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권과 행복의 비밀

기사입력 2017-12-11 11:41 기사수정 2017-12-11 11:41

중소기업 중앙회는 분기별로 협동조합이나 중소기업체를 대상으로 오전 7시부터 조찬회를 겸한 강연을 한다. 12월 6일 포럼의 주제는 ‘패권과 행복의 비밀’이었다. 김태유 서울대 명예교수의 특강은 지난번 강의 ‘은퇴가 없는 나라’에 이어 두 번째로 듣게 되었다. 김 교수 강연의 특징은 자신만의 독특한 주제와 연구로 경제와 역사의 흐름을 이야기해주는 데 있다.

포럼의 주제도 그러하다. 국가 경제가 발달한 미국에서 사업을 하는 것과 후진국인 아프리카에서 사업을 하는 것은 기업가의 입장에서 볼 때 엄청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즉 모든 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지고 국가가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선진국에서 사업이 훨씬 더 잘된다는 것이었다. 그런 나라의 기업가나 국민은 후진국보다 훨씬 더 행복해질 수 있다는 점이 오늘 강의의 핵심이었다.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가 행복 추구라면 우리는 과거에 왜 불행했는가? 김 교수는 이 질문으로 강의의 서두를 열었다. 그리고 서양보다 기술력이 뒤처져 있다는 사실을 가까운 나라 일본과 똑같이 인식하면서도 대처 방법에서는 차이를 보인 것에 그 원인이 있다고 강조했다. 즉 일본은 19세기 중반 뛰어난 기술력을 앞세운 외세의 개방 압력을 받았다. 요시다 쇼인과 같이 대양이(큰 서양 오랑캐)를 인정하고 화혼양재(和魂洋才)의 정책으로서 산업혁명을 이룬 전기를 마련했지만 우리나라는 위정척사를 앞세워 척화비를 세우고 과거 성리학에 집착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운명의 길을 걷게 되었다는 것이다.

산업혁명은 사람들을 지배자와 피지배자로 나눈 대분기점이었다고 강조했다. 제1차 산업혁명 때 영국이 석탄, 금속, 직물 부문을 통해 발전을 이루었다면 제2차 산업혁명 때는 독일과 미국이 화학, 전기, 강철을 통해 발전을 이루었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당시 산업혁명을 주도한 나라가 지배자로 등극한 사실은 역사가 입증하고 있다. 제레미 리프킨이 처음 언급한 제3차 산업혁명은 1970년대 ICT와 신재생에너지 기술에 의해 일어났고 오늘날은 이른바 클라우드 슈밥이 말한 제4차 산업혁명의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io Technology, Nano Technology 등 초연결 기술이 핵심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지금 행복한가? 1963년 1인당 국민소득 79달러로 125개 국가 중 101위에 머물렀던 우리나라는 공업인구 2.7%, 농업인구 68%였다. 이제는 국민소득 2만 달러를 돌파해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하는 나라로 성장했다. 맥킨지 보고서는 새로운 성장 방식을 창조한 한국 스타일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에 대한 맥킨지 보고서 내용은 다소 부정적이다. “북핵보다 한국 경제가 위기다”라고 썼고 “1997년 경제위기, 2008년 금융위기에 잘못된 진단과 처방은 한국경제의 동력을 상실시켰다”라고 했다.

김 교수는 1차 산업혁명이 농업경제에서 산업경제로 옮겨가는 1차 대분기점이라면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은 산업경제에서 지식경제로 넘어가는 2차 대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예측했다. 그렇다면 이러한 산업혁명은 어떻게 오는가? 김 교수는 시장에서 정부와 기업이 혼연일체가 되어 노력할 때 저절로 온다고 했다. 역사적으로 영국의 산업혁명, 네덜란드의 산업혁명 등이 그런 사례로 언급된다며 4차 산업혁명을 위해 현재 부처에 소속된 일반 행정관료(Generalist)를 전문정책관료(Specialist)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젊은 엘리트의 힘을 4차 산업혁명 분야로 대거 집중시켜 산업 역군으로 써야 한다고 언급했다.

영국과 네덜란드가 세계화를 통해 나라를 발전시켰듯이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을 주요 정책으로 삼고 기업들과 함께 나아간다면 2차 대분기점에서 선도적인 나라가 될 것이라는 김 교수의 말은 공감이 갔다. 강의의 결론은 “행복은 기업과 기술에서 나온다” 는 말에 집약되어 있는 것 같았다. 행복의 근원은 보는 시각에 따라 여러 측면에서 이야기될 수 있겠지만 공학을 전공한 김 교수의 행복에 대한 시각은 그만의 특성을 잘 함축한 말이라 아주 인상적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골다공증 ‘이렇게’ 예방하세요
    [카드뉴스] 골다공증 ‘이렇게’ 예방하세요
  • 괴테 소설 원작 뮤지컬 ‘베르테르’, 페어 포스터 공개
    괴테 소설 원작 뮤지컬 ‘베르테르’, 페어 포스터 공개
  • 종신보험의 새로운 활용법, 보험금청구권신탁이란?
    종신보험의 새로운 활용법, 보험금청구권신탁이란?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제2회 지역소멸 대응 포럼' 개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제2회 지역소멸 대응 포럼' 개최
  • [카드뉴스] 손발 저림, 뇌졸중 전조다? O, X
    [카드뉴스] 손발 저림, 뇌졸중 전조다? O, X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