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타지와 현실의 아슬아슬한 경계

기사입력 2017-04-06 09:15 기사수정 2017-04-06 09:15

[배국남의 뉴컬처 키워드]

‘상실의 시대, 판타지와 정치·현실 직시 콘텐츠에 위안받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2017년 콘텐츠 산업 10대 트렌드의 하나로 전망한 것이다.

그렇다. 최근 시청률이 높은 드라마와 흥행에 성공한 영화는 판타지물과 현실을 소재로 한 것들이 주류를 이룬다. 현실을 소재로 했다 하더라도 상당수의 작품이 판타지를 가미한 것이다. 판타지는 요즘 드라마와 영화 등 대중문화 콘텐츠를 강타하는 인기 키워드로 강력하게 부상하고 있다.

“<도깨비>가 끝나 허전해요. 재방송이나 다시보기를 통해 <도깨비>를 또 봅니다. 몇 번이나 봐도 좋아요.”

“광고에 <도깨비>의 주연 공유만 나와도 가슴이 설레네요.”

1월 21일 막을 내린 공유, 이동욱, 김고은 주연의 tvN 드라마 <쓸쓸하고 찬란한 神-도깨비> 신드롬의 여진은 강력하다. 시대와 운명, 죽음마저 뛰어넘으며 사랑을 일구는 판타지 멜로드라마 <도깨비>는 16회 마지막 방송에서 20.6%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1995년 개국한 이후 케이블 TV가 20%대를 처음 돌파하는 기적을 연출한 것이다. “너와 함께한 모든 시간이 눈부셨다. 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날이 적당해서 모든 날이 좋았다” 등 극중 대사가 유행어가 되는 것을 비롯해 특히 여성 시청자의 절대적 지지 속에 신드롬을 일으켰다.

1월 25일 끝난 이민호, 전지현 주연의 SBS 드라마 <푸른 바다의 전설> 역시 시대와 운명을 초월한 사랑과 행복을 그린 판타지 로맨스물로 21%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시청자의 뜨거운 사랑을 받았다.

판타지물 드라마 강세는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그들과 내가 이 일을 하는 이유는 누군가는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고 나와 내 가족, 강 선생과 강 선생 가족, 그 가족의 소중한 사람들, 그 사람들이 살고 있는 이 땅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는 일이라 믿기 때문입니다.” 드라마 <태양의 후예>의 유시진 대위(송중기 분)는 죽음을 감수하며 전쟁터에 나가 평화를 지키고, 재난 현장에서 사람의 생명을 구한다. “보이지 않으니 더 화가 나 미칠 것 같았거든. 그러니 내 곁에 있어라.” <구르미 그린 달빛>의 왕세자 이영(박보검 분)과 역적 홍경래의 딸이 운명과 신분의 벽을 뛰어넘는 절절한 사랑을 한다.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들은 정의와 자유를 위해 죽음을 불사하거나 모든 조건을 뛰어넘는 순수한 사랑을 그렸다. 요즘 대한민국 현실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판타지다. 

판타지가 부상하는 이유

올해 들어서도 판타지물 드라마의 열기는 뜨겁다. 인간의 생명보다 이윤 추구에 열을 올리는 병원에서 생명을 가장 중하게 여기며 최선의 인술을 펼친 <낭만 닥터 김사부>, 근로자의 생존권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본의 탐욕에 사로잡힌 재벌과 경영진에 맞서 싸우는 과장의 고군분투를 담은 <김 과장> 등 올해 들어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들 역시 현실을 소재로 했지만, 결론은 판타지물에 가깝다.

최근 관객의 눈길을 끈 영화는 <내부자들>, <검사 외전>, <부산행> 등이다. 검사 출신 국회의원, 불법자금 지원으로 담보 받은 정치권과 언론의 비호로 기업을 키우는 재벌, 그리고 부패한 권력과 부정한 재벌을 옹호하는 논설주간 등 우리 현실에서 볼 수 있는 군상과 권력, 자본의 폐해를 드러낸

<내부자들>에서부터 각자도생해야 하는 대한민국 사회를 좀비물로 담아낸 <부산행>에 이르기까지 흥행에 성공한 영화들은 약속이라도 한 듯 우리 정치나 현실의 민낯을 전면에 내세웠다. 하지만 이 영화들 역시 결론은 부패 권력과 부조리한 금력에 대한 철저한 단죄와 정의 구현 등으로 현실에서는 볼 수 없는 판타지적 성격을 보인다.

최근 들어 많은 사람이 열광한 영화와 드라마는 무능한 정부, 비리로 얼룩진 정치인과 권력층, 탐욕스러운 재벌의 불편한 진실과 이들로 인해 수많은 사람이 고통 받는 현실의 민낯을 포착하거나 현실에서는 볼 수 없는 환상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텍스트의 결은 다르지만, 작품을 관통하는 본질은 판타지라는 공통점이 있다.

왜 요즘 대중문화의 인기 트렌드로 판타지가 부상할까. 판타지는 허구적인 구성물로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소망들이 성취되는 장소이자 양식을 말한다. 영화 이론가 수잔 헤이워드가 강조하듯 판타지는 무의식의 표현으로 우리가 억압하는 영역, 즉 무의식의 영역과 꿈의 세계를 반영한다. 다시 말하면 판타지란 실재하지 않지만, 우리의 꿈과 무의식 속에 그럴듯하게 자리 잡고 있는 세계다.

고단한 현실 위로

영화와 드라마는 현실의 거울이다. 영화와 드라마는 정치, 경제, 사회적 상황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물론 대중의 욕망도 강하게 투영돼 있다. 이 때문에 영화와 드라마를 통해 한 시대의 상황과 사람들의 가치관, 삶의 방식, 취향 등을 엿볼 수 있다.

사람들은 판타지물 영화와 드라마를 보면서 부조리한 현실을 개선하고 싶은 의지를 투영하거나, 정의가 부정을 압도하고 진실이 거짓을 이기는 세상에 대한 열망을 드러낸다. 물론 카타르시스도 느낀다. 또한 사랑과 결혼이 재산과 학벌, 외모 등 외형적 조건의 교환 이상도 이하도 아닌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판타지물에서 힘든 상황과 운명, 계급의 차이를 뛰어넘는 진정한 사랑과 행복에 대한 대리만족을 구하기도 한다.

판타지물에 대한 열광의 이면에는 무엇보다 고단한 현실을 외면하고 싶은 현실도피 욕구가 강력하게 자리한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3312만 마리 가금류가 살처분된 데 이어 구제역까지 발생해 축산농가가 초토화돼 농민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수많은 노동자가 차가운 길거리를 배회하고 있다. 젊은이들은 취업난으로 연애와 결혼, 출산을 포기하며 살아가고 있다. 2017년 대한민국의 이런 척박한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도깨비>, <푸른 바다의 전설> 등 판타지물을 보면서 잠시나마 현실의 고통을 잊을 기회를 얻는다. 부조리하고 고통스러운 현실이 수많은 사람을 판타지물에 대한 열광으로 내몰고 있는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뉴컬처 키워드] 시대정신을 담보한 사임당이 문화 키워드로
  • [배국남의 뉴컬처 키워드] 문화와 생활 트렌드 이끄는 ‘YOLO’
  • [뉴컬처 키워드] 2017년 뉴컬처 트렌드는?
  • 언론인의 눈으로 본, “초고령사회 일본 은퇴자는 어떻게 살까?”
    언론인의 눈으로 본, “초고령사회 일본 은퇴자는 어떻게 살까?”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여가친화경영 인증기관’에 선정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여가친화경영 인증기관’에 선정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