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파동이 일어나면 우리 사회는 매번 비슷한 패턴을 반복한다. 먼저 극심한 공포에 사로잡혀 사회적 공황상태에 빠진다. 소문은 걷잡을 수 없이 번져나가고 모든 제품이 대형마트 매대에서 사라진다. 시간이 지나고 생산 농가의 고통이 알려지면서 조금씩 소문의 진상을 알고자 한다. 그러나 한번 받은 심리적 타격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고 소문은 유령처럼 우리 주위를 맴돈다.
하긴 우리 같은 여성들 입장에서는 식품에 대한 의구심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가족과 자녀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신경이 쓰이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래서 이런 흉흉한 소문들은 대개 여성들을 숙주로 해서 퍼져나간다. 모임에 나가면 확인되지 않은 소문들이 공포와 함께 주변을 떠돌고 수다 속에 증폭된다. 드디어 그럴듯한 이론 체계로 포장된 하나의 음모이론이 완성된다.
무슨 독극물인 것처럼 과장된 소문의 진상을 알고 싶어 인터넷에서 기사를 검색해 보았다. 조선일보 환경 전문기자인 한삼희 논설위원의 글을 읽어보니 헛웃음이 나왔다. 과학적으로 접근해 보면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남양주 달걀을 기준으로 60kg 성인이 죽을 확률 50%가 되려면 달걀 323만 개를 먹어야 한단다. 실험동물의 실험 결과로 볼 때 성인이 하루에 670개씩 먹어도 문제가 없단다. 이 무슨 헛소동이란 말인가.
물론 우리가 먹는 식품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도록 한 점 의혹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사실이 이럴진대 지나친 과잉반응으로 수많은 달걀 농가가 피해를 보는 것도 공평한 일은 아니다. 지난번 AI 때도 익혀 먹으면 아무 상관이 없다고 그렇게 기사가 나왔건만, 수많은 닭이 산채로 땅속에 매몰되는 장면을 보면서 인간의 이기적인 잔인성에 소름 끼치던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좀 더 냉정하게 상황을 검토해 보면 인간의 자업자득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달걀 생산량을 늘리고 낮은 가격을 유지하려면 하늘도 볼 수 없는 좁은 케이지 속에 밀식으로 사육할 수밖에 없고, 그러다 보면 진드기 같은 기생충이 생길 수밖에 없고, 달걀 생산을 유지하기 위해 생산 농가는 살충제를 뿌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니까 달걀 소비자가 살충제 없는 건강한 달걀을 먹으려면 달걀값을 세 배 정도 더 지불하면 해결되는 것이다.
우리는 너무 소문에 쉽게 휘둘리고 객관적인 진실이 밝혀져도 쉽사리 소문의 유령에서 빠져나오지 못한다. 광우병 사태가 그렇고 일본 방사능 물고기에 관한 소문도 매한가지다. 과학을 알면서도 이런 소문의 노예가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직 우리의 의식구조가 과학 이전의 전근대 상태에 머물러 있기 때문일까? 옛날 어린 시절 밤에 울면 어머니가 “저기 ‘에비’ 온다. 뚝 그쳐!” 하시던 말씀이 떠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