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엔 음성인식 인공지능을 활용한 가전제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가전박람회 “CES 2018”에도 예상 이상의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리모컨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TV를 향해 필요한 채널을 말하면 TV는 제가 알아서 채널을 찾아준다. 요즘 구글, 아마존, 네이버 등에서 활용하는 인공지능 스피커가 대중에게 기하급수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알렉사, 아리아, 헤이카카오, 기가지니, 샐리야, 시리야, 오케이 구글 등이 해당 회사의 스피커 이름이다. “아리아, 신나는 음악 틀어줘~!”라고 명령하면 신나는 음악이 흘러나온다. 스마트폰에 이미 말로 검색하는 기능이 생활 속에 깊숙하게 들어와 있다. 대부분 사람은 문자로 검색하는 데 익숙해 음성인식 기능 활용엔 다소 무디다. 음성인식 지능을 이용한 활용도는 날이 갈수록 높아질 수밖에 없다. 글이나 문자보다 말로 하는 일이 훨씬 수월하고 빨리 접근할 수 있어서다. 또한, 자율주행 자동차를 떠올리면 쉽게 이해가 갈 기계의 눈이라 할 수 있는 시각지능도 마찬가지다. 고양이와 애완견을 식별한다. 사람의 표정을 보고 기분을 파악하여 대응하는 로봇도 개발되었다. 말 잘 듣고 제가 알아서 기분을 맞춰주는 인공지능 로봇을 파트너로 활용할 수 있다. 애완 로봇이 등장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으로 빠르게 다가온다. 혹자는 “빅도미노”라고 부르기까지 한다. 어느 순간 세상을 확 바꿀 수 있다는 의미다. 앞의 예처럼 인공지능을 활용한 로봇이나 장치가 일상생활 속으로 들어서게 됨은 불을 보듯 뻔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장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남들과 같은 생각으로 대비해서는 살아남을 수 없는 현실이다.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인 토머스 프리드먼은 “세계는 평평하다”는 저서에서 이렇게 경고한다. “이제 자기만의 두드러진 가치를 찾아야 한다. 평균 시대는 끝났다.” 로봇과 소프트웨어 등의 발달로 남들과 같은 일을 하면 평균 이하의 삶을 살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자기만의 두드러진 가치, 즉 개인 브랜드를 가져야 함을 이른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우리가 전 반생에서 한 경험이 미래엔 큰 역할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 대학 시절에 배운 이론들이 지금 효용 가치가 있는지 반문해보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어릴 적부터 우리 세대, 베이비붐 세대는 경쟁 속에서 살아왔다. 남과 비교하여 우위에 서기 위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했다. 그런 수단과 방법을 공부해왔다. 블루오션이 아닌 레드오션 전략을 구사했다. 돌이켜보면 경쟁이 능사가 아니었음을 깨닫는다. 누구에게나 보이는 넓은 길이 아니라 선뜻 보이지 않는 좁은 길을 선택해 성공한 사례들이 주목받고 있다. 눈앞에 보이는 돈이 아니라 인생의 가치를 남기는 직업을 찾아낼 필요가 있는 시대다. 후반생은 자기실현의 시기로 살아야 하므로 더욱 그렇다. 관점을 조금만 달리하면 보이게 되는 데도 과거지향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이 사실이다. 환경이 다른 시대에서 한 경험이 변화된 환경에서 이용할 수 없는 잡동사니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할 전환이 필요하다.
100세 장수 시대는 남의 이야기가 아니고 120세 시대도 머지않았음을 예측한다. 100 현역은 아니어도 80세까지는 현역으로 살아야 하고 남은 20년은 인생을 되돌아보고 정리하는 시기로 하여야 한다. 쉽고 편한 길로만 가려 하지 말고 어렵지만, 남들이 가지 않는 길로 가려는 도전 정신이 필요하다. 자기만의 독특한 브랜드를 만들어 가자. 앞으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인간이 인공지능과 로봇에게 많은 일자리를 내어 줄 수밖에 없다. 인공지능이나 로봇이 하지 못하는 자기만의 일을 만들어 보자. 남들이 흉내 낼 수 없는 일을 만들어가는 길이 4차 산업혁명 시대 노후준비의 답이다. 그런 일을 찾아내어 자신만의 직업으로 승화시키면 평생 경쟁 없는 직업을 갖고 살아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