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사원 때였다. 직속상관으로는 주임, 계장, 과장, 지점장이 있었다. 체력단련일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야유회를 갔던 날, 족구도 하고 배드민턴도 하면서 오전 시간을 보낸 뒤 오후에는 부서별 술판이 벌어졌다. 술은 친목을 도모하는 윤활유 역할도 하지만 지나치면 싸움판이 되기도 한다.
그날도 삼삼오오 나뉘어 술을 먹다가 다른 곳에서 온 행락객과 시비가 붙어 싸움이 일어났다. 누군가 뛰어와서 과장에게 필자가 싸우고 있다고 허위보고를 했다. 멀리서 필자와 비슷한 사람이 싸우는 것을 보고 급히 알려야 한다는 마음에 제대로 확인도 하지 않은 것이 문제였다. 당시 간부급 술자리에는 계장, 과장급이 여럿 있었고 최고 책임자인 지사장도 있었다. 필자가 싸움의 주동자였다면 소속 과장으로서 지사장 보기에도 면목이 없고 동료 과장들한테 얼굴 들기도 난처한 상황이 된다. 보고를 받은 과장은 “아니야, 그 친구는 절대 말썽 부릴 친구가 아니야. 다시 알아봐” 하고는 보고자를 돌려보냈다.
물론 이 이야기는 나중에 과장과 함께 있었던 선배 동료로부터 들었다. 선배는 “야! 과장님이 아주 널 잘 보고 있더라! 대번에 그 친구는 그럴 사람이 아니라고 딱 잘라 말하던데!”라고 말했다. 여러 명의 부하 직원 중 한 사람일 뿐인 필자를 과장이 그렇게 생각해줬다는 것이 우선 고마웠다.
다음 해에 필자는 서울의 한 야간대학 편입을 준비했다. 그런데 학교에서 회사 대표의 동의서를 요구했다. 근무지가 수원이어서 서울로 학교를 다니려면 퇴근시간 전에 회사를 나와야 했기에 동료들 눈치도 보였고 무엇보다 사장의 허락이 떨어질지도 의문이었다. 혼자 고민을 하다가 용기를 내어 과장에게 말했다. 그랬더니 흔쾌히 모든 것을 자신이 책임지겠다면서 각서까지 쓰고 사장 추천서를 받아다 줘서 무사히 편입을 할 수 있었다.
물론 학교 다닌답시고 일찍 퇴근하는 것을 직원들이 좋아할 리 없었다. 사시(斜視) 눈들이 하이에나처럼 여기저기서 필자를 노려보고 있는 게 느껴졌다. 미움받지 않기 위해 새벽같이 출근해 사무실 청소도 하고 남들이 남기고 간 일들도 깔끔히 처리했다. 주말에는 용무가 생긴 사람의 숙직을 대신 서주는 등 처신을 잘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눈 밖에 나지 않으려고 필자가 아무리 노력을 해도 한계가 있었다. 그런 상황에서도 일찍 퇴근할 수 있도록 감싸주며 배려를 해준 과장이 있어 든든했다.
더욱 감동적이었던 일은 작은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였다. 회사에서 직계에게는 상조규정이 있었지만 3촌(三寸) 이상의 가족에게는 아무런 지원을 해주지 않았다. 달랑 본인의 휴가만 하루 인정해주는 정도였다. 그때 아무도 문상을 오지 않았는데 과장이 휴가를 내서 일부러 장지까지 찾아와줘서 깜짝 놀랐다. 장지는 주소도 불명확하고 교통도 불편하다. 지리를 모르면 큰 고생을 하게 된다. 그런데도 찾아와준 과장을 보는 순간 고마운 마음과 미안한 마음이 범벅이 되었다.
요즘은 연로하셔서 함께 술을 먹거나 나들이를 못한다. 설날이 되면 찾아뵙고 세배를 하고 전화 안부만 가끔씩 하지만 마음속의 끈끈한 정은 여전하다. 어느 초등학교에서 급훈을 ‘엄마가 보고 있다’로 바꾸자 아이들 태도가 달라졌다고 한다. 남자는 자기를 믿어주는 사람을 위해 목숨을 내놓는다는 말이 있다. 그 시절 과장이 믿어줬기에 필자도 스스로를 채찍질하며 바른길을 걸어왔다고 생각한다.