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낙의 그림 이야기] 구례 구층암에서 아방가르드 예술의 혼을 본다

기사입력 2017-10-13 21:08 기사수정 2017-10-13 21:08

전남 구례 하면 화엄사(華嚴寺)가 떠오르는 것은 필자가 근 반세기 전 찾아갔던 기억에서 비롯한다. 당시 천년고찰 화엄사를 감싸듯 둘러싼 뒷산이 폭설 속에서 온통 은백색의 아름다운 나라를 펼쳤었다. 그 하얀 세상에서 거대 각황전(覺皇殿)이 당당하게 우뚝 서 있었던 모습을 생각하면 언제든 아름답게 다가온다. 웅장한 목조 건물, 그리고 ‘단청(丹靑)하지 않은 無’의 아름다움이 주변 은백색 세계와 어울린 자태에 특히 매료되었었다. 아주 별난 아름다움의 세계를 본 것이다.

▲구례 화엄사(華嚴寺) 요사(寮舍) 구층암(九層庵) 모과나무 기둥.
▲구례 화엄사(華嚴寺) 요사(寮舍) 구층암(九層庵) 모과나무 기둥.

오래전 화엄사에 갔다가 경내 안쪽에 자리한 구층암(九層庵)을 보면서 별 감흥 없이 그냥 지나갔었다. 그런데 문득 ‘그것이 아닌데…’라는 생각이 들어 한걸음에 구층암, 바로 먼 옛날 무심히 그냥 스쳐 지나고 만 그곳을 찾아갔다.

화엄사 소속 요사채(寮舍砦)인 구층암을 보는 순간 숨이 막히는가 싶을 정도로 큰 감동이 몰려왔다. 요사채 건물을 떠받치는 두 기둥을 200년 수령(樹齡)의 모과나무를 거의 손대지 않은 통나무 그대로 활용한 것이다. 참으로 놀라운 발상을 본다. 건물에 쓰이는 목재는 으레 톱이나 도끼 또는 대패로 다듬어지기 마련인데, 구층암의 기둥으로 서 있는 목재는 나무 본연의 모습인 투박한 자태 그대로를 간직하고 있다[사진].

임진왜란 때 소실된 요사채를 1897~1899년 새로 지으면서 앞마당에 있던 모과나무를 기둥으로 썼다고 한다. 즉 서구의 현대미술이 추구한 ‘틀에서 벗어나기 사상’이 활발하게 요동치던 시대와 맥을 같이한다는 사실이 예사스럽지 않다. 같은 동양 문화권에 있다는 중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오직 이 조선 땅에서 아방가르드(Avant-Garde) 예술의 넋[魂]을 홀연히 보이는 건축예술의 한 예작(藝作)을 본다는 것이 자랑스럽기만 하다.

그러면서 수년 전 “한국은 실로 아방가르드 예술 정신의 나라”라고 극찬하던 전 주한 독일대사 한스 울리히 자이트 박사가 자연스레 떠오른다.

이성낙(李成洛) 현대미술관회 前 회장>>

-

독일 뮌헨의대 졸업(1966), 연세대 의대 피부과 교수, 아주대 의무부총장, 가천의과대학교 총장, 가천의과학대학교 명예총장(현), 한국의약평론가회 前 회장, 간송미술재단 이사.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이성낙의 그림이야기] 일본 정원을 보며 우리 문화를 본다
  • 이성낙 (사)현대미술관회 회장, (재)간송미술문화재단 이사장 “지인들이 부르면 불원천리, 산 넘고 물 건너 달려가요”
  • [이성낙의 그림 이야기] 조선시대 초상화에서 ‘모셰 다얀’을 만나다
  • [이성낙의 그림 이야기] 여드름, 예나 지금이나 청소년들의 한결같은 고민
  • [이성낙의 그림 이야기] 초상화에서 다모증(多毛症)을 보다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