의미하는 ‘카툰(Cartoon)’의 합성어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등의 멀티미디어 효과를 동원해 제작한 인터넷 만화를 지칭한다. 2003년 포털 다음의 ‘만화 속 세상’ 서비스가 시작되고 강풀의 <순정만화>를 비롯한 수많은 웹툰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대중문화 작품 원작으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강풀·윤태호·조석·주호민 등 전문 작가와 아마추어 작가의 수많은 독창적 웹툰이 네이버 등 포털에서부터 모바일, 통신사 사이트, 언론사 사이트, 레진코믹스를 비롯한 웹툰 전문 사이트까지 다양한 플랫폼에서 쏟아지면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2015년 기준 네이버를 비롯한 47개 사이트에서 연재작 4440편, 완결작 1288편의 웹툰이 게재됐다.
2009년 스마트폰 등장으로 웹툰이 짧은 시간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스낵 컬처(snack culture) 대표주자로 부상하면서 대중문화의 강력한 킬러 콘텐츠로 자리 잡았을 뿐만 아니라 드라마, 영화, 웹드라마, 게임, 연극, 뮤지컬 등 대중문화 원작으로 활용되는 원소스 멀티유스(OSMU) 콘텐츠로 주목받았다.
윤태호 작가의 <미생>을 비롯해 <닥터 프로스트>, <라이어 게임>, <치즈 인 더 트랩>, <동네 변호사 조들호>, <마스터-국수의 신>, <상상 고양이>, <송곳>, <예쁜 남자>, <지킬박사는 하이드씨>, <냄새를 보는 소녀> 등 수많은 웹툰이 드라마로 만들어져 시청자와 만났다. 또한 강풀의 <26년>,
<순정만화>를 비롯해 <내부자들>, <은밀하게 위대하게>, <이끼>, <타이밍>, <이웃 사람>, <패션왕> 등 다양한 웹툰이 영화로 재탄생했다. <연애세포>, <방과 후 복불복> 등은 웹드라마로, <순정만화>, <그대를 사랑합니다>, <새끼손가락> 등은 연극으로, <찌질의 역사>, <무한동력>, <위대한 갯츠비> 등은 뮤지컬로, <갓 오브 하이스쿨>, <신의 탑>, <바람의 나라>, <열혈강호>, <신과 함께>, <카페드쇼콜라> 등은 게임으로 각각 만들어져 대중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드라마와 영화, 게임, 뮤지컬 등 대중문화 콘텐츠 제작사들은 작품 원작으로 활용하기 위해 앞다퉈 만화와 웹툰 판권을 구입하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지난 2015년 발표한 보고서 ‘웹툰 산업 현황 및 실태조사’에 따르면 레진코믹스 등 웹툰 전문 사이트에서 연재된 작품 중 판권이 팔린 작품은 73개로 이 중 영화와 드라마로 만들어지고 무대에 오른 작품은 50개에 달했다. 또한 다음 카카오 웹툰 중 영상화하거나 예정된 작품은 40개에 달하고 네이버 웹툰 중 영상화한 작품은 17개, 예정 작품은 9개, 영상화 판권 계약을 마친 작품은 60개다. 하일권의 <3단 합체 김창남>은 영국 영화제작사 ‘페브러리필름’에 영화 판권이 판매되는 등 웹툰 작품은 이제 외국 영상물의 원작으로도 인기를 얻고 있다.
이처럼 인기 웹툰 판권 구입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원작 판권료가 2012년 2000만원 선이던 것이 최근 들어서는 5000만~6000만원 선까지 치솟고 있다. 이렇게 만화와 웹툰이 영화, 드라마, 게임, 뮤지컬, 연극 등 다양한 분야의 대중문화 원작으로 각광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만화와 웹툰은 무협, 판타지, 로맨스, 드라마 등 여러 장르의 독창적이고 신선한 작품이 많은 데다 10대부터 장·노년층에 이르기까지 각 연령대의 공감을 얻는 일상적인 소재에서 상상을 초월한 기상천외한 소재까지 다양한 소재의 작품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만화와 웹툰은 비약과 축약을 통해 박진감을 배가시키고 사건적 요소를 빠르고 단순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캐릭터 설정 등이 명확해 영상화나 무대화하기 좋은 특성을 가진 점도 만화와 웹툰의 원작 활용 증가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무엇보다 만화와 웹툰 등 원작의 명성과 관심을 영화, 드라마, 게임, 연극, 뮤지컬의 인기로 연결하기 쉬운 점도 만화와 웹툰의 원작화를 추동시키는 힘이다.
만화와 웹툰을 원작으로 활용하는 작품들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미생>, <내부자들>처럼 성공한 작품도 있지만 실패한 작품도 적지 않다. 영상과 무대의 특성을 살려 작품화하는 것이 아니라 원작의 작품성과 스토리에만 전적으로 기댈 때 실패할 확률이 높다. 또한 만화와 웹툰은 작가의 제약 없는 상상력을 바탕으로 시·공간적 한계 없이 인물들을 그려나가 완벽한 인물들을 상징적으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아 영화, 드라마, 연극, 뮤지컬에 캐스팅된 연기자와 원작의 주인공 모습을 비교하면서 초래되는 캐스팅 논란을 극복하지 못해 실패하는 경우도 있다.
원작이 아무리 훌륭하다 해도 드라마, 영화, 뮤지컬, 연극, 게임으로 만들어질 때는 반드시 제2의 창작을 거쳐 완성도 높은 영상물과 공연물로 재탄생해야 한다. 원작의 대중성과 인기만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려는 방송사나 영화사, 공연사, 제작사의 의도만 있고 만화와 웹툰의 원작을 뛰어넘는 제2의 창작이라는 엄청난 노력이 담보되지 않으면 영상화나 공연화는 성공할 수 없다.
갈수록 인기를 더해가며 독창적인 스토리와 참신한 캐릭터, 실험적 장르와 양식으로 무장한 만화와 웹툰은 대중문화 스펙트럼 확장과 진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경쟁력 강한 콘텐츠로 굳건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스마트폰 등장으로 웹툰이 짧은 시간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스낵 컬처 대표주자로 부상하면서 대중문화의 강력한 킬러 콘텐츠로 자리 잡았을 뿐만 아니라 드라마, 영화, 웹드라마, 게임, 연극, 뮤지컬 등 대중문화 원작으로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